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 NAS 를 구축해보려 하는데,
2013.11.04 15:27
사용용도는 네트워크 스토리지정도면 충분합니다.
다만,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이라도 모두 볼 수 있는게 아니였으면 하네요.
단순히 비밀번호를 거는게 아니라, 애초에 특정 ip 등의 특정 네트워크 컴퓨터에서는
nas를 볼 수 없게끔 해버리고 싶습니다.
이것들이 가능할까요?
또한, 자료들에 대한 백신 기능은, 그냥 알아서 할 수 밖에 없는건지,
아니면 백신기능이 가능한건지 궁금합니다.
대략적인 용도가 이렇다고 한다면 가격대를 어느정도로 잡아야 될런지도 조언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코멘트 3
-
집념
11.04 16:29
NAS 에 백신 기능은 QNAP이 제공은 합니다만... 신뢰성은 아직 검증이 안되서 뭐라 말씀드리기 어렵네요.
특정 컴퓨터에서 NAS를 숨김 기능은 저는 아직까지 본 적은 없습니다만 NAS안의 폴더를 숨김 기능은 있습니다.
단 NAS 주소와 해당 숨길려는 폴더명을 알고 있다면 접근은 가능합니다. 그래서 로그인 ID 마다 폴더 지정을 하는거지요. 접근은 하더라도 권한은 없어서 볼 수 없게 ....
-
iris
11.04 23:26
파일 서버에 바이러스 백신 기능은 Windows 기반 서버(MicroServer 등)라면 어렵지 않게 넣을 수 있지만, 그냥 가끔씩 백신이 제대로 깔린 PC에서 그냥 전체 네트워크 드라이브의 스캔을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은 됩니다. 시간과 트래픽면에서 효율성은 떨어집니다만, 바이러스 백신으로 인한 서버의 성능 저하는 사라집니다. Windows 기반이 아닌 NAS라면 기반 운영체제가 해킹이라도 당하지 않는 이상 그 자체에 바이러스 감염 위험은 거의 없는 만큼 이렇게 정기적인 파일 검사만 해줘도 웬만한 걱정은 사라집니다.
또한 아예 NAS가 보이지 않게 하려면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라우터에서 처리를 해야 하는 만큼 꽤 복잡한 일이 되기에 추천하지 않습니다. 그냥 로그인 계정 및 암호 설정만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아니면 아예 SMB를 쓰지 않고 FTP같은 것만 활성화시키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것도 완전하지는 않지만 SMB에 비해서는 접근성을 떨어트리는 효과가 있습니다.
백신기능까지 원한다면 hp 마이크로 서버로 가세요.
os설치 하고 백신깔고 파일 공유기능 활성화 한 다음, 내부 방화벽 기능으로 조물딱해주면 다 해결됩니다. 제가 샀을때 대략 40만원대 후반였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