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태블릿당


이건 2개의 Z2580기기로 테스트를 해본상황이라


다른분들하고 많이 다를지 모르겠습니다만


일단 이런 문제들이 있습니다.



1. 배터리 관련 부분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언급할려고 하지 않았는데


제가 가진 충전기가 2A이라서 그럴지는 모르겠으나


작년에 Onda V972에서 나왔던 문제가 그대로 나오고 있습니다.


충전중에도 배터리가 소모됩니다.


이게 단순히 게임할때 충전량과 소모량이 다르다면야


어느정도 납득하겠지만


동영상 재생할때 (MX Player에서 Software 디코더를 사용한 상황에서)


역시 마찬가지로 충전중에 40분정도 재생중에


1-2%정도 소모됩니다.


물론 좀더 Current가 높은걸 쓰면 해결될수 있을 문제이나


조금 아쉽긴 했습니다.


완충후 실 가용시간에 대해서는 이렇습니다.


Wifi키고 일반 동영상을 재생할때는 스펙대로


배터리시간이 나오긴 합니다.


스트리밍 동영상 역시 꽤 괜찮게 나옵니다.


다만 웹브라우징할때는 급격할 정도로 배터리 소모량이 증가합니다.


거기에 2D게임을 할때 (Plant Vs Zombie 2를 예로)


밝기를 최대밝기로 맞출경우


배터리 소모되는 게 거의 보일정도입니다.


3시간 30분만에 배터리가 완전 소모되는 일도 있었습니다.


아래 다시 이야기 하겠지만 2D게임 진행할때는


GPU의 능력보다는 CPU의 능력만을 사용해서


혹사시키는듯 합니다.


3D의 경우야 PowerVR SGX544를 그대로 쓰기에


배터리에 대한 문제는 크게 없어 보였습니다.


(딴데 있어서 그렇지 ^^;)



2. 발열부분


여기에 대해서는 뭐라고 이야기하기는 쉽지 않겠지만


과거의 중국 타블렛들이 토렌트나 스트리밍 비디오 돌릴때


급속하게 발열이 증가하는 것하고 다르게


단순 작업을 할때 문제가 없다라고 보시면 되겠지만


CPU자체를 혹사시키는 2D게임을 할경우에는


뒷판의 AP가 장착된 부분이 50도 이상을 넘어가는 상황도 생깁니다.


아직까지 3D게임의 경우 상당히 단순한 게임만 진행시켜봤기에


3D게임 구동했을때의 발열 부분에 대해서는


좀더 연산처리가 복잡한 게임이 아닌 이상


테스트를 좀더 필요하긴 합니다.


단 2D 가속부분에 대한 전반적인 문제점은 존재하는듯 하며


MFLOPS가 Single Thread에서도 80이면


중국의 일반적인 듀얼코어가 Multi Thread에서 작업하는 것과


비슷한 경우인데 실재 테스트로 들어가면


Threading을 전부 구동시켜서 2D관련 작업을 하는 듯 합니다.



3. 동영상 관련


Z2580의 동영상에 대한 호환성은 지속적으로 고쳐졌고


과거에 하드웨어 디코더때문에 재생자체에 문제가 생긴것 역시


많이 수정된듯 합니다.


더구나 MX Player에서 x86용 소프트웨어 디코더를


기본적으로 장착된 상황이라 재생하는 데 크게


문제가 없으리라 봤고


많은 동영상 포멧이 하드웨어에 맞춰서


디코딩이 되고 있습니다.


단 이건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하드웨어 디코딩이나 소프트웨어 디코딩이나


크게 차이가 없는 걸 볼때


아마도 Z2580의 칩자체에는 GPU 혹은 VPU가


동영상 디코딩을 담당하는 기능은 없고


아예 커널내에 소프트웨어 디코더를 쑤셔넣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물론 이건 인텔측에서 커널소스를 이렇게 디자인 한것인지


아니면 중국측 디자인 하우스에서 이렇게 한것인지는


좀더 살펴봐야겠지만


(이건 사실 Dell Venue가지고 계신분이면 확인이 가능하겠지만 ^^;)


배터리 소모가 생각외로 많이 되는듯 합니다.


거기에 HW로 디코딩했을때


다시 재생할 경우 동영상과 음성의 Sync관련도 맞지 않아


SW디코더로 바꿔줘야 합니다.


후에 개선이 될수 있는 버그이긴 하고


급격하게 디코더를 끼워넣는 과정에서 생기는 시행착오로 보여져서


아마 제대로 지원된 된다면 수정은 가능하리라 봅니다만


정말 이렇다면 특정포멧을 재생하면 배터리를 유지하겠지만


펌웨어내에 심어진 소프트웨어 디코더로 재생할경우


배터리 가용시간은 그래도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4. 커널 패닉


이걸 겪어본 분이 계실런지는 모르겠으나


프로그램이 뒤섞여서


전혀 필요하지 않은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장 재미있는건 bittorrent Client와 웹브라우저의 오작동인데요.


초기에는 문제가 없었으나 웹브라우저의 특정 웹사이트에 들어가면


Torrent파일을 다운받는 사이트가 아닌데도


갑자기 Bittorrent Client가 작동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거기에 시스템렉이 일어나서


화면이 30초정도 검어지는 현상도 생깁니다.


