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ockchip RK3288 Spec
- 28 nm HKMG process.
- Quad-core ARM Cortex-A17, up to 1.8 GHz
- Quad-core ARM Mali-T760 GPU clocked at 600 MHz supporting Open GL ES 1.1/2.0/3.0/3.1, OpenCL 1.1
출처: <http://en.wikipedia.org/wiki/Rockchip#RK32xx_series>
여기서 Cortex-A17(0xc0e)이냐, A12(0xc0d)이냐의 논란이 있었습니다만,
2014년 10월에 ARM에서
"the latest production version ofCortex-A12 performs at a similar performance level as Cortex-A17." 로 결론이 났습니다.
좀 더 상세한 SPEC을 원하시면 하기 링크에서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1. RK3288 SoCspecification <== 링크
2. Rockchip RK3288 datasheet V1.0 20140516.pdf <== 링크
RK3288 미니PC 셋탑 관련 표준 Spec
Operating System | Google Android 4.4 |
CPU Brands | Rockchip |
CPU Model | RK3288 1.8GHz (Cortex-A17) |
CPU Cores | Quad-core |
GPU | Quad Core Mali-T764 GPU |
Memory | DDR3 2GB |
Internal Storage | Onboard Nandflash 8G or 16G (선택) |
Expand Memory | Micro SD Card (Maximum support 32GB), 64G 체크중 (USB 메모리 PNY 128G 인식확인함) |
Wifi Connectivity | IEEE 802.11 b/g/n 2.4G / 5G 듀얼지원 (브로드컴 AP6330) or AP6330 + 802.11.ac 추가 (AP6335) |
Ethernet | 10/100M/1000M LAN (Gigabit) |
Camera | N/A |
Bluetooth | BT 4.0 (브로드컴 AP660 & 6335 콤보지원) |
3G | N/A |
Video Supported | Support 2160P(4K) muti-format video decode, |
Audio Supported | Support: MP3/WMA/APE/FLAC/AAC/OGG/AC3/WAV |
Picture | Support: Max.8000x8000 JPEG /BMP /GIF /PNG |
HDMI Port | standard HDMI A Type out |
HDMI Version | HDMI 2.0 (실질적 지원 확인 중) 4:2:2이상 필요예상 |
Sensor/Moto | 1 x IR Sensor |
Language | English, Korean, Japanese, Chinese, etc. |
Keyboard | Qwerty keyboard (가상키보드 - 도돌키보드 추천) |
Additional Function | Built-in WIFI antenna (외장 안테나 or 인테나) |
Other Interface | 1 x Power Button |
1 x Update Button(via one pin hole) | |
3 x Standard USB 2.0 | |
1 x Micro USB 2.0 with OTG | |
1 x S/SPDIF (2CH, 5.1CH) | |
1 x RJ45 | |
1 x Micro SD card slot | |
1 x AV Jack | |
Reserved, 2 x RS232 | |
Power | 5V 3A (제품종류에 따라서 2A, 2.5A가 있습니다만, 전원이 불안정하여 리부팅 되는 경우가 발생, 3A가 제일 안정적임) |
What's in the box? | 1 x TV box |
1 x OTG cable | |
1 x Remote control | |
1 x HDMI cable | |
1 x Power adapter (A right AC Adapter will be sent as your shipping country) | |
1 x User manual |
대략적인 RK3288기반 셋탑박스는 상기 표준 SPEC안에 추가 표기를 하여 놓았습니다.
그러므로, 제품 Spec비교시 참조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스마트폰에서 표가 잘 안보여서 수정을 하였습니다만,
참조로 제 블로그 링크를 올립니다.
http://muritzy.tistory.com/851
RK3288의 특징
- 4K@60fps 재생 지원
국내에서 실험방송을 하고 있는 4K@60fps 비디오 캡춰 TS파일과, 국내 메이저 UHDTV회사의 데모 시연 4K@60fps HEVC TS파일을 모두 재생 확인을 하였습니다.
