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를 해서 알면 알수록 천조국의 농지는 경이롭군요.
2016.03.18 08:42
건답직파 재배를 해도 한국에서 담수 이앙재배를 하면서 노동력과 비료와 농약을 갈아넣은거보다
더 적은 비료와 농약과 생산비용을 가지고 수십%이상 더 많은 쌀 생산량이 나옵니다.
담수 직파를 하는 캘리포니아는 더 생산량이 많은데 정작 여전히 생산비용은 더 적습니다.
세상에 무슨 이런 사기적인 동네가 다 있나요... ㄷㄷㄷ
코멘트 16
-
별날다
03.18 10:10
-
바보준용군
03.18 11:02
환경부터 다르죠
농민 한가구 -_-?(라기보단 회사)가 가진 경작 면적 그리고 가도 가도 끝없는 평지
그에 들어맞는 설비와 치수 시설
그리고 쇼미더 머니 -
바보준용군
03.18 11:03
비교하면 공장과 가내 수공업 -_- -
한국 뿐만 아니라 세계를 다 뒤져봐도 압도적이죠
-
수빈아빠처리짱
03.18 11:53
이앙법이 있는 이유가 2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나온 겁니다. 보리 + 벼를 키우기 위한..
우리 동네에도 건답직파를 하시는 분이 계셨는데, 결국 안 하십니다. 문제는 잡초라고 이야기 하시더라구요.
잡초가 이양법에 비해 많고 또 뽑기 불편하다고 하십니다.
-
RuBisCO
03.18 12:08
예. 담수 상태의 논에선 수생성 잡초를 제외하면 잡초들이 다수가 발아를 하지 못하기에 노력이 그만큼 절감되죠. 다만 한국의 경우는 보리+벼의 2작은 제한적입니다. 현시점에서는 쌀의 수량이 많은 중만생종이 다수라 보리까지 기르기에는 좀 애매한 지역이 많기도 하고 경제성 역시 떨어지는 편이라 하는 데가 많지 않죠. -
종다리
03.18 13:47
원래 그 건답직파에서 진짜 심각한 잡초 빼고 그냥 무시 한다고 하던데 말이죠... 아니였나요?
-
RuBisCO
03.18 15:45
무시해도 좋은거라는게 별로 없습니다. 대부분 병해충의 중간기주가 많은데다가 벼와 서로 쟁탈이 벌어져서 내버려두면 수량이 급락합니다. -
종다리
03.18 16:19
뭔가 획기적인게 없는이상은 힘들겠네요
-
지형이 오래된 지역이라서 물은 맑은데, 추운기간이 5개월이나 되고 토질에 양분또한 적어서 농사짓기에는 좋은 나라가 아니라고 하네요.
대기업농을해도 한국에서는 절대 미국만큼 뽑을수 없다고 함.
-
왕초보
03.18 15:05
캘리포냐만 보면. 일단 이 지역은 기본적으로 사막입니다. 그래서 비가 오는 계절이 겨울 뿐이고, 그것도 산지에 집중해서 눈이 오고 말죠. 물이란건.. 이 눈이 녹은 물을 끌어다 농지에 뿌려서 농사를 짓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여름에 집중해서 비가 오는데, 많은 물이 농지에 비로 떨어져서 그냥 흘러가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농지에 존재하던 무기물을 대량 녹여서 없애버리게 됩니다. 그래서 당연히 비료를 주는 양도 훨씬 늘어나야 하게 됩니다.. 캘리포냐의 경우는 그 문제가 훨씬 적죠.. 비가 거의 안오는 관계로.
그렇지만 캘리포냐라고 하더라도 늘 물줘서 키우는 잔디밭의 경우는 무기물을 녹여버리는 효과가 똑같이 존재하기때문에 잔디밭에는 열심히 비료를 줘야 한다는.. -_-;;
아 노지에서 농사를 짓지 않고 물을 리싸이클링하도록 건물을 지어서 농사를 지으면 무기물도 잃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물 소모량도 5%에 불과하다네요. 요즘 캘리포냐는 극심한 가뭄으로 농사에 사용하는 물을 줄이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캘리포냐 물 소모량의 90% 정도가 농사에 사용된대요)
-
이번에 일본에서 최초로 생긴 공장식 채소생산설비 보면 그쪽도 먼치킨이던데요;
장래에는 애들이 채소나 쌀은 공장에서 만드는 걸로 알 수도 있겠던....
-
RuBisCO
03.19 04:59
그거 설비비가... 단가가 아주 높은 작물들이 아니면 힘듭니다. -
사실 나무 하나만 봐도 국내에서 20년치 자란게 그동네에선 5년만에 자라는거 보면 신기할정도로 차이가 극심하죠.
-
RuBisCO
03.20 12:26
쌀은 애교군요 -
4계절이 뚜렷하고 장마가 있는 우리나라는 농작물이 생육하기네 그리 녹녹치 않은 환경입니다. 우리나라에 특화 된 작목 외에 도입된 작목은 타고난 환경을 가진 나라에 비해 생산성에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지요.
건답직파가 뭔지 ... 몰라서 찾아봤네요..
아주 좋네요...
사기적인 동네라기 보다는 그만큼 기술개발에 투자가 되고 있다는 거죠.
부럽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