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야무인의 SPOT 리포트 20탄: Cortex A7 쿼드코어인 MTK6589를 탑재했음에도 펌웨어 최적화 문제로 유저들에게 커펌사용을 강요하는 VSUN의 i5.
2013.05.19 03:35
이 스마트폰의 경우 다른 중국의 주요 스마트폰회사중에서
술값보다 싼 저렴한 가격인 스마트폰을 리뷰하기 위한
리뷰프로잭트가 아니었기 때문에 SPOT리뷰로 돌렸습니다.
술값보다 저렴한 스마트폰의 경우 이미 Coolpad의 7230을
리뷰준비중이고 이건 나중에 원래 제목대로 나갈겁니다.
또한 제가 원하는 목적에 부합되는 Sanei에서 MTK6589타블렛이 출시되기에
이 스마트폰의 경우 상당히 간략하게 리뷰를 하고 끝낼겁니다.
--------------------------------------------------------------------------
MTK6589스마트폰을 처음 보고 충격을 먹었던건 바로 홍콩전자쇼를 끝나고
홍콩의 전자상가에서 시장조사를 할때였습니다.
그때 범용으로 제조된 MTK의 듀얼코어인 MTK6577의 경우는
가격이 저렴하다 하더라도 UI돌아가는 데 딜레이가 좀 있는 편이었습니다.
아무리 디자인이 좋아도 (물론 삼성의 디자인을 베낀거지만)
성능에 노골적인 차이가 있어는데 반해 Cortex A7의 쿼드코어로 제조된
MTK6589는 브랜드도 없고 램이 1기가정도 인데도
기본UI가 빠릿하게 돌아갔으며 Antutu점수도 12000대까지 나오는
상당히 훌륭한 기기였습니다.
마침 거기에다가 중국의 저가 스마트폰 브랜드회사중의 하나인
ZOPO와 홍콩전자쇼에서 인터뷰를 했던 Freelander에서
시제품으로 제조한 스마트폰 역시 상당한 최적화를
가지고 있었기에
홍콩으로 돌아와서도 MTK6589에 대해서 몇가지 조사를 하였고
평가나 동영상 리뷰를 볼때도 가성비만 따진다면 나쁘지 않은기기였습니다.
즉 브랜드급이 짝퉁급이나 사서 리뷰해도 괜찮을 것이다라는
결론을 내렸고 살려면 차라리 통신회사를 끼고 있는
WCDMA/GSM 듀얼 USIM방식의 스마트폰을 사자라는 거였습니다.
그래서 몇몇 회사를 조사해서 적어도 홈페이지랑 BBS가 있는
회사인 Vsun Mobile의 VSUN의 i5 MTK6589 스마트폰을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i5의 경우 MTK6577의 듀얼코어 버전과 MTK6589의 쿼드코어버전 두가지가 있습니다.
중국의 특성상 두가지 버전을 한다고 해서 외관을 바꾸는 경우는 별로 없기에
똑같은 외관 디자인이며 아마도 MTK6577이나 MTK6589가 PIN구조가 같기때문에
같은 보드를 가지고도 칩만 바꿀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고 있습니다.
물론 이건 뜯어보지 않는 이상에야 볼수도 없겠지만
굳이 펌웨어 교환에 대한 이야기를 BBS에 찾아볼수 없기에 더욱더 그렇습니다.
이번에 입수한 VSUN은 싱글에게는 저주스러운 발렌타인 에디션이긴 허나
포장만 그렇고 스마트폰 자체가 핑크및이나 발렌타인 관련 각인이 들어있는건 아닙니다.
기기의 모습은 그야말로 갤럭시 S3와 S4의 외양과 상당히 흡사합니다.
허나 외양은 어떻게 하던 삼성의 디자인에 대한 표절이라는 걸 피해가기위해
조금씩 변화 시켜놨습니다.
다만 모르는 사람이 보면 이건 갤럭시 S3다라고 오해하기 딱 좋게 생겼습니다.
전면 위쪽에는 스피커와 2메가 픽셀의 카메라가 달려있고
스마트폰으로는 꽤 큰 4.5인치의 화면이 달려있습니다.
하단에는 메뉴, 홈, 돌아가기 이렇게 세개의 기능 버튼이 달려있는데
홈버튼은 물리적으로 누르는 버튼방식이며 메뉴 및 돌아가기는 터치방식으로 되있습니다.
그외 가장아래쪽에는 MIC으로 보이는 구멍이 있습니다.
상단면에는 좌측에 이어폰단자 및 우측에는 특이하게도 HDMI-out이 있습니다.
