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노하우


지진 발생시 대처 요령 (ver 0.15)

2010.02.10 16:56

새사람 조회:2954 추천:8

자게에서 옮겨 왔습니다....

 

옛날 집에서 올린 것 같은데 새로 올립니다.

기초적인 대처 요령부터 기타 재난 대비 요령까지 작성해 볼께요.

혹시 추가할 만한 사항 있으면 립흘로 달아주세요..

 제가 여기 저기서 교육 받으면서(응급 처치 및 재난 관리 및 방화관리자 교육 등) 배운 것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지진 발생시 @+ 1분 이내

 

1. 아파트에서 지진이 일어 났을 때 가장 먼저 해야 할일은

가. 조금 위험하더라도 아파트 문을 먼저 열어 놓는다.

    >>> 큰 지진은 한번에 오지 않습니다. 여러차례 지진이 일어나면 처음 진동이 지난 후에 빨리 대피 해야 하는데

        아파트 현관문은 100% 철문이라 처음 진동에서 문틀이 휘어지면 문이 안 열립니다.

        그러면 대피 못하겠지요.

 

나. 움직임이 가능하면 가스 중간 밸브를 잠근다. (이건 흔들려서 다칠 상황이면 안하는게 낫습니다.)

다. 옷장 안이나 책상 아래로 피한다.

    >>>> 천장 낙하물(형광등, 백열등, 천장 조각)로 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라. 진동이 멈추면 계단으로 대피한다. (엘리베이터는 절대 타면 안됩니다.)

 

 

2. 길 거리에서 지진이 일어났을 때

가. 머리를 가방이나 옷가지등으로 보호 후 건물서 멀리 떨어진다.

   >>> 외부에서 가장 위험 한 것은 위에서 떨어지는 낙하물 입니다.

           그러나 차도 쪽으로 뛰어들지는 마세요. 차에 다칩니다.   

 

 

 

3. 다중이용시설(백화점 빌딩 쇼핑몰 등) 에서 지진이 났을 경우

 가. 가방이나 옷가지등으로 머리를 보호 후 계단이나 엘리베이터 옆으로 피한다.

   >>>건물이 붕괴되었을 때 구조대가 접근할 수 있는 곳은 계단이나 엘리베이터 자리입니다.

       삼풍백화점이나 기타 건물 붕괴 사건의 예로 볼 때 계단 옆에서 구조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특히 엘리베이터는 통로 전체가 하나의 기둥이어서 잘 무너지지않습니다.

       단 타면 안됩니다.

나. 큰 기둥 옆으로 피한다. (역시 건물을 지탱하기 때문에 살아 남을 확률이 높습니다.)

 

 

지진 발생 @ + 5분

모든 지역에서

 

가능한 빨리 주변에 높은 건물이 없는 곳으로 대피 합니다.

학교 운동장 등이 유리 합니다.

다만 지하 매설물이 있는 경우 도시 가스 등의 2차 폭발로 인한 위험이 있기 때문에

맨홀 뚜껑이 보이는 곳이나 도시 가스관이 많이 보이는 것은 가능하면 피합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20 [ 업데이트 종료, 윈도로 돌아감 ] 한 달정도 Ubuntu 사용시 느낀 불편 사항. 시도하시기 전에 읽어보시라고...^^ [16] 김강욱 01.06 28928
19 제주도를 배로 가고 싶으신 분들을 위한 가이드 [12] file iris 08.04 28949
18 스마트폰 화면 깨졌을 때 붙여볼 수 있습니다 [9] file 웨슬리 01.27 28986
17 삼성 스마트와치 기어2와 기어2네오의 충전도크는 호환이 안된다! [5] 미케니컬 09.09 29457
16 냉장고 와 김치냉장고 차이점 아세요? [5] 인간 02.26 29486
15 윈도에서 프린트하는 것마다 바닥에 넣지도 않은 watermark가 ? [1] file 왕초보 07.09 29869
14 샤오미 제품 정품 구분 [10] file 푸른솔 12.09 29939
13 학생들을 위한 무료프로그램 및 할인 (홍보 아님) [3] 스파르타 04.18 30272
12 skt 노트1 메인보드 교체 [8] file 섬나라 08.27 30915
11 멀티모니터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 [9] matsal 06.10 31204
10 짬짬이 아들 벙커침대 만들어주기.. [32] file 섬나라 07.08 31584
9 약한 화상에 좋은 팁 [10] 시나브로 06.25 31655
8 오래된차 라이트 복원하기.. [5] file 섬나라 06.27 32143
7 AutoCAD 도면 용량 줄이기 몇가지 방법들 정리 [1] file 미케니컬 02.10 33879
6 윈10 로그인 화면에서 아이디를 선택할 수 없을때.. 나도조국 08.18 38197
5 PC사운드카드 화이트노이즈 없애는 야매팁 file matsal 04.03 38288
4 오래되어 착색되고 냄새나는 텀블러 복원 [2] 아람이아빠 04.04 38372
3 office license key를 알아내는 방법 [2] 나도조국 06.30 38430
2 windows7/8/10에서 windows registration key (product key)가 무슨 이유에선가 필요할 경우 나도조국 06.25 38446
1 윈도10 성능 향상팁 (미확인) matsal 08.14 43481

오늘:
301
어제:
688
전체:
15,219,9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