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F Project 스펙상황
2014.07.29 08:47
자 이제 타협점을 찾아와야 할 시기가 되었습니다.
크크크.
기본적으로 AP는 RK3188T입니다.
RK3188의 경우 USB충전도 안될뿐더러
대기시간에 배터리는 물론 그냥도 적당한 밝기로 셋팅이 되지 않았을때 배터리는 쑥쑥소모됩니다.
RAM은 1GB를 기본적으로 하겠습니다.
2GB까지는 일단 기본적으로 제조되는게 없고
제조되더라도 공정에 추가해야 되니 가격이 꽤 나간다고 하네요. ^^;
512MB야 뭐 그냥 쓰기에는 괜찮긴 하겠지만
고사양 요구하는 게임들의 경우 잘 되지도 않습니다.
LCD패널은 1024X600 혹은 1280X800 둘중에 하나가 되긴 하겠지만 무조건 IPS입니다.
Touch Panel은 Gorrila Glss 혹은 Gorrila Glass like (짝퉁이겠죠 ^^;)로 가야겠지만
그쪽 스펙을 봐야 될겁니다.
낸드가 상당히 애매한데요.
낸드의 경우 8GB냐 16GB냐는 조건으로 고를수는 있으나
전반적인 상황에 따라서 조금 달라질듯 합니다.
배터리는 2600-3600mAh라고는 이야기 했지만
실제로 용량이 탑재되는게 씌이느냐 아니냐가 관건입니다.
즉 그쪽에서 3000mAh을 탑재한다 하더라도
이게 정말로 3000mAh의 효율을 나타낼것인지 아닌지는
실제 테스트 과정에서 검증을 해봐야 되는것이기에
조금 애매한면이 있으나 제대로만 탑재될경우
28nm기에 2600mAh으로도 충분한 가용시간을 낼수 있습니다.
단 제대로라는 전제조건이 붙어야겠죠.
금형부분은 1024X600모델은 플라스틱이나 메탈을 고를수 있습니다만
1280X800의 경우 중국측에서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메탈을 쓰고 있습니다.
물론 1280X800의 경우도 공용금형이 들어간것도 있긴 허나
품질을 보장하지 쉽지 않겠죠. ^^;
금형부분에 대해서 몇가지만 이야기 드리자면
플라스틱과 메탈의 경우 Wifi부분이 많이 걸립니다.
즉 조립에 대한 품질이 높다면야 메탈 역시 Wifi에 대한
수신율 저하가 없겠지만
중국에서 그런걸 기대하기란 쉽지가 않겠죠?
이건 제조사측도 인정하는 거라 어떻게 할 도리는 없어보입니다.
상대적으로 플라스틱은 Wifi수신에 크게 영향을 받는 구조는 아니라서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내구성 및 디자인적면에 한해서는 역시 메탈쪽이 플라스틱보다 낫긴 합니다.
즉 싸게 보이지는 않는 구조고
웬만해서는 찌그러 지지는 않습니다.
금형을 바꾸는 부분은 이렇습니다.
목업으로 해서 디자인을 어느정도 (물론 가격에 대한건 좀더 봐야겠지만)
확실히 플라스틱이 편하긴 합니다.
메탈의 경우 일단 정해진 금형이 있다면
그걸 바꾸기가 중국의 저가 수준을 생각한다면야
상당히 힘들고 사실 금형을 새로 떠야 할지 모르기에
단가가 엄청나게 올라갈겁니다.
금형에 대한 부분은 대략 이렇습니다.
타블렛 자체 단가의 경우 1024X600 IPS로 할경우 플라스틱은 44-46달러선으로 보시면 될겁니다.
1280X800 IPS는 61-65달러선입니다.
단가부분에 대한건 아마 좀더 봐야지 알겠지만
최종단가의 경우 1024X600은 대략 6만5천원선에 AS비용까지 될듯 하겠지만
1280X800은 7만5천원에서 8만원선에서 왔다갔다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코멘트 21
-
KDX
07.29 09:30
-
가격문제는 저도 만원정도라면야 큰 고려사항은 아닌데 1280X800이 케이스가 메탈이라 wifi의 수신율이 떨어지는 약점을 가지고 있어서 입니다. 이부분의 경우 샘플을 받아본다음에 실제 수신율을 봐야지 알겠지만 답없을 정도의 수신율이라면야 생각을 좀 해봐야겠습니다. 물론 메탈샘플의 경우 2가지 다른 디자인의 샘플을 신청하니 테스트에 대해서는 크게 문제는 없겠죠 뭐 ^^;
-
종다리
07.29 10:19
진짜 웃기는 사항... 테블릿인데 정작 2G램을 지원되는 제품이 적은거... 폰은 차고넘치는게 2G...
그리고 가격을 조금 높이더라도 해상도는 높은게 좋지 않을까요;;;
테블릿의 수요 성격상 실내나... 스마트폰의 테더링을 통한 근거리 네트워크가 대부분이라 그렇게 수신율저하가 일어날거같진 않아 보이는데 말이죠... 설마 방하나 건넜다고 인터넷이 끊기기야 할까 싶기도하고...
-
사양을 다 맞추다 보면 구글 넥서스 7 탭이 되니까요. ^^; 사실 2GB로 하고 싶긴 허나 그렇게 되면 1280X800을 포기해야 합니다. 하나 더 본문에 언급을 안한게 있는데 해상도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시스템자체의 부하때문에 느려질 가능성이 매우 높은게 현실이라서 (물론 1280X800으로 간다고 해서 크게 영향을 줄거라 보이지는 않지만) 제안 설명회때의 피드백 및 테스터 분들의 피드백에 따른 유저들의 의견과 현실과 타협을 해야겠죠.