현재는 4K@60fps 4:4:4 지원 여부 Test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주1) Test방법론이 애매해서, 타 커뮤니티에서 Test하고 있는 방법론을 수용하여 Test를 하고 있습니다. - 하기 관련 목록글 34번과 35번 참조
(주2) Test방법론이 틀렸다거나, 좋은 Test 방법론이 있으면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K@60fps에서 축구와 같은 스포츠 게임에서의 공 궤적을 정확하게 디스플레이를 해 주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Test를 하였습니다. 4K@30fps에서는 축구공의 궤적이 깨짐현상이 발생되지만, 4K@60fps에서는 그러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그러나, 4K@60fps H.264의 경우, 비디오 재생에서 아직 잘 되지 않는 현상이 확인 되고 있습니다. 이는 Data용량이 크기 때문에, 오디오는 정상적 출력이 됩니다만, 비디오가 밀려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10bit 재생지원이 가능하다고 RK3288 Spec에는 명기되어 있습니다만,
재생은 된다고 봐도, 색생깨짐현상은 무척심하기 때문에, 아직 개발 단계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 XMBC 최적화
Amlogic S802와 같이 별도의 전용 XBMC버젼 (HW 디코딩지원)은 없기 때문에,
RK3288은 일반 안드로이드 XBMC버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현재 XBMC는 14 베타버젼을 사용하여 Test를 하고 있습니다.
XBMC 14버젼에서 HEVC는 지원하고 있습니다만, 아직 안정적이지 못한 상태입니다.
그러므로 XBMC기반에서의 4K 재생지원은 좀 더 시간이 필요 할 것 같습니다.
RK3288은 XBMC에서 GPU성능을 최대한 이용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주로 CPU의 성능에 의지하고 있습니다. XBMC 재생시 HW상태정보를 확인을 해 보면, 쿼드코어의 CPU의 활용 비율은 상당히 이상적으로 밸런싱이 맞게끔 쿼드코어 모두 잘 구동되고 있고, 상당한 여유성능을 가지고서 재생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리고 프레임은 35fps정도를 안정적으로 유지 하고 있습니다. 현재 RK3288의 CPU 클럭은 1.8GHz입니다만, 오버클럭킹(2GHz까지 가능)을 하여 프레임 수를 좀 더 올릴 수 있는 여유도 있습니다. (단, 발열문제를 사전에 고려해야 합니다.)
상기의 4K비디오 재생은 RK3288의 내장 비디오 재생기와 MX Player를 이용하여 정상적인 재생이 가능합니다.
여러가지 Video 포멧 및 컨테이너 종류별 Test를 통과하였고,
높은 비트레이트의 비디오 재생능력도 모두 통과를 하였습니다.
- WiFi 802.11ac 지원 (선택옵션 AP6330 / AP6335)
브로드컴 AP6335 콤보칩셋을 사용하여 802.11 b/g/n 2.4G 와 5GHz 듀얼을 지원하고, 802.11ac를 추가 지원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Test를 통하여 확인 된 바로는 수신성능이 802.11ac의 최고 수준까지는 미치지 못하지만, 일정 수준까지는 도달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습니다.
(Test를 위한 공유기와 안테나 종류 그리고 거리에 따른 여러가지 변수가 있습니다만, 표준적인 상태를 기준으로 Test를 하였습니다.)
- Gigabit Ethernet 지원
10/100/1000을 지원하는 Gigabit 이더넷 지원으로 기가빗 내부망에서 네트워크 속도를 최대로 발휘할 수 있습니다. 스트리밍 동영상 재생Test에서 1080P수준에서는 문제가 전혀 없고, Blue-ray급 영상관련 스트리밍 재생도 문제가 없습니다. Blue-ray 3D 지원은 3D지원 재생어플이 마땅한 것이 없어서, 지원여부를 확인을 못하고 있습니다. (XBMC에서는 Blue-ray 3D재생은 아직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 되고 있습니다.)
