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기 및 구매후기


체리키보드 G80-3000 (3497)

2016.02.15 07:13

영진 조회:5312

만능문답에 키보드 관련 질문을 하고는 사본 키보드입니다.


저는 지금까지 이리저리 책상위에서도 옮길수 있는 가벼운 키보드가 진리라고 생각해 왔었는데 요즘은 점점 투박하고 꾸미지 않은것 led같은거도 없는 고전적 키보드가 좋아지더군요


아마도 컴팩트배열이나 낮은키를 쓰면 처음에는 편한데 여기에 길이들면 타이핑습관이 서서히 무너지는 것 같습니다. 잘못된 습관으로 치고 있는 경우를 발견하게 되는군요.  가끔씩은 풀배열을 쳐줘야하는거 같습니다.


사실 저는 기계식을 꼭 고집하지는 않아요. 멤브레인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키가 조금 노는 경향은 있지만 실제론 별 영향은 없다고 생각하거든요. 오히려 키를 눌렀을때 충격을 완화하는건 멤브레인이 더 나아요.   일정한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는 기분상일 뿐.


키보드 무게의 문제도 닭이냐 달걀이냐 하는 문제인데 가벼운 키보드를 쓰면 이리저리 여러자세를 취해서 쓸수 있기 때문에 분명히 편한데, 그렇기 때문에 무너진 자세로 타이핑을 하게되는 경향이 있더군요.  요즘은 차라리 잘 움직이지 않도록 무거운 키보드를 쓰고 자세를 각잡고 치는 것이 더 낫겠다는 쪽이에요.


그래서 기준은,


1.풀배열일 것 고전적키배치여야 한다.

2.led같은 신경쓰이는 것이 없어야 할것

3.멀티미디어키등 없어야할 것

4.베젤폭이 넓어야 할것

5.무게도 무거우면 좋음



ibm-m, das keyboard, 체리 3497 이런정도인데 국내에서 쉽게 구할수 있는건 체리 3497이 쉬운거 같아서 샀습니다. 

3000과 거의 같은 모델이더군요.


힘안들이고 쓸수 있다고 해서 적축을 샀는데 멤브레인보다 더 잘 눌려서 살짝 닿기만해도 입력이 되네요. 작동깊이가 2mm라 하는데 느낌이 그보다 얕게느껴집니다. 바꿀까 했는데 좀 적응되니 오히려 나은것 같습니다. 멤브레인에서 쓰던 압력차를 이용하여 손가락들이 병렬로 치는 순간적 속타를 가볍게 구사하다간 다른키들이 눌리거나 순서가 뒤집어지는 경우가 있어 적합치 않은데 장시간 타자에는 상당히 좋습니다.


배열은 더할나위없이 '정석'입니다. caps lock에 구분되는 홈이 파여진점, F키들이 주요키들뭉치에서 한단은 떨어져있는점, 한글키나 한자키등으로 줄어든 키들이 없는점등 매우 마음에 듭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f,j키에 있어야 하는 돌기가 없고 대신 굴곡이 살짝 다릅니다. 이 점때문에 처음에는 헤매는데 이틀정도 써보면 적응이 되네요.

이 배열이 28년동안 전혀 바뀌지 않은 거라고 합니다.


다만 리눅스에서 esc가 멀다보니 vimmer들로서는 caps lock을 esc로 쓰는것이 거의 필수적입니다.


키높이는 이 모델이 기계식으로서는 높은편은 아니고 제겐 딱 적당한 편입니다.  물론 펜타나 일부 멤브레인보다는 높아요.

베젤이 넓은것을 찾는 이유는 손가락이 쉬기 편하기 때문이고요 굳이 팜레스트 안써도 키가 높지 않다면 베젤로 때울수 있죠.

요즘 베젤이 무조건 얇아져만 가는데 저는 좀 불만이에요.  키아일랜드간의 거리도 좀 되야지 (아래 vt100)손이 거기서 쉴수 있거든요.

이런 고전키보드들의 장점이라 생각합니다.


이 모델은 한글키가 없고 오른쪽알트도 엄지쪽에 없기 때문에 그냥 저는 shift-space로 변경하는편을 쓰는데 이것도 습관되면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다만 의도치않게 눌릴 때가 있어서 타이핑습관이 좀 바뀌어야 하네요.


typeracer.png


가끔씩 하는 온라인 타자게임 typeracer인데 재미있습니다~

저도 못치는건 아닌데 150-200wpm치는 괴물들이 하이랭커를 차지하고 있네요



DEC_VT100_terminal.jpg


 이건 제가 참 그리워하는 박스터미널인데 키보드가 정말 예술이었다는...

꾹꾹 눌러주면서 코딩했던 때가 그립습니다. 컴파일도 5분10분정도 걸리면 그 스릴과  쾌감이 굉장한데 말이죠.

요샌 그런 긴박감이 없이 많이 진부해진듯하죠  정작 저걸 다시 쓰라면 욕나오겠지만..하하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60 중국제 블루투스 전력측정기 [1] file matsal 07.31 632
1159 rx 470 사용기? [2] file 박영민 03.13 641
1158 라이젠 레이븐 릿지 2200g 영상 리뷰 입니다. [4] 스파르타 05.30 656
1157 Dell Inspiron 7620 2 in 1 사용 소감 matsal 04.25 717
1156 블루투스 USB 동글 개선된 안테나 file matsal 08.18 810
1155 MDR-NWBT20 노이즈 캔슬링 블루투스 리시버 개봉기 [3] file matsal 03.30 818
1154 2만 원으로 아이폰X 고속 무선 충전을 할 수 있는 피플 고속 무선 충전기 [4] file 스파르타 04.11 820
1153 Wifi + BT 합쳐진 초미니 USB 동글 [3] file matsal 09.19 823
1152 중국제 블투 핸즈프리 BTR11 사용기 [1] file matsal 05.07 826
1151 중국제 허접 CDP 사용기 [3] file matsal 04.07 829
1150 블루투스 체중계 길들이기 [1] file matsal 08.25 844
1149 안드로이드 전용 블루투스 트래커. 치폴로 원 포인트 추천 [2] file 스노우캣 10.25 846
1148 BOSE Sleepbud 사용기 v2 [4] matsal 03.20 913
1147 샤오미 전기면도기 W482 [2] file matsal 10.22 966
1146 아이폰 SE → Xs 하루 소감 [5] matsal 08.20 982
1145 삼성 크롬북3 구매 및 사용 간단 후기 [1] 해색주 09.01 996
1144 LG 그램 15 2018 사용기 [6] matsal 06.03 1005
1143 공기청정기 사용기 - 위닉스 AZBE380 [5] file matsal 05.10 1019
1142 샤오미 홍미노트5 및 어메이즈핏 빕(Amazfit Bip) 간단 사용기(작성중) [1] 키토 10.09 1022
1141 AMD 피카소 3700U탑제한 엔비 13 X360 간략후기 [2] file 스파르타 08.22 1041

오늘:
12,899
어제:
17,280
전체:
17,736,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