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5LX에서 라즈베리 파이 접속하기.
2016.02.04 19:42

95LX나 200LX는 기본적으로 시리얼 터미널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금만 설정을 거치면 유닉스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dumb terminal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제 경우 라즈베리 파이에 95LX를 시리얼로 연결해보았습니다. 라즈베리 파이에는 라즈비안을 설치하고 systemd를 지우고 init를 설치한 후 /etc/inittab에 다음 한줄을 추가했습니다:
U0:23:respawn:/sbin/getty -L ttyUSB0 9600 vt100
.
이 후 재부팅을 해 주면 라즈베리 파이쪽 설정은 끝납니다. 그 다음엔 그저 95LX와 라즈베리 파이를 연결하고 95LX의 COMM앱을 실행한 후 바우드 레이트를 설정값 (제 경우 위에서 설정한 9600바우드) 에 맞춰준 후 connect를 눌러 접속시켜주면 95LX에서 라즈베리 파이의 리눅스 터미널을 억세스 할 수 있게 됩니다. 참고로 이 때 95LX COMM앱의 옵션 중 터미널 에뮬레이션 모드를 None이 아닌 VT100으로 설정해주시면 좀 더 호환성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안해도 접속 자체는 됩니다.)
이는 95LX가 아닌 200LX에도 적용 가능하며, 라즈베리 파이의 경우 굳이 systemd를 지우고 init를 사용하지 않으셔도 getty를 제대로 설정하실 수만 있다면 문제없이 설정이 가능합니다. 저는 그저 systemd의 사용법을 잘 몰라서 init로 교체하고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systemd를 init로 교체하시는 방법은 http://without-systemd.org/wiki/index.php/How_to_remove_systemd_from_a_Debian_jessie/sid_installation 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또한, 제 경우 usb변환 케이블을 사용해서 ttyUSB0으로 접속했으나 다른 형태의 케이블 (시리얼 직결 등) 을 쓰시는 경우 접속하시는 tty의 이름이 다를 수 있습니다. 직접 찾아보신 후 이에 맞춰 /etc/inittab의 설정을 조절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이것만으로는 한글은 지원되지 않는데, 한글을 설정할 방법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저야 별 상관이 없는 경우라서 그다지 신경쓰지는 않았습니다만..
(이 글은 기름쟁이의 200lx 사이트에도 동시 게재됩니다.)
코멘트 6
-
piloteer
02.04 20:05
95lx에서 한글을 쓰는 법이 있기는 한데 통신앱도 되는지는 모르겠고.. 된다 해도 캐릭터셋의 문제가 있으니 추가적인 설정이 들어갈 것 같습니다.
말씀처럼 아예 프로그래밍을 해 넣으면 안될 건 없습니다만.. 제 경우 고려하는 용도로서는 그리 한글 입출력이 필요하지 않아서 그 정도의 노력을 할 생각은 들지 않네요 (..)
일단 제 경우 별 경고가 안 뜹니다만 제 환경이 특이해서 그럴 수도 있으니 해당 링크는 내리고 이름으로 대체하겠습니다. 제로보드4 기반의 오래된 사이트다 보니 조금 보안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겠네요..
-
별날다
02.11 16:43
오.,!! 멋지네요! -
piloteer
02.12 08:02
감사합니다. 사실 딱히 저렇게 쓸 이유는 없지만 공돌이 감성으로 설정해봤습니다 (..)
-
systemd에 콘솔 설정을 넣으시는게 더 간단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br /><br />10년가량 sysvinit을 끼고 살았는데, 요즘은 이제 갖다버릴 때가 되었구나 싶네요.
-
piloteer
02.12 15:16
넵, init가 참 연식이 오래된 물건이고 (systemd관련 논쟁은 차치하고라도) 다른걸 써보면 좋을 것 같긴 한데..아직 systemd를 어떻게 쓰는지 잘 모르겠어서 일단 system v init기준으로 설정했습니다 (..) 배워야 하는데 말이지요.
잘봤습니다. 신기하네요.
나왔을때 한번 사볼까 했다가 흐뜨뜨한 가격때문에 포기해서리..
아예 한글파일을 코드로 짜서 집어넣어야 할것 같은데요??
흠 그건 그렇고 링크하신 http://oilman.new21.net에서 바이러스가 있다고 파폭에서 Warning사인 울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