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P Cell 결국 Withdraw하는 것 같군요.
2014.03.14 12:24
실제로 된다면 세상을 바꿀수도 있을정도의
어마어마한 발견으로 봤는데
결국 재연성 및 데이터의 부적확성으로 인해
Nature에서 내리게 될것 같네요.
공저자인 하버드쪽의 오오바타 하루코박사의
지도교수는 아직까지 내리는데 찬성하고 있지 않아
좀더 봐야겠지만
일단 내리게 되면 이쪽 관련분야야 그냥 하나의 해프닝정도로 남겠지만
오오바타 하루코박사의 경우 쉽게 생명과학쪽으로 직업을
얻기는 힘들겁니다.
오오바타 하루코박사쪽이 스포트 라이트를 다 받은 상황이기에
주변인에게도 꽤 힘들어질 가능성이 높구요.
사실 3월4일에 공개된 STAP Cell만드는 Protocol을 봤는데
면역학이나 공유배양쪽에 몸담그고 있는 사람이라면
어렵지 않게 할수있는 그렇게 손타는 작업도 아니었으니까요.
(솔직하게 이야기 드리자면 Protocol자체는 1-2개월 정도만 훈련시키면 웬만한 고등학생도 할수 있을정도입니다.)
너무나 아쉽게 되었습니다.
어찌되었던 STAP Cell관련해서 강좌란에 그림과 함께
아주 알기 쉽게 글한번 써보겠습니다.
코멘트 9
-
만능세포라는게 존재할 경우 획기적이긴 하지만 실제 임상쪽으로 적용할려면 걸리는게 한두가지가 아닙니다. 실제 STAP Cell에 관한 논문이 제대로였다 해도 기능을 할수 있는 세포에서 기관쪽으로 만드는것자체 상당히 힘듭니다. 당장 화상치료를 위해 자가세포 복구를 위해 피부세포를 띄어내서 재배양해서 붙이기만 하는데도 상당히 시간이 걸리고 배양과정중에 세포자체가 변이 될경우 MHC로 인한 거부반응을 없애 버리는 상황도 생각해 내야 하니까요.
따라서 앞으로 만능세포가 나온다는 전제를 단다하더라도 이 혜택을 받는 건 공정과정에 대한 획기적인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힘들겁니다. 즉 쉽게 이야기 하자면 줄기세포 분야에서 만능세포란 산업혁명 이전의 시대에 획기적인 발명품 정도로 보시면 될겁니다.
-
빠빠이야
03.14 14:07
어쩌면 야마나까 박사가 한숨 돌렸을 수도 있겠네요.. ^^;;
-
후후후 그럴수도 있겠네요..
하긴 현재 일본에 Stem Cell관련해서 야마나카박사가 펀드를 거의다 독식하는 분위기이긴 하니...
-
맑은하늘
03.14 14:14
방송에서, 공저자가 사과회견하면서, 논문 사진을 봤더니.. 포토샵 조작 같더군요.
다른이야기로
withdraw하니 with drawal.. 현금서비스가 생각난다는..
-
김강욱
03.14 15:50
withdrawal (2)
-
calm
03.14 15:30
황우석이라는 전례도 있는데, 왜 그랬을까요;;
-
일단 이문제에 관해서는 비단 황우석박사라서 그런게 아니라 상당히 빈번하게 일어나는 일중에 하나고 실제로 큰 대학교나 연구소에서 일하다 보면 이런식으로의 조작으로 실험실 방빼고 딴데로 옮기는 교수 많습니다.
다만 STAP Cell의 경우 파장이 워낙 큰일이기에 (역사를 바꿔놓을수 있었던 발견이니) 그냥 넘어가는 일이 없을것 같습니다.
일본 의학계의 경우 작년 교토대의대에서 돈받은 교수때문에 한바탕 난리였는데 이번에 또한번 큰일이 일어났네요.
-
왕초보
03.15 00:08
안타깝네요.
줄기세포에 관심있는 장애인들 많은데 황우석에 이어 두번째 가슴에 대못박는 사건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