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에 떠 있는 구름 크기 재는법
2013.08.21 14:08
하늘의 구름을 보니 문뜩 저 구름은 얼마나 큰걸까 궁금해졌습니다.
지상에서 특수한 장비 없이 하늘에 떠있는 구름의 길이를 재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옛날 그리스인들이 삼각함수로 어쩌구저쩌구 해서 지구 크기도 재고 하던데, 비슷하게 구름정도는 쉽게 측정할수 있을꺼 같은데...
어떻게 잴수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코멘트 18
-
푸른들이
08.21 16:18
-
먼저 구름의 크기가 정의가 가능한건지부터가 알고 싶습니다.
-
인포넷
08.21 22:26
구름은 수증기의 집합체(?)이라서 크기가 아니라 부피로 측정하는 것이 맞을 것 같네요... -
왕초보
08.22 01:12
특수한 장비는 없다고 치고 일반 장비는 어떤 것들을 가지고 측정을 할 건가요 ? 옛날 그리스인들이 지구 크기 재고 했던 것이 별 장비가 없이 했던게 아니랍니다. 그때 나름으론 대단한 장비들을 갖고 있었지요. ^^ 맨몸으로 측정하는 방법은 푸들샘 말씀대로 하는 방법 밖에는.
고대 그리스 정도의 장비는 사용가능하다면 말이죠..
이런 식으로 각만 측정해서 계산이 가능하죠. 거리를 알고 있는 두점에서 측정해서요. 아 물론.. 지구가 평평하고.. 두 점은 수평면위에 있고.. 등등 조건들이 많이 들어가고요.. 저 측정하는 구름 두끝의 점들을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는 전제하에서..
-
김강욱
08.22 02:59
오~ 이런 방법이 있군요.
이해는 가지만, 계산은 못한다는 게 함정...ㅋㅋ
-
왕초보
08.22 05:21
생각보다 쉬워요. 두개의 삼각형만 찾아내고 두 꼭지점 좌표간의 거리만 구하면 되니까. ^^ 시키면 저도 못한다는 것은 함정. ( '')
-
김강욱
08.22 01:11
2k 이하 부터 7km 까지 있네요. 구름의 높이 구하는 게 제일 관건이네요.
그에 따른 오차가 클테니.
-
김군
08.22 08:31
위 그림에서 좌측 지점과 우측 지점에서 관측한 바를 가지고 심각법을 사용하면 구름 높이는 어렵지 않게 잴 수 있습니다. 다만 두 지점 사이를 움직이는 동안 구름이 가만히 있어주지 않는다는 게 진짜 어려운 점이겠네요.
-
김강욱
08.22 08:50
흠...두명이 동시에 재야 겠군요.
-
하얀돌
08.22 11:15
태양이 충분히 멀리있다고 인정되는 상황이니깐 땅에 비친 그림자를 재는게 제일 확실하겠네요
-
쿠후^^
08.22 13:34
제 질문은 왕초보님의 그림처럼 구름의 길이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그림을 봐도 복잡해 보이는것이 생각보다 어려운 일이군요. 시간날때 답변주신것들을 참고하여 다시 연구해봐야 겠습니다.
-
TX
08.22 19:32
구름의 높이를 안다면 눈에 보이는 크기만으로 간단한 장비를 통해 각도를 재고 크기를 가늠할 수 있겠지요..
구름 종류별로 높이 분포가 다르니 구름 종류를 알아볼 줄 아는 능력과 계절, 기후별로 주로 발생하는 구름의 높이를 안다면 혼자서 한 자리에서도 구름 크기를 가늠항 수 있을듯 합니자. -
맑은샛별
08.22 23:16
몇가지 가정이 필요하겠지만...
단순하게 생각해서 구름의 길이(특히 움직이는 구름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을 듯 싶네요.
땅위의 특정지점을 구름이 지나가는 시간을 측정하는 거죠.
예를 들어 A 지점을 구름의 시작부분이 통과 할 때부터 구름의 끝 부분이 통과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한 후...
현재의 풍속을 측정하여 구름의 이동 속도를 알아내고 A지점을 모두 통과할 때까지 걸린 시간으로 나누면...
구름의 전체 길이가 나오지 않을까요?
물론 땅위의 풍속과 하늘의 풍속이 똑같다는 가정하에서 가능하겠지만요. ^^;;
-
맑은샛별
08.22 23:18
조금 더 생각해보니...
구름이 A 지점에서 B 지점까지 도착하는 시간을 측정하면 구름의 이동 속도를 알 수 있겠네요.
그럼 풍속을 따로 측정하지 않아도 가능 할 듯 싶은데... ^^;;
-
맑은샛별
08.22 23:23
구름이 A 지점에서 B 지점까지 도착하는 시간이 1분이 걸렸다고 하고...
A 지점과 B 지점간의 거리는 100 미터라고 한다면...
그리고, 구름이 A 지점을 도착한 후 완전히 벗어나는 시간이 3분이 걸렸다고 한다면...
구름의 길이는 300 미터 정도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
-
맑은샛별
08.22 23:26
음... 술 한잔 먹고 와서 (어제도 회식... 오늘도 회식.... 요즘 술자리가 좀 많네요.)
1키로짜리 아이스크림 한통을 다 비우는 동안 생각해 본 내용이에요.
그렇기에... 전혀 맞지 않을수도 있겠다 싶네요. ^^;;
아이스크림 다 먹었으니 청소하고 내일 아침 식사를 미리 준비해 놔야 겠어요.
역시 혼자 살면 해야 할 일이 많네요. 술 먹었다고 바로 퍼져 잘 수도 없고...
-
푸른들이
08.23 02:54
물론 땅 위의 풍속과 하늘의 풍속은 다르죠. 일단 땅과 가까울 수록 풍속은 작아집니다.
일단 고층아파트 고층으로만 올라가도 바람이 좀더 많이 부는 걸 느낄 수 있을 겁니다. ^^
-
뜬 구름 (길이) 잡는 내용이군요.
원 글과 댓글 잘 보았습니다.
간단하게는 각 크기를 재시면 되겠지요? 예를 들자면 팔을 쭉 폈을 때 엄지손톱으로 가려진다면 엄지손톱길이=팔길이*각 이니까 구름의 각크기를 알 수 있을테구요 그 다음은 구름까지의 거리를 알아야 하겠지요? ^^
구름까지의 거리는 대개 구름의 모양으로부터 높이를 추정하는데 그건 관련 사이트를 한번 보셔야 할 것 같네요.
높이에 따라 저, 중, 고로 구분이 가능할 테니 대략적인 크기를 가늠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