4K@60fps H.264 동영상재생Test에서는 RK3288 셋탑 내부의 I/O가 기가빗 Data입력을 충분히 소화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버벅거림이 발생되고 있습니다.
4K@60fps HEVC 동영상재생Test에서는 초고압축 파일이라서, 큰 문제없이 재생을 할 수 있었습니다.
- Mali-T764 GPU 게임
아직까지 RK3288의 GPU를 최대한 이용할 만한 안드로이드 게임 Test는 진행하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나, 에뮬게임을 통하여 비교 Test를 진행되었고, 상당한 레벨의 에뮬게임에서 높은 프레임 출력이 되고 있다는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이또한 CPU 오버클럭킹으로 좀 더 좋은 퍼포먼스를 낼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RK3288의 아쉬운점
- 막강한 4K 비디오 재생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외장 스토리지 지원에는 아쉬운 점이 많습니다.
USB 3.0지원과 SATA지원이 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대용량 컨텐츠를 SD카드와 같은 저장장치로 옮겨 다녀야 합니다.
그러나, 이 부분은 WiFi 802.11ac와 기가빗 이더넷 지원으로, 사용자 컴 또는 NAS에 SAMBA 네트워크를 연결하면, 어느정도는 커버가 될 것 같습니다.
===============
B) RK3288 FW Tool & Rooting 관련 자료
1) RK3288관련 RK FW Tool & Rooting uti (영문)
출처:<http://cafe.naver.com/ArticleRead.nhn?articleid=7182&clubid=25081608>
2) HOW TO ROOT RK3288 TV BOX AND TABLET PC?
출처:<http://cafe.naver.com/ArticleRead.nhn?articleid=7084&clubid=25081608>
C) RK3288 기기 관련 리뷰 List (리뷰 게시글 시간 순서)
계속 순차적으로 추가 하도록 하겠습니다.
1) CR12S 미니PC 셋탑박스 Unpacking 1 (완료)
2) CR12S 미니PC 셋탑박스 Unpacking 2 (완성)
3) 세톱형 RK3288 미니PC CR12S 첫만남 ^^;; 4K 및 10비트 관련
4) CR12S 게이밍 테스트 리포트
(구름나무님께서 안드로이드 미니PC를 이용하여 실제 게임기를 제작하시고, RK3288기기를 넣으신 상태에서 Test를 한 내용입니다.)
출처:<http://cafe.naver.com/ArticleRead.nhn?articleid=7264&clubid=25081608>
5) CR12S(RK3288) 철권5 구동 영상
(구름나무님께서 안드로이드 미니PC를 이용하여 실제 게임기를 제작하시고, RK3288기기를 넣으신 상태에서 Test를 한 내용입니다.)
6) Beelink R89 미니PC 셋탑박스 Unpacking 1 (초안)
7) Beelink R89 미니PC 셋탑박스 Unpacking 2 (초안)
8) cs918ii 도착..
