기존노트북 hdd를 sdd를 바꿀때 말이죠...
2013.04.04 15:18
집에 하드복사기가 있습니다.
기존 노트북hdd 에 있는 os나 자료를 그대로 sdd에 하드복사기로 복사한다음
sdd로 노트북 설치해서 바로 사용가능할까요?
코멘트 19
-
하드와 ssd는 데이터를 쓰는 (write)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os는 재설치 해주셔야 합니다 ^ ^;
-
이런 걸 아는 여자가... 제 주변에도 없었던 것 같은데... 음.
-
그냥 복사해서 쓰셔도 됩니다. 제가 처음 SSD를 PC에 장착했을 때, True Image로 통째로 복사해서 사용했습니다.
-
저같은경우도 워커님 말씀대로 아르코닉스 트루이미지이용해서 옮기고 트림도 덤으로 했죠 ㅎㅎ
-
인포넷
04.04 16:47
그럼 맨위의 우뉴님 댓글에서 하드와 ssd는 데이터 쓰는를 방법이 다르다는 것은 무슨 말인지 궁금하네요... -
아주아주 쉽게설명하자면요(제대로된건 아닙니다만 얼추 맞긴해요)
SSD와 하드같은경우 저장방식이 다릅니다.
예를 들자면 하드디스크같은경우 110001101 같은식으로 저장하고 읽는반면
SSD같은경우 메모리칩을 컨트롤러로 묶어놓은방식이라 11111 그대로 읽고 저장하죠 때문에 SSD는 하드와 달리 조각모음이
필요없는거죠
흔히들 조각모음하면 SSD수명이 급격하게준다는데 스사모벤치결과... 몇십년 쓸것 아니면 별 상관없더군요
-
인포넷
04.04 17:14
그러니까 중간에 데이터가 삭제되면 자동으로 조각모음이 된다는 것인가요??? -
애시당초 조각모음(defragmentation)이라는게,
디스크에서 데이터가 나뉘어 있으면 읽을 때 헤드가 이동하는 시간 때문에 오래 걸리니까 이를 줄여보려고 하나로 뭉쳐주는 작업이니까요.
SSD에서는 헤드가 이동하는 시간이 소요되지 않으니까 조각모음을 수행하는 가장 큰 이유가 사라진거죠.
엄밀히 말하면 연속된 데이터라고 해도 wear leveling 때문에 실제로는 여러 메모리 셀에 분산되어 저장됩니다. :-)
-
인포넷
04.04 17:52
그러니까 SSD도 하드와 같은 방식으로 저장이 되는거군요...
뭔가 좀 다를줄 알았어요...
-
purity
04.04 17:38
조각모음은 방사되어 있는 데이터를 모아서 헤드의 움직임을 적게 하려는데 목적이 있죠. 즉 Seek Time이라고 하는 데이터가 있는 위치까지의 탐색 시간을 줄이려는 것입니다. SSD는 이러한 물리적 움직임이 없기 때문에 조각모음이 전혀 의미가 없습니다. 즉 자동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아예 조각모음이 불필요하지요.
SSD 교체시의 마이그레이션의 경우 고스트나 트루이미지 같은 것을 사용하셔서 쓰셔도 이상은 없습니다. 다만 기존 HDD를 대상으로 했었던 OS 설치 상황이니 얼마간의 조정이 필요하고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면 인텔 RST(구 매트릭스스토리지) 드라이버의 경우 9.6 미만의 경우 TRIM 커맨드를 무시하기 때문에 상위 버전으로 교체한다던가 등의 부수적인 후처리가 필요하며, 파티션 분할에 따른 성능 감소는 크게 없으나 어차피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의 SSD이니 만큼 효율적 사용을 위해 파티션을 합쳐 준다던가 등의 최적화가 수반됩니다.
또한 간혹 오해되는 경우로 조각모음이라던가 데이터 영역 까지의 완전 삭제가 TRIM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되고는 합니다만, 이는 실제 TRIM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습니다. 심지어 이런 미신에는 인텔이나 아크로니스 같은 큰 회사도 일조를 하고 있습니다(예:샌드포스 계열은 아예 수동 TRIM 방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인텔 SSD 320, 520 들에서의 인텔 툴은 아무런 효과가 없는 수동 TRIM 기능을 제공합니다).
-
인포넷
04.04 17:50
그렇군요...
그럼 TRIM 기능은 있으나마나 하는 것이네요...
-
purity
04.04 18:22
TRIM 자체는 중요하지요 ^^;; 문제는 소프트웨어적인 수동 TRIM에서입니다.
수동 TRIM을 지원하지 않는 SSD에서 수동 TRIM 기능을 대체한다는 데이터 영역 삭제 기능은 TRIM과 관계가 없다는 것입니다. 샌드포스를 비롯한 이런 류의 SSD들의 강제적인 수동 TRIM은 ATA 표준 커맨드 중에 하나인 Secure Erase 밖에 없으며 이것은 곧 공장 초기화를 의미합니다. 데이터를 보존하면서 수동 TRIM 해주는 기능은 이런 류의 SSD들에게는 관계가 없는 일이에요.
-
인포넷
04.04 18:44
SSD 세계는 어렵네요...
-
샌드포스 칩셋들에서는 수동 TRIM이 지원되지 않는군요...
-
김강욱
04.04 19:49
1) 저장 방식의 처리는 디스크가 알아서 하는 것이니 차이가 없어야 한다는 게 그냥 논리적인 결론인 듯 한데, 현실은...잘~
2) HDD 와 SSD 를 현실에 비유하자면
HDD 는 실제 집주소로 종이 메일을 발송하는 거고 SSD 는 이메일을 발송하는 겁니다.
HDD 는 우체부님께서 주소에 해당하는 집까지 찾아가야 되는 거고, SSD 는 주소만 치면 끝인거고~
-
냉소
04.05 09:09
삼성 SSD는 삼성 data migration을 쓰니 그냥 너무 쉽게 끝나버리더군요....
-
iris
04.05 09:41
이론적으로는, 그리고 실제로도 Norton Ghost같은 이미지 카피 툴을 쓰면 바로 이전이 됩니다. 대신 원본 하드디스크의 데이터 용량을 SSD의 남은 용량 이하로 줄여둘 필요는 있습니다.
-
삼성 하드 사니 씨디가 들어있더라고요. 그러나 저는 맥이라서 다른 어플을 사용해서 기존 디스크를 복사한 다음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OS 재설치는 정말 시간 낭비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