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OTA 업데이트 구축 질문/호스팅및 도메인 구매 문의
2015.06.23 23:14
만능문답에 올릴려니 카테고리가 안드로이드 위주여서 태블릿당에 올려요...ㅠ_ㅠ
1.안드로이드 태블릿PC에서 OTA를 통한 업데이트가 되도록 구축할려고 합니다. 무엇을 준비하고 어떻게 해야 하나요?
2. OTA 업데이트 의 경우 펌웨어를 서버에 올려두는데 락칩으로 설명하자면 .IMG형태의 펌웨어를 서버에 그대로 올려두나요 아니면 다른 확장자 형태로 올려두나요?
3.SDK를 통해 안드로이드 를 쿠킹이 아닌 제작을 할 경우 고수가 아닌 누구나 쉽게 제작이 가능한가요?
별개로...회사 홈페이지를 만들 용도로 호스팅과 도메인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회사라 해야 모 중고장터에서 팔고 있고, 오픈마켓에도 팔고 있는데 썩 매출은 높지 않는지라 가장 저렴한 호스팅 및 도메인으로 알아보고 있습니다. 홈페이지는 XE를 이용해 만들고자 합니다.
1인 회사라 인력도 부족하고 지금까지 도움받은게 많아서 이번에는 제가 도움을 주고자 홈페이지랑 OTA관련해서 문의를 드렸습니다.
-정리-
1.OTA업데이트를 하고자 구축을 할려고 하는데 이경우 무엇무엇이 필요로 하며 기기에는 어떤 설정을 해 두어야 하나?
2.OTA 업데이트의 경우 서버에 올리는 파일이 쉽게 분해 해서 쿠킹이 가능한 확장자인가? 아니면 다른 OTA 전용 확장자인가?
3.SDK를 이용해서 안드로이드 OS를 만들때 기본 베이스가 없는 초보도 가능한가?
4.저렴한 호스팅과 도메인 사이트좀 부탁드립니다...
고대디를 비롯한 일부 미국계 (1&1,유나이티드도메인 등)는 제 농협체크카드가 결제되지 않더군요...
(한국에서는 스쿨호스팅으로 한달 400원대 호스팅 보고 있으며 도메인은 우비에서 .com 5300원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것보다 더 저렴한곳이 있을까요?)
1.안드로이드 태블릿PC에서 OTA를 통한 업데이트가 되도록 구축할려고 합니다. 무엇을 준비하고 어떻게 해야 하나요?
2. OTA 업데이트 의 경우 펌웨어를 서버에 올려두는데 락칩으로 설명하자면 .IMG형태의 펌웨어를 서버에 그대로 올려두나요 아니면 다른 확장자 형태로 올려두나요?
3.SDK를 통해 안드로이드 를 쿠킹이 아닌 제작을 할 경우 고수가 아닌 누구나 쉽게 제작이 가능한가요?
별개로...회사 홈페이지를 만들 용도로 호스팅과 도메인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회사라 해야 모 중고장터에서 팔고 있고, 오픈마켓에도 팔고 있는데 썩 매출은 높지 않는지라 가장 저렴한 호스팅 및 도메인으로 알아보고 있습니다. 홈페이지는 XE를 이용해 만들고자 합니다.
1인 회사라 인력도 부족하고 지금까지 도움받은게 많아서 이번에는 제가 도움을 주고자 홈페이지랑 OTA관련해서 문의를 드렸습니다.
-정리-
1.OTA업데이트를 하고자 구축을 할려고 하는데 이경우 무엇무엇이 필요로 하며 기기에는 어떤 설정을 해 두어야 하나?
2.OTA 업데이트의 경우 서버에 올리는 파일이 쉽게 분해 해서 쿠킹이 가능한 확장자인가? 아니면 다른 OTA 전용 확장자인가?
3.SDK를 이용해서 안드로이드 OS를 만들때 기본 베이스가 없는 초보도 가능한가?
4.저렴한 호스팅과 도메인 사이트좀 부탁드립니다...