9) beelink R89 4K 재생 이슈
10) beelink R89 무선랜 성능 테스트 맛뵈기
11) MK903V 스틱형 미니PC
12) Beelink R89 4K Test FW(109k)
13) BT368 미니PC 셋탑박스 Unpacking 1 (초안)
14) [포토프리뷰] Tronsmart R28 Meta 세톱형 MINI-PC
15) S802H Vs RK3288 동영상 화질 비교
16) S802H와 RK3288의 XBMC 동영상 재생 성능 비교
17) Tronsmart R28 Meta 세톱형 MINI-PC 첫느낌 (하루 사용기)
18) [포토프리뷰]Tronsmart R28 Meta 세톱형 MINI-PC Ver 2.0
출처:http://cafe.naver.com/mk802/7523
19) TronsmartR28 Meta 무선랜 성능 테스트 #1 벤치비
출처:<http://cafe.naver.com/ArticleRead.nhn?articleid=7535&clubid=25081608>
20) TronsmartR28 Meta 무선랜 성능 테스트 #2 iperf
출처:<http://cafe.naver.com/ArticleRead.nhn?articleid=7536&clubid=25081608>
21) TronsmartR28 Meta 유선랜 성능 테스트 #1 벤치비
출처:<http://cafe.naver.com/ArticleRead.nhn?articleid=7537&clubid=25081608>
22) TronsmartR28 Meta 유선랜 성능 테스트 #2 iperf
23) RK3288 vsS802H : Antutu Video Tester 2.2
24) RK3288 vsS802H : Antutu 5.1
출처:<http://cafe.naver.com/ArticleRead.nhn?articleid=7540&clubid=25081608>
25) RK3288 기반의U-BOX(4K) 기기와 기타 쿼드코어기반의 기기와의 성능 분석 Report --- Part 1
출처:<http://cafe.naver.com/ArticleRead.nhn?articleid=7544&clubid=25081608>
26) RK3288 KT 올래TV & 티빙 방송 확인
출처:<http://cafe.naver.com/ArticleRead.nhn?clubid=25081608&articleid=7548&page=1&menuid=69&boardtype=L>
27) RK3288 - BTV Mobile & 네이버 미디어 플레이어 방송 확인 & 추가 (북경 오리 여주인공)
28) [포토프리뷰]RK3288 세톱형 미니PC Beelink R89
29) TronsmartR28 Meta Vs Beelink R89 : 무선랜 커버리지 비교 (3.5M, 장애물有)
30) TronsmartR28 Meta Vs Beelink R89 : 벤치비 (3.5M, 장애물有)
31) Beelink R89110K 펌웨어 잠시 사용 후기
32) [UHDTV]RK3288 1080P 재생 Test 캡춰 화면
출처:<http://cafe.naver.com/ArticleRead.nhn?clubid=25081608&page=1&articleid=7636>
33) [Test요청] 서머너즈 워 게임 실행 결과
34) 4K@60fps 4:4:4 비디오 출력 Test (추가 Test1)
35) 4K@60fps 4:4:4 비디오 출력 Test (추가 Test2)
=====================
RK3288이 출시 된지 얼마 되지 않아서, 아직 초기 상태입니다.. ^^
중국칩셋으로서, 이런 최고의 고사양을 지원해 주는 고성능 CPU입니다만,
그에 비해서는 CPU Spec에 대한 사양의 정확성도 검증되지 않고 있었기에,
저희가 여러가지 방법론으로 Test를 해 보았습니다만, 아직 부족한 점이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좀더 Test항목과 Test방법론을 알려 주시면, 더 많은 Test가 가능할 것 같습니다.
특히 4K@60fps 4:4:4 , 4:2:2, 4:2:0 과 HDMI 2.0, 그리고 HDCP2.2 관련 Test방법론등이
명확히 제시가 되어 있지 않아서 잘 판단이 안되고 있습니다..
현재로서는 다른 분들이 Test한 방법론을 따라해 보면서, 결과 확인만 하고 있습니다. ^^
좋은 Test방법론이 있거나, Test에 있어서 조건 설정이 부족한 부분이 있으면
알려 주시면 적극적으로 추가 Test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참조 클랑 링크 (제가 올린 글 입니다.^^)
코멘트 7
-
뮤리찌
10.24 19:01
위의 Test단계까지는 큰 문제가 없이 잘 이루어졌습니다만,
아직 최종적인 full Spec확인 중간단계라서, 뭐라고 이야기는 할 수 없네요...
새로운 Spec이 많이 들어 있어서,Test에 애로점이 많이 있습니다.ㅎㅎㅎ
영상 및 네트워크 전문분야에 계신 분들의 조언이 더 필요한 것 같아서
글을 올려서 여러가지 Test방법론을 조언받아서 좀더 심화 Test를 해 보려고 하고 있습니다....