우측면에는 소리줄이기 및 늘이기 버튼과 전원버튼이 몰입식으로 구성되 있습니다.
하단면에는 충전과 PC와의 연결을 위해
Micro USB단가지 숨어 있습니다
다만 좌측면에는 아무런 기능버튼이 여타 스마트폰과 마찬가지로 없습니다.
후면의 맨위에는 8메가픽셀의 카메라 및 플래쉬가 있으며 아래쪽에는 스피커가 있습니다.
후면의 덮개를 열어보면 4.35V의 2000mAh의 꽤 큰 배터리가 들어있습니다.
그리고 난 짝퉁이 아니야라고 이야기 하듯 자기네 회사의 로고가 붙은 배터리입니다.
그외 SD/TF카드 슬롯이 달려있으며 중국에서 유통되는 다른 스마트폰과 마찬가지로
(아마 ChinaUnicom으로 쓸수 있을겁니다.)
WCDMA/GSM과 GSM 듀얼 USIM구조로 되있습니다.
그럼 Vsun i5의 스펙을 잠깐 살펴보겠습니다.
CPU : MediaTek 6589 (Cortex A7 쿼드코어 실클럭수 1.0GHz)
GPU : PowerVR SGX531(이긴 허나 확인요..)
Nand : 4G
화면 : 4.5인치 960X540 (IPS)
사진 : JPG, BMP, GIF 지원
음악 : AAC, APE, FLAC, MP3, WAV, OGG, WMA 지원
동영상 : 1080p
메모리 : DDR3 1GB
터치방식: 정전식 5터치
색상 : 흰색, 검은색
이북 : CHM,TXT, UMD, PDB, HTML, PDF, EPUB 지원
TF, SD : 32기가 Micro SD/TF 지원
음성녹음 지원 (WAV형태)
이어폰 : 3.5mm 지원
배터리 : Li-ion 베터리 2000mAh (GSM 400분 WCDMA 300분, 100시간 대기시간)
언어 : 영어 및 다국언어지원 (단 한글및 일본어 지원 안됨: 한글 쓸려면 More locale 2로 설정해야 함)
USB : 마이크로 USB
무게 : 145g
OS : 초기 4.1.2
카메라 : 후면800만화소, 전면 200만화소
크기 : 137mm X 70mm X 9.9mm
GPS : GPS 및 A-GPS 지원
블루투스 지원, 진동기능 지원, FM 라디오 지원
이렇게 되있습니다.
포장은 중국사람이 좋아하는 빨간색 포장에다가 하트가 그려져 있어서
혹시나 외장도 그렇지 않을까라는 예상을 했는데
다행히 정상적인 구성으로
기기외에 보증서, 액정보호지, 전원아답터, Micro USB케이블, 이어폰 그리고 배터리로
내부를 채웁니다.
아쉽게도 HDMI-out이 지원됨에도 케이블은 없는 상태였습니다.
기기를 처음 볼때 디스플레이는 상당히 좋은 편이었습니다.
기본적으로 빠릿하긴 했으나
이상하게 홈UI에서만 느리고 나머지는 빠릿하게 움직이는걸로 봐서는
전반적으로 홈UI 최적화에 문제가 있어 보였습니다.
홈UI및 어플모음화면과 Widget화면 그리고 설정란은
기본적이 구글 Default화면에다 색상만 넣은듯 했습니다.
어플들은 중국에서 공식적으로 유통되는 기기인지는 몰라도
구글관련 어플이 하나도 안깔려있고 심지어는
마켓어플도 중국계열의 어플이 깔려있습니다.
또 한가지 더욱더 이상했던건 요즘들어서 그런건지
기기를 중국측 서버에서 펌웨어업데이트가 불가능해졌습니다.
Vsun의 i5역시 업데이트를 하려해도 업데이트가 안되서
업데이트 할려면 순정펌을 직접 BBS에서 받아야 될듯 합니다.
기기의 가용램용량은 대략 640-680MB정도로 1기가의 램을 가진것치고는
꽤 램관리가 잘되보였습니다.
Vsun i5의 최대강점중에 하나가 1080p를 재생하는 거외에
바로 HDMI-out이 달려있다는 겁니다.
즉 스마트폰을 TV동글처럼 이용할수 있다는 이야기이기에
이런면에서는 한국의 스마트폰보다는 휠씬 유용할겁니다.
어플면에서는 중국통신사에서 나온것에 걸맞게 한국과 마찬가지로
수많은 쓰잘데기 없는 루팅해서 지워야 하는 통신사 어플들이 있습니다.