고대디를 비롯한 일부 미국계 (1&1,유나이티드도메인 등)는 제 농협체크카드가 결제되지 않더군요...
(한국에서는 스쿨호스팅으로 한달 400원대 호스팅 보고 있으며 도메인은 우비에서 .com 5300원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것보다 더 저렴한곳이 있을까요?)
코멘트 5
-
Seoruni
06.23 23:45
올위너 쿼드코어라 했고 A31이나 A31S는 아니라 하던데..<br />올위너 쿼드코어는 OTA를 지원하는가요?<br />그러니 그 말은 즉슨 FTP에 파일 올려두고 빌드프롭에서 서버 주소를 적어주면 파일이 올라가면 자동으로 다운로드가 된다는 말이신가요? -
Allwinner의 경우 A31, A31s, A33 이렇게 3가지 라인업이 있는데요.
현재 Allwinner는 개인 혹은 기업에게 SDK를 웬만한 물량이 되질 않는 이상 지원을 하지 않습니다.
OTA의 경우는 그렇게 되는데 현재 Allwinner 쿼드급은 Allwinner SDK버전 얼마부터 그렇게 되는지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단순히 젤리빈이라서 되는 건지 아니면 그렇지 않은건지 잘 모르겠고 한때 Allwinner의 SDK에 대한 버전이 각 부서별로
다르게 나와서 펌웨어 디자인도 다르게 되었습니다.
-
Seoruni
06.24 00:16
SDK를 쉽게 주지않아서 OTA도,새로 생산도 현재까지는 힘들다는 말씀이시군요. 다른 방법은 없을까요? -
개발자 위주의 Form Factor을 완성시킨다라는 개념으로 들어간다면 적은수량으로도 AP업체가 지원을 하겠지만 단순히 판다라는 개념이시라면 상당부분 힘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개발자 위주의 Form Factor로 진행한다 하더라도 담당자 혹은 책임자가 하드나 소프트웨어 및 관련 서류사항에 대해서 명확하게 알고 적어도 영어 혹은 영어가 안되더라도 중국어 정도는 하셔야 할겁니다. 타블렛 하나 만드는데도 그냥 유통쪽이 아니라면 개발주체서 부터 폐기물관리까지 하나하나 더 처리하셔야 될게 상당부분 있습니다.(FM대로 하면)
현재 준비중인 방법으로 답변을 드리자면
1. 일단 해당 AP가 OTA를 Root에 들어갔을때 이걸 자동으로 지원해 주냐입니다.
물론 직접 짤수는 있겠지만
그럴려면 귀찮기도 하구요.
OTA 지원은 Build.prop상에 해당서버를 지정해주면 (ftp://xxx.xxx.xx.x)형식 알아서 자동으로 다운받을수 있게 됩니다.
2. RK3188의 기준으로 할때 자동업데이트는 img형식이 아니라
update.zip의 signed로 compile해야 합니다만 중국락칩에서는 아직까지 지원여부가 조금 불투명해서
img파일을 unpack해서 update.zip으로 만들어야 하는데 이때 META폴더 지정을 해서 recovery로
들어가 업데이트를 하면서 기존의 어플을 남기는 방식으로 해야 합니다.
3.은 현재 STUFProject가 기본적으로 나아가는 방향이 초보 및 고급개발자들의 대한 지원이라
SDK설치 및 구축에 대한걸 강좌형식으로 남길것이고
이제 BizSpark 파트너사가 되었으니 가상으로 구동시켜서 펌웨어를 계속 생산해내는 구조를 가질겁니다.
이럴경우 단순히 어플 및 필요한 부분에 대한 최적화를 만들기 위한 초보용 교육은 할겁니다.
홈피의 경우 전 그냥 Wix를 쓰는데요. (편해서리) Wix의 경우 게시판을 만들때 XE로 써야되서요. T_T~~
서버호스팅의 경우는 무료로 하는곳이 몇곳이 있으니 트래픽량이 많지 않다면 그쪽으로 가시는 것도 나쁘진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