-
왕초보
10.27 06:21
HDMI2 에 관한 정보는 지금도 시시각각 업데이트 되고 있기때문에 뭐라고 주장하면 며칠 지나면 틀린 정보가 되긴 합니다만.. 아직도 그 전 버전, 즉 2.0에서 완료되지 않은 부분들이 제법 있어서 아직도 많은 갑론을박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인증도 그 일부입니다.
HDMI2는 4k60 444 8 비트 까지만 지원됩니다. 4k60에서 10/12비트 는 422/420로만 지원됩니다. (420는 16비트도 지원합니다) 링크의 글들을 보면 420는 못 볼 색깔이고 444라야 한다 라고 생각하시는 듯 한데, 인간의 시각이 색상은 명암보다 훨씬 둔감하기때문에 자연 영상처리에 있어서 420는 기본입니다. 즉 컴퓨터에서 생성한 화면이 아니면 420와 444의 차이를 사람의 시각이 구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거의 모든 영상압축 -- DSC 등 일부 codec 제외 --에서는 420를 기본으로 사용합니다) 그리고 4k60는 어떤 data rate을 사용하건 HDMI2 입니다. 420로 4k60를 구현할 경우에도 HDMI2.0입니다. (data rate은 2.97Gbps x 3으로 HDMI1.4의 최대 3.4Gbps보다 낮습니다)
굳이 444 10비트가 4k에서 필요하다면 4k30로 하면 되긴 하겠습니다만.
화질 비교에 있어 Seiki의 4k30가 lg에서 4k60보다 낫다 뭐 이런 얘기도 나오는데, 이것은 보통은 frame rate conversion에서 생기는 차이입니다. 일부 4k60 TV에서 아예 frame rate conversion을 포기하고 그냥 프레임을 저장만 해서 4k120 또는 4k240등을 만드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면 motion jitter가 심해집니다. motion interpolation을 제대로 안 해주면 화질은 그냥 안드로메다로. 즉 interface에서의 data rate이 화질을 보장해 주지는 않습니다.
또 영국 HDMI 협회라는 완전 유령단체가 하나 등장하는데 이 단체의 정체가 궁금합니다. ^^ HDMI forum 미팅을 런던에서 가끔하긴 하지만 영국에 소속된 단체는 전혀 아닙니다.
링크 중에 가입하지 않으면 안 보이는 글도 있습니다. 의도하신 바가 아니라면 수정하시는 것도 좋을듯 합니다.
-
종다리
10.27 09:43
굳이 셋탑박스용으로가 아니라도 조금비싼 NAS로도 쓰이겠습니다...
-
뮤리찌
10.28 09:37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 (수정내용입니다.)
옆 계시판에 HDMI라는 좋은 글도 잘 보았습니다..출근이전에 잠시 쓰는 댓글이라서 초안이라는 꼬리표를 달고,질문을 주신 내용만 먼저 간단히 답신 링크를 올린 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이해해 주세요 ^^0) 위의 RK3288 셋탑Test를 근간으로 한 최초의 Test 목적과 추가 Test 기준목적입니다.
- RK3288이라는 중국칩셋이 지금까지 다른 회사에서도 내지 않은 첨단 Spec을 내장했다고 Rockchip사에서 주장하고 있었습니다. 이에 저는 중국 칩셋의 Spec은 믿을 수 없다는 전제를 가지고 있었고, 이를 객관화 하여 검증하자는 네거티브 의견에서 부터 출발하여 실질 Test를 통한 spec검증을 하고 있습니다. ^^
- 그리고 추가 Test기준으로 국내 케이블, 지상파 UHDTV의 방송의 Spec수준(아직 미확정)에는 도달해야,
국내사용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하여,
3840X2160@60fps 4:2:2 10bit 35Mbps(미 확정 Spec)을 기준을 최소 Spec으로 잡고 Test를 하였습니다.