이건 세계 공통적인 걸로 통신사에서 나온걸 사시면 이렇게 됩니다.
인터넷 역시 상당히 빠릿하게 돌아가고
한글 사이트에서 글자가 깨지는 일도 없습니다.
다만 Locale설정에서 다른 동남아시아 언어는 있어도 한글이나 일본어가 빠진건
이쪽에서는 전혀 사용하지 않을것이다라는 예상을 하고 출시한듯 합니다.
이건 대부분의 중국쪽 생산자나 판매자들의 공통적인 생각으로
한국사람들은 중국 타블렛이나 핸드폰을 사용하지 않을것이다라고
단언하기에 지원을 안하는듯 합니다.
벤치마크 테스트는 가볍게 하는 의미에서 Antutu만 돌려봤는데
6000대정도가 나왔습니다.
이건 상당히 이상한게 듀얼코어급인 MTK6577보다도 안나옵니다.
무슨 생각이 드냐 하면 이쪽도 그냥 듀얼급의 펌웨어만 올린게 아닐까라는 의심을 하고 있습니다.
즉 Antutu로 보는 기기정보로는 분명이 쿼드코어로 나오고
나머지기능은 빠릿하게 사용하는데 이상이 없는걸로 봐서는
Vsun측에서 뭔가 잘못한듯한 기분이 듭니다.
더구나 펌웨어가 3월말에 나왔고
또한 통상적으로 웬만하면 펌웨어를 넣고 2-3주후에 기기가
유통되기에 4월출시되서 급하게 펌웨어를 넣는게 아닐까라는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마켓은 1mobile정도만 깔아도 상당히 잘됩니다.
거기에 다운로드 속도도 빨라서 웬만한건 다 된다 보시면 될겁니다.
자 이제 마무리를 짓습니다.
사실 시간이 좀더 있었으면 제대로된 펌웨어를 깔고 테스트를 했겠지만
MTK6589 타블렛을 기다리고 있기에 리뷰는 번개불 콩구어먹듯이 합니다.
기기 받고 느낀건 조금 어처구니가 없다는 겁니다.
스펙 좋은거 출시해놓고 펌웨어를 다른걸 깔고 판매하는걸 보면
그게 중국이구나라는 생각이 팍팍듭니다.
뭐 타블렛을 다뤄보면 이런일이 한두번이 아니라서
스마트폰은 그러지 않으리라 생각을 했건만 이건 착각이었습니다.
더구나 지금 리뷰준비하는 경우는 중국의 정말 대형기업이고
북미에서도 ODM으로 핸드폰을 출시하는 Coolpad인데
런처를 깔아도 설정이 안되며 Widget도 제대로 안됩니다.
결국 유저들에게 어쩔수없이 커펌을 깔게 강요를 하고 있는게
중국입니다.
Vsun i5의 경우 펌웨어를 잘못넣어다 하더라도 쓰는데는 크게 지장없습니다.
웬만한 한국기기보다 꽤 괜찮기도 하고 가격면을 따져도 999위안이면
대략 19만원급입니다.
거기에 유저지원도 제대로 되있구요.
마감도 짝퉁급이 아니고 브랜드회사에서 만들거라 꽤 괜찮은 편입니다.
하지만 펌웨어 지원이 왜 이모양인지 모르겠습니다.
즉 그냥써도 가성비가 아주 괜찮긴 하고 짝퉁핸드폰보다는 확실히 낫긴 하지만
좀더 잘 쓸시려면
어쩔수없기 커펌을 올려야 하는 문제가 있다라고 보시고
그걸 감안하고 구매하셔야 하리라 봅니다.
코멘트 14
-
tomeast
05.19 15:26
-
제 경우만 이야기 드리자면 (다른 MTK AP계열의 스마트폰을 쓰고 있지만) 스마트폰에 따라서 그런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제가 답답해 하는 에러중에 하나가 이야기 하신것처럼 2-3초정도 소리가 작아졌다가 다시 제대로 커지는 특정 스마트폰에 했을때 문제가 있습니다.
그 스마트폰외에는 다른 스마트폰에서는 똑같은 문제가 없는걸로 봐서는 호환성 에러가 아닐까 추측하고 있습니다.
