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들은 어떻게 관리하시나요?
2013.07.08 23:46
아래 일기장 글의 인기에 편승해서 제가 전부터 고민하고 있던 질문을 해보려합니다. (죄송합니다.)
요즘 와서 매우 다양한 사이트, 통장, 카드 암호들을 휴대기기에 지니고 다니시잖아요. 매 사이트마다 일정 기간 후에 암호를 새로 변경하라고 하고 기존 암호와 비슷하면 안되는 곳도 있고 이렇게 하다 보면 엄청 다양한 변수의 암호가 생기더라고요. 따라서, 이걸 어디엔가에 적어 두어야 할텐데요. 다들 어떻게 관리하시나요? 예를 들어 저는
Bento (OSX DataBase 앱) ~~~싱크~~~ Bento (iOS 앱)
이렇게 관리했었거든요. 그런데 안드로이드로 넘어가면서 이게 전환이 안되어서 매우 불편을 느끼고 있습니다. Bento가 안드로이드용은 없습니다. 안드로이드에서는 Memento 라는 무료앱이 암호화까지 걸어둘 수 있도록 하는데요. 문제는 이게 싱크를 할 경우 일반 비 암호화 텍스트로 구글에 저장해야 합니다. -_-;;
게다가 Bento는 느리고 불편하고요.
제가 아는 어떤 분은 자신이 기억할 수 있는 질문들을 조합해서 암호를 만드는데요. 저같은 경우 가끔 술먹고 암호를 잘 못 기억해 내서 5번 넘게 틀려서 휴대폰이 완전히 잠겨버린 (정말로 사용 불가로 버린) 적도 있었습니다. -_-;;
코멘트 10
-
유태신
07.09 01:35
-
piloteer
07.09 01:55
제 경우는 에스비님이 사용하시는 방법을 참고해 자바스크립트로 자체 암호생성 함수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사이트마다 다른 암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 규칙이 있기 때문에 코드를 돌려서 새로 만들면 되기에 잊어버려도 복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점은 직접 프로그램을 짜야한다거나 하는 면이 있습니다.
-
상호아빠
07.09 02:33
저는 3단계로 나눕니다.
1단계 - 은행용 돈에 관련된것.
2단계 - 주로 많이 들어 가는 사이트
3단계 - 으심스러운 사이트 혹 1회용 사이트
3단계로 나누어 다른 비밀 번호를 사용합니다..
-
휴911
07.09 08:12
저는 규칙을 정하고 각 경우에 그 경우를 적용하면 좀 다른 짝말이 나오게 하여 씁니다.
짝말은 다 다르지만 규칙은 동일하기에 규칙만 기억해두면 큰 문제는 없고
틀려도 몇 번 다시 해보면 대부분은 맞습니다.
짝말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써보려고 했지만 PC를 항상 가지고 다니는 것도 아니고
쉽지 않더군요.
휴대폰에서 하면 어떨지 모르겠는데, 또 휴대전화 기기를 바꾸면....
구글을 쓰면 될지 모르겠는데, 빅브라더를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으시네요...
어쨌거나 제 결론은 같은 규칙을 적용한다 입니다.도움이 되시길...
-
TX
07.09 11:04
가입하는 사이트의 보안수준이나 용도등을 고려하여 5레벨정도로 분류하고 그에 맞는 암호를 씁니다. 근데 웹사이트 들이 자꾸 암호를 바꾸라고 하는 통에 뒤죽박죽이 되고 암호가 10개 가까이 파편화 되었습니다. 최근 중국 방문을 계기로 그곳에서 로긴할때 썼던 패스워드들을 변경하고자 암호시스템을 정비하고 용도에 따라 15개 정도의 암호로 나누어 만드는 중입니다. 마침 어제 일을 시작했는데 이글을 발견 했네요. 암호를 복잡하게 관리하는 가장 큰 목적은 웹에서 대부분 동일한 아이디를 쓰는데 한곳의 암호를 알더라도 다른 곳에 적용 못하게 하는것입니다. -
집념
07.09 11:31
전 PasswdSafe 사용합니다. 그리고 구글 드라이브로 싱크를 걸어둡니다.
그리고 이글을 쓴 시점에서 안드로이드용 앱도 있고 싱크용도 있네요.
지금 해봤는데 PASSWORDSAFE + PASSWORDSAFE SYNC 2개 설치하고 구글 드라이브 계정 권한을 주니 잘 되네요.
-
그럼 구글 드라이브에서는 어찌 저장이 되나요? 웹 브라우저에서도 확인되 버리도록 일반 평문으로 저장되어 있나요? 구글 드라이브에서는 또 암호 설정 기능이 없어서 말이죠. 이걸 선택해도 저걸 선택해도 불안해요.
-
집념
07.09 14:35
passwordsafe 를 처음 실행하면 단일파일로 DB를 먼저 만듭니다.
이 때 DB 파일에 자체 암호를 입력하셔야 합니다. passwordsafe 전용 파일이라 메모장으로 열어봐도 암호화된 내용이라서 의미는 없더군요.
이 db 파일을 단지 구글에 업로드를 하는겁니다.
그래서 데탑에서 한번 생성 후 종료하시고 구글 드라이브에 업로드 혹은 구글 드라이브 폴더에 복사 하신 다음
데탑 passwordsafe를 실행하셔서 구글 폴더에 있는 파일로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참고로 데탑 passwordsafe 프로그램 옵션에 가셔서 윈도우 시작시 실행을 없애주셔야 합니다. 그래야 db 파일 싱크충돌이 안생깁니다.
-
답변 감사합니다. 조금 시간 걸려서 만져보니 다 되네요. ㅎㅎ
다만 당분간은 OSX에서 쓰던 앱이 더 편리해서 조금 더 기다려 본 다음에 바꿔야 겠습니다.
-
조금 고민하다가 OSX/iOS 의 Bento 데이터는 그대로 두고 이걸 변환시켜서 PasswdSafe에도 집어 넣었습니다. 이 앱도 맥/PC 모두에서 관리할 수 있으니 편하네요. 추천해주신 것 처럼 구글 드라이브 까지 연동 시켜 놓으니 매우 좋네요. 다만, 초기 변환 이후에 발생하는 Bento 랑 PasswdSafe 사이의 싱크는 수작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_-;;
저는 짝말(암호)를 따로 적어두지 않고 저 나름대로 지어놓은 틀에 맞추어 돌아가며 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