-
종다리
07.29 13:43
저도 참여 하고싶은데 말이죠 유료라두요 ㅋ -
샘플을 결정할 1차 테스트 샘플은 10대 결정된뒤에 자새하게 검증할 2차 테스트 샘플은 15대정도 될겁니다.
-
나리
07.29 12:17
사양에 대해서는 무인님의 의견에 100번 공감합니다. 좀더 좀더 하다가는 의도와는 다르게 흘러가겠죠?
고생많으십니다. -
스토릿지 32기가도 되나요?
-
32기가 버전의 경우 만들어 달라면 만들어 주긴 하겠지만 가격이 더븧이 됩니다.
-
더블이라니..........ㅠㅠ
16기가도 그렇게 많이 상승하나요?
-
커피맛웰치스
07.29 17:39
기대가 됩니다~^^
-
소규모 공장들이 밀집해 저작권 개념은 가볍게 무시하고 주문받은대로 만들어주는 수많은 중국 공장들,
kpug에서 온라인 의견 교환해가며 요구사항의 공통분모를 만들어가는 케퍼거들,
의견을 수렴하고 전문지식을 제공하며 땀 빼시는 모 회원님.
멋진 작품을 기대합니다.
-
김명신
07.29 21:30
글 잘 읽었습니다. 고생하십니다.
-
이제 스펙에 대한 틀이 다 잡혀가는군요 ㅎㅎ.. 기대됩니다.. 갤탭4 8.0도 사용중이지만 ㅋㅋ 1.5기가 램으로도 충분히 hd해상도를 돌려주고 게임에도 지장 없긴 합니다.. ㅎㅎ 하드웨어가 완성되면 이제 또다른 능력자분들의 소프트웨어 개조가 시작되겠지요 ㅋㅋ
-
풀맨
07.30 00:00
눈팅 회원의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태블릿PC이냐 스마트패드이냐 이 구분도 중요할 것 같습니다.
대부분 둘다 같은게 아니냐고 생각하실지 몰라도, 조금 다릅니다.
태블릿 PC라도 다 같은 태블릿 PC는 아니란 말이죠.
여기서 제가 정의한 태블릿 PC란 말 그대로 와이파이와 다랑 가속센서 하나 달려 인터넷, 게임, 간단한 생산성 등 PC처럼 기능이 제한이 많은 제품으로 거실 외에는 활용이 힘든 대부분의 저가형 태블릿PC를 뜻하고,
스마트 패드는 와이파이+ 각종센서(근접,조도,GPS,e-compass,온도 등)이 달린 제품으로아이패드, 넥서스 시리즈, 갤탭 시리즈 등 언제 어디서나 활용이 가능한 일반적인 이미지의 태블릿 PC를 이야기 합니다.
제가 이런 말을 하는 이유는 처음 아이패드를 쓰다가 저가형 태블릿 PC의 제한된 기능에 상당히 당황한 기억이 있었기 때문이죠. 물론 여기 분들이야 다들 패드 한 두개씩은 사봐서 그런 차이를 알지 모르지만 이 프로젝트로 구매하는 사람이 모두 잘 아는 사람은 아닐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한다면 확실히 구분을 해두는 것도 좋지 않을 까 합니다.
-
왕초보
07.30 06:58
음 그 차이를 모를 분 같으면 방금 정의하신 두가지를 구별도 못하실테니 공지해 봤자 아무 소용이 없지 않을까요 ? 옛날에 Wifi (!)가 없는 태블릿에 당황한 적이 있긴 하지만 말입니다.
-
전에 타블렛에 대한 정의를 나름대로 내린적이 있어서 이야기 드리지만 타블렛이라는 자체가 Tablette 즉 과거 그리스시대때 석판에 글을 필서했던 개념으로 부터 출발합니다. 정리하자면 타블렛 PC라는 자체가 운영체제를 가진 터치형 기기라는 의미기에 스마트패드도 엄밀히 따져보면 타블렛 PC라는 범주에 들어가게 됩니다. 그리고 요즘 들어서 통신형 모듈을 빼버렸지만 GPS 및 기타기능이 들어간 물건도 있고 하이브리드 형식도 있어서 STUFP라는 자체가 상당히 기본적인 베이스에서 시작한다고 했기에 여러가지 기능적인 부분이 어느정도 올라오지 않는 이상 추가하기가 조금 힘들다는 걸 말씀드립니다.
-
어차피 전 막눈이라 뭐 1024*600에다가 나머지 결정하면 될거 같기도 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
쫑사마
07.30 08:39
고생하시는 분들을 위해 박수 한번 쳐 들리고 가는것도 좋을꺼 같네요....
짝~~~~짝~~~~짝~~~~~
-
일단 고생하시는 성야무인님께 항상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제 생각에는 말씀하신대로 HD해상도와 1024X600의 성능적 차이가 거의 없다면 해상도가 중요시 되겠지만(일단 글자를 읽을때 더 편해지니까요ㅎㅎ) 성능과 배터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면 1024X600의 해상도로도 충분하다고 생각이 듭니다(요새 뷰2를 쓰고 있는데 크기가 차이가 나긴 하지만 이정도 해상도라도 웹브라우징할때 크게 문제가 없더군요)
-
뱃살크리
08.06 13:14
누크HD 7인치 써보니 해상도 1280*800하고 1024*600 차이 큰거 같아요.
최근 인터넷 방송도 HD 방송 많이 해주요.
비용이 조금 더 나가더라도 1280*800이 더 나은거 같습니다.
가격이 조금 오르더라도 해상도가 1280X800은 되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1024X600은 7인치 에서도 웹브라우징 등에서 가독성이 많이 떨어지니까요
장기적으로 프로젝트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가독성 등이 중요 요소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