1)영국HDMI협회 의견이라고 이야기한 출처 링크입니다.
인터뷰를 한 사람의 소속을 이렇게 들어서 표기를 하였습니다만, 혹시 틀릴 수도 있으니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HDMI 2.0 4K 60fps at 18Gbit/s (유튜브 동영상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KtDpFXVWSgU#t=16
2) 크로나 서브 샘플링 4:4:4 / 4:2:2 / 4:2:0
저도 실질적인 차이를 구분을 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만,
아직 Test를 할 수 있는 Test파일도 없기 때문에, 다른 분들에게 이것이 4:4:4이고, 이것이 4:2:2다.
라고 비교 Test환경을 만들어 줄 수도 없는 현황입니다. ^^ 그런 Data라도 있으면 좋겠습니다. ㅎㅎㅎ
(혹시 인터넷상에서 구할 수 있는 Sample 자료가 있으면 좋은 조언을 부탁드리겠습니다. ^^)
0)에서도 언급하여 드린 바와 같이 Spec비교를 위한 검증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서
TV나 셋탑이 4:4:4를 지원을 한다고 하였는데, 4:2:2밖에는 못한다면 "문제가 있다"라고
이야기 할 수 밖에는 없습니다. ^^;;
현존하는 Test방법이 모호해서, 타 커뮤니티의 Test방법론을 인용하다보니, 뿌리가 없는 Test의 결과일 수도 있겠다는 우려도 저도 하고 있습니다... ^^
예를 들어서
http://lite.parkoz.com/zboard/view.php?id=vga_freeboard&no=36222&category=1 와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dm_video_qna&no=47537
같은 Test방법과 결과 내용입니다만, 그 근간의 기술에 대한 이해는 전혀 없이 Test만 하는 것이라서요 ^^;;
3) 미니PC포럼의 회원님들과 같이 Test하면서 작성한 글이다보니,
몇몇 게시글은 작성하신 회원님들께서 외부에는 비공개로 설정을 해 놓아서, 제 마음대로 조정하기가 어렵네요 ^^
성야무인님의 RK3288 셋탑 레포팅글도 있습니다만, 아직 전체 원본은 공개하고 있지 않고 있습니다.
이점은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
4) 아시는 분은 아시겠습니다만 안드로이드 셋탑은 안드로이드 태블릿PC의 축에서 나온 파생기술 제품입니다.
안드로이드 태블릿PC의 시장이 크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안드로이드 태블릿PC의 FW에서 시차를 두어서
안드로이드 셋탑 제품화가 이루어지고 있었습니다. 기본적으로 태블릿PC의 FW를 근간으로 셋탑제품에
맞도로 수정된 FW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여기 RK3288도 태블릿PC를 근간으로한 FW이라고 분석됩니다.
지금까지는 이런 형태로 안드로이드 셋탑이 진행되었습니다만, 금번 RK3288부터는 조금 다른 형태로 발전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유는 상기와 같이 태블릿PC의 SPEC을 벗어난 고성능 Spec지원이 있기 떄문입니다.
