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리팝으로 업데이트 하면 킷캣에 비해 어느점이 좋아지나요?
2015.09.23 21:01
제목이 곧 내용입니다.
추가로 질문하자면
킷캣과 롤리팝은 기기의 대기시간에도 차이가 있나요?
코멘트 6
-
넥서스7 2세대를 사버렸는데 STUF 와 놓고 보니 대기시간이 3배가까이 나와서요....
둘다 아직 구글 계정 등록도 하지 않은 상태인데 이렇게까지 차이나는 이유가 궁금한데
안드로이드 버젼차이가 아닐까 궁금했었어요...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
업데이트 하면서 커널도 업데이트 되었다면야 커널에서 소비전력량 단위를 재정렬하면서 대기시간이 대폭 늘어날 가능성이 있긴 있습니다.
OS도 중요하지만, OS와 하드웨어 사이에 낑겨있는 커널도 꽤나 중요하니까요.
아, 넥서스 2세대, 즉 한 기종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두 기종간 비교였군요.
AP가 다르니 차이가 나는게 정상입니다.
RK3188과 스냅S4 Pro 개선판의 비교죠. 제가 STUPF 기기를 다뤄본적이 없어서 뭐라 말씀드리기 어렵군요.
성야무인님께서 발로 뛰시면서 최적화 하셨으니 잘되어 있겠지요.
넥서스 시리즈도 레퍼런스라 나름 꾸준이 업데이트 해주고, 커널소스라던지 왠만한 정보가 공개되어있기 때문에 구글의 업데이트에 사용자들의 업데이트로 기기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커널 소스 공개를 거의 안하는 Nvida 의 테그라3가 탑재된 넥서스 7 1세대 모델도 어디선가 유출된 커널과 완성된 커널을 거꾸로 뜯어서 얻어낸 정보로 새 커널을 만들어 대기전력을 줄이는 커널을 만들어 내는 효과 받기도 했습니다.
-
Seoruni
09.23 22:34
노트3 롤리팝이다만...그닥 체감차이는 없습니다.
오히려 앱 사용중 강중이 자주 발생합니다. -
왕초보
09.24 01:52
전력소모는 현저히 줄어드는 느낌이 들긴 합니다만.. 한가지 황당한 변화가 음소거 상태에서 알람이 안 울리더라구요.
이걸 자세하게 조정할 수 있기는 한데 default setting이 안되는 것이라.. 난감.
그 외에 미세하게 느끼는 황당함들.. 아마도 메모리 누수 때문인듯 하지만 다른 문제도 많은 듯 합니다. 업데이트 비추 입니다. 킷캣으로 도저히 못 살겠다 라고 생각하신다면 바꿔볼 만은 합니다. 새 기능 빨리 써봐야지도 해볼 만 합니다.
-
shootingstar
09.24 12:18
아직은 롤리팝이 좀 불안한거같아요 태틀라스트 air2를 구입해서 사용중인데 (정발입니다) 롤리팝에 윈 10을 사용중입니다만
플레이스토어에서 유틸을 다운받아서 실행시켰는데 다운되는경우가 있더라구요 물론 한글키보드 안깔고 자체적으로 되는건 좋은데
아직은 좀 불안한거같아요
일반사용자 입장에서는 기본 인터페이스의 변화가 가장 크게 느껴질겁니다.
그 외에는 아직 불편한게 사실입니다. 사용하시는 앱과 서비스가 롤리팝을 지원하지 않을수도 있고, 무엇보다 많이 불안정하며 메모리 누수 문제도 있고 해서 아직은 좀 더 지켜보는게 좋을 듯 싶습니다. 제 G2도 롤리팝 업데이트가 가능하긴 하지만 이래저래 미루고 있습니다.
개발자 입장에서는 dalvik을 버리고 art로 풀가동 하는등... 시스템 변환이 완료되었고 api를 다듬고 깎고 다듬고 깎고... 하는게 너무 잦아서 짜증날정도의 변경사항이 많긴합니다만... 어디까지나 '개발'쪽의 안드로이드 업데이트 리스트 이지요.
dalvik은 에뮬레이터 동작방식이라 기기성능을 풀로 사용하기엔 제약사항이 있었습니다. 그 제약을 최대한 없애고 네이티브로 앱을 실행하고자 ART, Android RunTime 이라는 방식으로 바꿨습니다. CPU가 좀더 효율적으로 앱을 구동가능해졌으며 여러가지면에서 개선된건 맞지만, 이에 맞춰 앱들도 업데이트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더이상 업데이트 되지 않는 앱들은 호환이 힘들수도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거꾸로 Dalvik만 구동가능한 Jellybean 이하의 기기에 대한 Legacy 지원이 끊기겠지요.
공개된 개선 사항을 보면 대기시간이 연장되어야 하는게 맞지만, 사용자별로 기기별로 변수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개선사항이 체감될 확률은 낮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발전을 위해 업데이트를 진행하지만, 업데이트의 결과물이 긍정적이진 않죠. 삽질 삽질 해나가면서 발전하는 것이니까요.
통상 안드로이드는 최신버전보다는 그보다 1.5단계 낮은걸 쓰는게 호환성이라던지 실제 성능이라던지, 문제가 있으면 우회해서 해결하는 방법이라던지 하는게 많아서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