또한 메모리 처리에 문제가 좀 있는지


기기에서 열수없는 포멧을 열때 (PDF 700메가짜리)


기기자체가 리셋되는 상황도 생깁니다.


물론 이런 경우에 구동할수 있는 파일이 없다는 메시지가 나오는게 정상이긴 허나


가끔 이런 현상이 나옵니다.


3D게임은 구동은 잘되는데 렉이 생기지 않을


구간에서 갑자기 렉이 생깁니다.


즉 3D성능자체가 떨어지는 기기가 절대 아님에도 불구하고


말이죠.. 


거기에 게임기 에뮬레이션이야 뭐 에뮬레이션에 에뮬레이션을 한것이니


잘 맞춰주지 않으면 PSX게임 정도라면 벅벅 기어다닙니다.


이건 뭐 중국의 특징인지 아니면 안드로이드 OS의 기본적인 역량인지는 모르겠으나


CPU 성능이 이렇게 좋다라고 싶으면 충분히


메모리처리 부분에 대해서는 중국AP보다는 나으리라 봤지만


성능이 두배라고 해서 꼭 2배의 능력을 가지지는 못하는 듯합니다.




대략 이정도로 정리될수 있는데요.


제가 하는 테스트는 대부분 꽤 급격한 환경에서 하고 있기에


동일한 결과가 나오지 않을수는 있을겁니다.



그외에 한가지 아쉬운건 Ramos측에서 인텔계열 기기를 내면서


SD/TF카드 슬롯이 상당히 깊게 만든다고 합니다.


아예 빼낼수 있는 기구를 i8에서는 첨부를 하는데


분명히 Ramos에서 이정도의 상황은 알텐데


이게 Ramos측의 디자인 취향인지 아니면


Intel측의 의견이 반영된것인지에 대한 건 잘 모르겠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공지 STUFP 대책 모임 게시판이 열렸습니다. [1] 웹마스터1호기 2016.11.16 15140
공지 락칩 V1.8 성야무인 한글화 Tool입니다. 星夜舞人 2014.11.20 36148
공지 태블릿 추천란을 마련했습니다. [4] 星夜舞人 2013.09.09 257174
공지 KPUG 안드로이드 기기 DB 작성을 위한 Google Docs 입니다. [22] 낙랑이 2012.12.02 310295
공지 [ADB드라이버 설치하기] & [루팅 하기] [2] Lock3rz 2012.11.29 333309
공지 타블렛 구매할때 몇가지 유의하셔야 될점... [19] 星夜舞人 2011.12.08 288843
4215 |잡담| 결국 중국에서 생산한 저가 안드로이드 타블렛 자체가 병렬 데이터 처리에 문제가 있는거 였네요. [2] 星夜舞人 01.16 2727
4214 |잡담| JXD S5800 실기기 영상이 등장했네요 [3] 94Nagi 01.15 3908
4213 |잡담| 중국에서 Z3740D랑 Z3770이랑 가격차이를 조금 다르게 두는것 같습니다. [3] 星夜舞人 01.13 3171
4212 |잡담| Amlogic의 쿼드코어인 AM-M8의 상황이 많이 나쁜듯 하네요. [8] 星夜舞人 01.13 2536
4211 |타블렛뉴스| Cortex A12 Quad AP인 RK3288의 공식자료입니다. 星夜舞人 01.13 3457
4210 |질문| E708 Q1, Q2 USB 케이블 [6] file 타블렛과의전쟁 01.10 2725
4209 |타블렛뉴스| Rockchip의 A17 기반 쿼드코어인 RK3288의 레퍼런스회사가 Vido로 결정되었고 첫모델은 M10이란 이름으로 출시합니다. [9] 星夜舞人 01.09 3585
4208 |잡담| 2013년 안드로이드 타블렛 정리에 대한 글 일부분입니다. ^^; [2] 星夜舞人 01.08 2753
» |잡담| 현재까지 나온 Z2580의 문제들.. [5] 星夜舞人 01.08 3941
4206 |타블렛뉴스| 299위안 AA31s의 IPS타블렛 Ployer Momo9 조류판 [5] 星夜舞人 01.07 3379
4205 |타블렛뉴스| Rockchip의 RK3288은 A17 쿼드라고 합니다. 星夜舞人 01.07 2291
4204 |타블렛뉴스| Vido W10의 IMP3의 리뷰입니다. 星夜舞人 01.07 3109
4203 |질문| Colorfly Q1 또는 Q2의 USB 케이블 [7] 타블렛과의전쟁 01.07 2422
4202 |질문| u30gt2 펌웨어 가 안됩니다!! [6] 이름난철씨 01.06 2563
4201 |잡담| Ramos I8과 Ramos I8C. 대체 뭘까요??? [2] 星夜舞人 01.06 3427
4200 |잡담| 화면 캡쳐 기능 vs 생사진 찍기 [4] 星夜舞人 01.05 4942
4199 |잡담| 일본 라쿠텐 onda v813 샀어요 [2] 동경은흐림 01.05 1940
4198 |질문| mt8389 루팅 문제... [5] file 루메 01.04 5245
4197 |질문| 커스텀롬 만들어 보신분들께 물어봅니다 [2] 카라멜마늘 01.04 3275
4196 |잡담| 2013년 타블렛 정리쓰고 있는데 정말 지치네요. [8] 星夜舞人 01.04 2120

오늘:
101
어제:
604
전체:
15,219,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