저는 KPUG의 성야무인님의 도움을 받아서, 기기 Test의 기술적 자문을 근간으로
MK802II 부터 지금까지 셋탑제품Test Reporting작업은 저희 포럼에서 운영을 하고 있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KPUG 태블릿PC당의 곁가지의 셋탑박스당 인 셈이죠 ^^
그래서 1080P기반의 제품성능 비교는 자체적으로 진행한 것과 성야무인님께서 진행해 주신 내용을
토대로 성능비교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4K 비디오 출력관련, 802.11ac 성능, 기가빗 이더넷 등의 기술은 지금까지 태블릿PC당에서
다루어오던 기술검증 방법론과는 확연하게 차이가 있어서, 자체적으로 Test방법론을 마련해 보려고 하였습니다만, 아마추어 매니아 모임이라서, 그 한계를 넘기는 어렵네요 ^^ 또한 고가의 UHDTV를 통해서 검증하기 때문에, Test환경 구축도 쉽지는 않습니다. ㅎㅎㅎ
(아마추어 매니아분들 입니다만, 근간을 이루고 있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시는 분들이긴 합니다. ^^)
그래서 대외적으로 좀 더 기술적 검증과 접근방법을 협의를 하고자, KPUG에 글을 올려서
기술적 검증 방법론을 공론화 시키려고 하였습니다. ^^
갑자기 굴러온 돌은 아니니,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
저는 순정/준순정 자동차 카인포테인먼트쪽 관련으로 일을 하고 있고,
Frontend와 Backend쪽이 제 전공입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분은 대략적인 개념만 이해하고 있어서, 전문적 지식은 별로 없습니다.. ^^;;
좋은 지도 편달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왕초보
11.04 06:30
ㅋㅋ 인터뷰 하는 사람은 Steve Venuti 라고 HDMI, LLC의 president입니다. ^^ 이러다간 제 얼굴이 나올지도. ㄷㄷㄷ
-
뮤리찌
11.05 17:29
아 ^^;;
HDMI, LLC의 대표님을 제가 영국 HDMI 직원으로 소개를 잘 못 했었군요 ^^;;
그러면, 왕초보님은 부사장님 ?? ^^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
1159 | Dell Inspiron 7620 2 in 1 사용 소감 | matsal | 04.25 | 31 |
1158 |
중국제 블루투스 전력측정기
[1]
![]() | matsal | 07.31 | 310 |
1157 | 물 안쓰는 세차 키트 | 왕초보 | 12.03 | 445 |
1156 |
안드로이드 전용 블루투스 트래커. 치폴로 원 포인트 추천
[2]
![]() | 스노우캣 | 10.25 | 451 |
1155 |
블루투스 USB 동글 개선된 안테나
![]() | matsal | 08.18 | 467 |
1154 |
Wifi + BT 합쳐진 초미니 USB 동글
[3]
![]() | matsal | 09.19 | 497 |
1153 |
중국제 허접 CDP 사용기
[3]
![]() | matsal | 04.07 | 510 |
1152 |
옛날 오디오 2.4Ghz 트랜스미터/리시버
![]() | matsal | 12.23 | 529 |
1151 |
블루투스 체중계 길들이기
[1]
![]() | matsal | 08.25 | 534 |
1150 |
rx 470 사용기?
[2]
![]() | 박영민 | 03.13 | 599 |
1149 | QCY MeloBuds Pro 간단 사용기 [3] | matsal | 10.29 | 601 |
1148 | 라이젠 레이븐 릿지 2200g 영상 리뷰 입니다. [4] | 스파르타 | 05.30 | 608 |
1147 | 보일러 온도 조절기 교체(대성 제품) [3] | 아람이아빠 | 12.12 | 621 |
1146 |
2만 원으로 아이폰X 고속 무선 충전을 할 수 있는 피플 고속 무선 충전기
[4]
![]() | 스파르타 | 04.11 | 766 |
1145 |
MDR-NWBT20 노이즈 캔슬링 블루투스 리시버 개봉기
[3]
![]() | matsal | 03.30 | 773 |
1144 | Bitdefender 와 Avast 비교 | matsal | 01.25 | 786 |
1143 |
Ugreen USB 케이블 11종 테스트
![]() | matsal | 12.26 | 793 |
1142 | BOSE Sleepbud 사용기 v2 [4] | matsal | 03.20 | 848 |
1141 |
USB cable checker 사용기
![]() | matsal | 12.11 | 881 |
1140 |
샤오미 전기면도기 W482
[2]
![]() | matsal | 10.22 | 906 |
대단하네요.
잘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