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커 팝노이즈현상해결방법(usb 출력지연 방법?)
2014.07.06 07:23
질문하시기 전에 게시판 검색을 먼저 해주세요.
타블릿PC, 스마트폰에 관한 질문 또는 요청은 <포터블기기 질문답변>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usb 스피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출력이 워낙 좋은 친구라 볼륨을 2%만 해두어도 뻥뻥 터지는 ㅜㅜ
예전에 옥션에서 올킬세일? 할때 저렴하게 구한 addon soundbase mobile 이라는 제품입니다.
쿨러도 되고 스피커도 빵빵해서 좋긴한데 너무 빵빵한게 문제이고
노트북이 대기모드 들어갈때, 돌아올때, 노트북 켤 때 퍽퍽 소리가 나내요
소리가 워낙 크니 많이 거슬립니다.
여기 저기 검색해보니 우퍼가 들어있는 스피커에서 팝노이즈 현상이라 하내요.
컴퓨터를 부팅할 때 스피커, 헤드셋에서 '펑' 소리는 왜 나나요?
메인보드 내장 사운드카드에서 보통 흔히 볼수 있는 현상으로
컴퓨터를 키실때 켜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부팅하면서 높은 전기가
갑작스레 소리를 출력하는 칩셋(사운드칩셋)에 들어가면서 나오는 현상입니다.
이 현상을 전문용어로 [팝노이즈]라 합니다.
스피커를 오래 사용하실꺼라면 컴퓨터를 키실때와 끄실때 스피커를 끄거나 소리를 줄여도 됩니다.
이것저것 검색해봐도 소프트웨어적으로는 해결이 안될듯 싶고요
일반적인 오디오는 출력지연회로? 를 달아서 전원이 서서히 들어가게 만들어서 해결하더군요. 2초정도 딜레이되게
usb 포트도 비슷하게 출력지연회로를 달아서 전원이 서서히 들어가게 만들수 없을까요?
아님 그런 소켓을 판매하는게 있을까요?
아님 어떤 분이 만드셔서 판매하시면 히트?는 아니더라도 수요가 꽤 있지 싶은데요^^
usb를 뺐다 꼇다하는 무식한 방법보다
뭔가 근본적인 해결을 하고 싶은 욕망이 생겨서 생각날때마다 뒤져보는데
결론은 하드웨어적해결인듯 싶어서요. 만문에 힘을 빌려봅니다.
코멘트 4
-
왕초보
07.08 02:06
-
즐거운하루
07.08 06:32
어려운 문제였군요
답변감사합니다
본인들도 써봤을텐데 이따위로 만들었는지
그래서 저가로 쎄일하듯 팔았겠지만요
볼륨이 너무 커서 퍽 소리도 무지 크다는 ㅎㅎ
외부에 볼륨조절 기능만 있어도 이정도는 아니지 싶은데 없어요 -
왕초보 님이 정답.
USB 스피커라서 그런 소리가 나는게 아니고요
앰프-스피커 구조에서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pc 스피커는 대개3.5mm 음원부와 USB 전원부 스피커또는USB 음원부와 아답터 전원부 스피커또는USB 단자로 음원/전원 모두 해결하는 스피커 정도가 있겠지요?저는 3.5mm/USB 형으로 된 구식을 쓰고 다른건 안 써봤습니다만음원부와 전원부가 분리되어 있는 스피커의 경우에는컴퓨터 부팅 후에 전원을 넣으면 팝핑을 없앨 수 있습니다만약 USB 단자 하나로 전원과 음원 모두를 해결하는 경우에도부팅 후에 USB 연결을 하면 팝핑을 없앨 수 있을 겁니다만이런 스피커는 제가 안써봐서 자세히는 모르겠습니다 (-_-;;)다만 원리는 왕초보님이 설명하신 것과 같고음원부는 상관없이 전원부를 나중에 넣을 수 있다면 팝핑해결 가능합니다앰프 켜놓고 음원을 연결하면 어떤 구조에서도 팝핑이 발생하기 때문에비단 USB 스피커 뿐만이 아니라그 어떤 곳에서도 스피커와 음원이 사용되는 곳이라면그것이 하나의 음원이던 믹서를 사용하는 여러개의 음원이던음원 연결이 먼저요 전원은 나중에 공급하는 것이 가장 기본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
즐거운하루
07.09 07:12
감사합니다 제껀 음원전원 같이 공급하는 방식인데 어렵네요^^
팝노이즈는 소리가 거슬리는 것보다도 스피커에 무리가 갈 수 있기 때문에 해결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스피커 팝 노이즈는 생각보다 원인이 다양한데요.. 소스-프리앰프-앰프-스피커 구조에서는 답이 없습니다. 순서 잘 맞춰서 끄고 켜주는 방법 밖에 없고요. 소스에 모든 것이 들어있어서 스피커가 바로 붙는 구조에서는 디지탈로 해결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이게 해결안되면 팝 입니다. -_-) 회사마다 자기 나름의 답이 있어서 표준화는 불가능.
USB 스피커는 어떻게 보면 소스에 스피커가 바로 붙는 구조로 볼 수 있는 것이, 오디오 디코딩을 스피커에서 하기 때문이죠. 그런데 그넘의 전원을 서서히 들어가게 한다고 팝이 없어지지는 않습니다. 로직 보드는 전원이 먼저 들어가고 앰프단의 전원이 나중에 들어가게 해야 원하는 것을 얻게 되는데요. 말씀하신.. 볼륨을 줄였다가 키웠다가 하는 것을 알아서 하는 식이 되는 것이죠. 문제가 없어지지는 않지만 많이 줄어듭니다. 그런데.. 제조자가 설계 변경을 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지만.. 사용자가 핵킹해서 이 짓을 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