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이언트PC의 실행속도는 어떤요소에 영향을받나요(하드웨어적요소)
2013.07.03 13:28
사무실에 서버PC1대(서버전용컴퓨터는 아니고, 보통 사무용컴퓨터입니다)가 있고
여기에 MSSQL server2005 express를 서버DB로 만들어진 업무용프로그램이 설치되어있습니다..
클라이언트PC3대가 서버PC와 유선LAN으로연결되어있고 ,3대 각각에는 업무용프로그램의 클라이언트측이 설치되어있습니다...
클라이언트PC의 업무용프로그램의 실행속도는 어떤요소에 영향을 받나요...(SW부분에도 영향을받을것같으나, 이것은 이미 개발사에서 완성해놓은 팩키지이기에 고칠수가없어서 하드웨어적인 요소만 알고싶습니다)
서버PC의 DB에서 데이타가 LAN을 타고서 클라이언트PC로 와서 실행되기에 서버PC- LAN- 클라이언트PC의 3자쪽에서 영향을받을것같은데요....구체적으로 어떤요소에서 어느정도 영향을 받는지 알고싶습니다...
서버PC의 CPU,서버PC의 RAM 에는 영향을받을것같은데 서버PC에 SSD를 설치하고서 여기에 DB를 설치한다고하여서 클라이언트PC측에서 실행속도가 빨라지나요...
클라이언트PC에서 업무용프로그램을 실행시에 성능을 좋게하려면은 서버PC의 어느부품에 클라이언트PC의 어느부분에 투자를 하여야하나요...아니면은 LAN속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나요...
감사합니다..
코멘트 4
-
꼬소
07.03 14:16
-
집념
07.03 14:21
1순위 서버 사양을 업그레이드
램/하드/CPU 순으로 하면 효과가 좋더군요.
MSSQL 언급하셨는데 서버 전체 램에서 2G 때시고 남은 용량 램이 DB용량 보다 작으면 어떻게든 램 용량 업글레이드 해주시고 만약 32bit에 4G램이신데도 DB용량이 더 많으시면 SQL 2000 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이런 상황에서는 64bit OS / 램 8G(DB 용량 보고 더 크게 늘려주셔야 됩니다.) / MSSQL 2008 이상 업그레이드를 하는 편입니다.
하드는 기존보다 높은 스펙이면 장땡...
CPU는 사람 많을 때 효과적인데 현 상황(3명)에서는 무의미하나 기존 스펙을 몰라 최소 듀얼 코어면 좋습니다.
2순위 PC 사양 업그레이드
혹시 사무용 PC가 CPU가 아톰 계열이시면 요즘 나오는 셀레론 계열이라도 변경하셔야 합니다. 그 외에.... 램이 1~2G가면 4G로 업그레이드 해주시면 됩니다.
3순위 네트워크 속도 업그레이드
유선이므로 거진 의미가 없습니다. 무선일 경우도 이미지 같은 용량이 큰 걸 조회를 한다고나 하면 모를까 또는 무선 혼선으로 속도 및 끊김 현상이 있으면 유선으로 변경하는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
입니다.
단지 이것도 업무 특성을 봐야 명확합니다만 평균적으로는 1,2,3 순위로 하면 사용시 체감이 됩니다.
-
김강욱
07.03 15:57
어디가 버틀넥이 걸리는 지가 중요하겠는데요.
1) 세명이서 사용하고 있을때, 서버의 CPU, Disk , Ram 현황을 보시고, 각 항목이 50% (구체적인 수치 제시가 어려워서 넉넉히 잡은 숫자) 가 넘으시면, 그 항목을 업그레이드해주세요.
2) 그게 해결된다음, PC 에서도 느리다면, 같은 행위를 PC 에서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요즘 일반적인 스펙에 세명 정도 붙는 데도 느리다고 느껴진다면, PC 가 느릴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만, CBC 라~
-
iris
07.03 21:28
강욱님께서 적어주신 바와 같이 병목현상이 어디서 벌어지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장 느린 것의 성능을 개선하는 것이 가장 큰 성능 개선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확한 각 부분의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즉, 서버 시스템의 CPU 점유율, 메모리 사용량, 디스크 I/O 비중, 네트워크 대역폭 및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부분이 규격에 충분한지 여부, 그리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네트워크, CPU, 메모리 사용 상태를 따져 가장 느린 부분을 개선하는 것이 효과가 큽니다.
지금은 별 쓸모가 없는(?) MCP의 각 과정은 성능 튜닝 및 하드웨어에 대한 증설을 검토할 때는 반드시 구체적인 모니터링을 하여 확실히 부족한 것만 손을 대라는 것을 반복적으로 설명합니다. 그 정도로 무언가 성능이 부족하고 그것을 개선해야 한다는 의지가 있다면 그 전에 분명히 '무엇이 문제인가'를 객관적스로 스스로 체크해보셔야 합니다.
클라이언트 PC에 투자하기 보단 네트워크 허브와 서버 컴퓨터에 투자 하시는게 나을거라 판단 됩니다.
클라이언트에서 DB서버로 계속 쿼리를 날리는 구조라면
DB 서버에 병목이 발생 할 것이고 네트워크와 함께 서버 하드웨어 성능에 민감 할 듯 합니다.
그리고 서버쪽 SSD 사용은 좋은 선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