-
tomeast
05.21 21:00
일주일간 ZTE U817 (MTK 6577)을 실사용 테스트중 인데 이기기 사용하면서 핸드폰 , 일반 전화등 제가 먼저 끊어본적이 없내요... TT
제 생각에는 호환성 에러는 아닌것 같아 보이는데 통화를 끝내고 전화를 끊기 위해 귀에서 스마트폰이 멀어지면 조도센서에 의해 LCD가 켜져야 하는데 그냥 암전이내요
상대방이 끊음으로 인해 통화종료가 되면 그때서야 LCD가 켜지는데 뭐 상대방이 잘만 끊어주면 아무 문제없지만 잘못하면 계속 통화중인 상황이 생길수 있어서 신경이 쓰이내요
좀더 사용하면서 셋팅을 해보고 커펌도 올려보고 해서 최적의 상태를 만든후에 아들녀석에게 줘야할것 같습니다.
그리고 MTK6589와도 비교해보기도 해야겠고...
-
흠... ZTE가 최적화를 잘못한게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물론 이런문제는 순정펌웨어로 수정될수는 있을지도 모르지만 중국측 서버로 부터 다운로드가 안됩니다.
지금 Coolpad계열 스마트폰 리뷰를 쓰고 있는데 한국에선 현실적으로 순정펌웨어 업데이트하기가 VPN으로 하지 않는 이상 힘들더군요.
아마도 한국에서 중국으로 가능 데이터를 막는듯한 느낌이 들고 있는데요. 어쩔수없이 커펌깐 다음에 어떻게 되는지 봐야될것 같습니다.
-
tomeast
05.22 23:38
한국에서 막은것 보다 중국에서 막았을겁니다.
중국이 아직 공산당 체재가 남아 있어 검열을 하고 유투브등 중국외 사이트 일부는 국가적 차원에 차단하고 있습니다.
저도 중국에서 자료를 찾기위해 검색을 해보면 열리는것 보다 안열리는것이 많아 답답할때 많내요...
혹시 중국 사이트에서 자료를 받아야 하는데 안열리거나 하시면 링크를 알려주세요 중국에서 직접 받아보겠습니다.
현재 사용 펌은 ZTE 사이트에서 다운 받은 가장 마지막 버전의 순정 펌인데 지금까지는 전화 끊는 문제만 제외하고 만족 스럽습니다.
-
아쉽게도 현재 매각해버렸습니다. 이유는 원래 타블렛에 이 AP를 채택한 기기가 없어서 이걸 보고 AP를 평가하는게 목적이었지만 6589를 탑재한 타블렛이 나와버렸습니다. ^^;
-
까롱까롱
05.19 17:54
좋아보이네요 물론 몇가지만뺴면요 이게 chang hong h5018보다 훨씬 좋아보이네요 이건 얼마정도하나요??
-
성야무인님께서 끝문단에 써놓으셨네요. 999위안, 한화 약 19만원
배송비 및 관세 생각하시면 23만원 정도 나올꺼 같아보이네요.
-
HAppyGuy
05.21 20:13
잘봤습니다 ^^
-
넵 정말 감사합니다. ^^;
-
코코아빠
05.23 13:41
요즘엔 패드류보다 스마트폰 리뷰에 눈이 더 많이 가네요.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또 다른 스마트폰도 기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앞으로는 이정도 고스펙급의 스마트폰을 제가 리뷰를 위해 직접 구매하는 일은 없을겁니다.
스마트폰의 경우 워낙 변수가 많고 정형화되있지 않아서 리뷰하기가 많이 까다롭습니다. T_T~~
-
갤럭시 지오? 네오? 같아 보이네요.
나름의 아이덴티티를 살려서 디자인한다면 더 잘팔릴듯 싶네요.
잘보았습니다~
-
감사합니다.
근데 제 전공은 스마트폰쪽이 아니라서요 ^^; 리뷰하기가 쉽지가 않네요..
삼성 디자인의 카피이지만 스마트폰의 물리 홈키는 한국인 유저에게는 상당히 어필이 될것 같습니다.
More Locale 이나 Set Locale로 한글 셋팅하고 도돌런처 깔아놓으니 한글 지원안되는 불편이 아주 최소화 되내요...
혹시 이폰 구매하신분에게 부탁을 드립니다.
저도 MTK 6577, 6589 스마트폰 테스트중인데 전화 통화후 끊을때 약간의 딜레이가 있어 상대방이 끊어서 끊기던지
전원버튼 이나 홈키 눌러 활성화 시킨후 끊어야 하는 약간의 불편이 있던데 Vsun i5 에서도 비슷한 증상이 있는지 확인 부탁 드립니다.
2년전 MTK AP를 사용한 짝퉁폰에서도 비슷한 경험이 있어 MTK AP의 문제인지 펌웨어 최적화 문제인지 궁금하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