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 교육이 유행이라죠?
2016.07.23 19:48
세상의 유행은 참 돌고 도는 것 같습니다. 제가 어렸을 때 그러니까, 1980년대 후반부터 90년대 후반까지 한국에서 컴퓨터 교육 열풍이 불었죠. 저는 그 와중에서 학교에 있는 8비트 컴퓨터에 GW-BASIC을 코딩하는 것을 하고 그래프를 그리는 것을 하고는 했습니다. 제가 코볼과 같은 상용 언어를 배우려고 할 때가 되자, 유행이 끝나더군요. 저는 중학교에 들어가야 할 때가 되었고 더 이상은 즐거운 코딩을 할 수는 없게 되더군요. 그리고 세월이 한참 흘러서 대학교에 들어갔고 윈95가 나왔습니다.(저는 96학번입니다.) 워낙에 불안정한 OS라서 ㅁ많은 사람들이 괴로워했고 저는 컴맹에 가까워서 제대로 써보지 못했습니다.
매트릭스를 보고 컴공 전공자인 여친을 만나게 되면서 조금씩 코딩이나 컴퓨터/서버에 대해서 알게 되고 나중에는 진지하게 대학원 진학도 생각하게 되었죠. 문제는 관련 분야에 취직하는 것을 실패하고 나서, 엉뚱하게도 은행에서 통계팩키지와 SQL과 오라클 그리고 유닉스 명령어를 배우게 되더군요. 당시 유행하던 CRM이라는 것을 하게 되었는데, 워낙에 기반이 없어서 담당자들이 모든 데이터를 직접 만들어서 해야 하는 것이었어요. 프로젝트 한 번 하고 합병 되고 그러면서 정말 피를 토할만큼 코딩을 했던 것 같습니다.
저처럼 기본적인 지식이 안되는 사람들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어떻게 되던 해당 분야의 지식을 찾게 되더군요. 나중에는 이것저것 귀동냥, 눈동냥 하면서 살았습니다. 전산부 담당자와 말씀하다가, 프로그래머에게 코더라고 하는 게 얼마나 실례인지 알게 되었죠. 이것 때문에 같이 일하던 직원이 불같이 화를 냈는데, 그때는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나중에 생각해 보니 조금씩 알게 되었거든요.
오늘 아이들 교육에 대한 설명회를 다녀왔습니다. 첫 번째 강사는 새누리당의 황태자였던, 이준석님이었고 두 번째는 컴퓨터교육학과 굥수님었고 세번째는 공부혁명대 대장 송재열이라는 분이었습니다. 이준석님이야 예상했던 범위 안에 들어왔고, 송재열이라는 분은 공부하는 기.술. 그 자체에 대해서 설명해주셨습니다. 개인적으로 송재열님의 강연이 가장 인상에 깊었습니다. 다만, 저렇게 공부하는 것은 성적은 올리겠지만 내 아이가 가야 할 길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가장 중요한 아이가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일말의 관심을 갖지 않기 때문이죠. 그러나 공부 기술 그자체는 극강이었습니다.
뭐랄까요, 내공은 별로 없지만 외공으로 일가를 이룬 무인을 보는 것 같았습니다. 공부하는 기술을 가르칠 수는 있겠지만 어느 학문을 연구하는 사람이나 스승으로서는 글쎄요. 여하튼 그분의 삶이나 이야기는 충분히 존중할만했습니다.
제가 놀랐던 것은 컴퓨터 교육학과 교수라는 분이 코딩 그 자체에 대해서 지나치게 대놓고 비하하는 모습이었습니다. 그분의 생각에는 코더는 하찮은 것이고 아키텍트가 되어라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예를 들면서 한 것이 조각가가 디자인을 해서 석공에게 외주를 주고 그것을 전시하는 것은 예술이라고 합니다. 그리고는 코더(프로그래머)를 그 석공에 비유하더군요.
그 순간 제가 갑자기 열이 확 뻗쳤습니다. 제가 일하는 분야에서도 비슷한 사람이 있습니다. 프로그래밍이나 데이터 핸들링 하나도 안하고 입으로 일하고 정리해서 자기가 했다고 위에다 보고하는 그런 사람들 말이죠. 예전에 회사에서 제 일을 그렇게 가로채려는 사람이 있어서 대판 싸우고, '난 당신 도움 없어도 잘 할 수 있으니, 다른 사람 찾아보세요.'했던 기억이 났습니다. 그리고 통계 전공자중에 코딩 못하는 사람들이 이런 이야기를 했죠. '난 코딩 잘 못해도 되요. 분석하면 되잖아요.' 그러나 자기가 원하는 형태로 데이터를 정리하지 않으면 분석이고 통계분석이고 못합니다. 기본적인 데이터조차 못만들면서 분석을 하겠다는 것은 화학자가 실험하지 않고 남들 데이터 다 정리한 것 가져다가 새로운 성분을 만들겠다는 것과 같죠.
여하튼 그 교수님에게 많이 실망했습니다. 현업 경험이나 실무 경험이 없어서 저러시지는 않을테고, 프로그래밍 자체에 대해서 천시하고 아키텍트 같은 것에 대해서 '우와아아, 킹왕짱' 이런 느낌을 받았습니다. 요즘 들어서 이쪽 통계/IT분야 교수님들에게 실망하는 경우가 많군요.
코멘트 7
-
바보준용군
07.23 21:56
-
별날다
07.24 01:31
코더라....
우리나라에서 코더를 찾는 다는 것은 해운대 모래 사장에 떨어진 모래알 만한 다이아몬드를 한 알을 찾는 것 만큼 힘들 겁니다.
우리나라 개발 현황이 단순 코더가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죠. 만약 누군가가 단순 코더가 되려고 하는 순간 몇 달도 안되어 업계를 떠나거나 그런 마음을 버려야 하죠.
미국이나 일부 개발 선진국처럼 각 분야별로 하나 하나 나뉘어 코더로 먹고 살 수 있게 될 수 있을지도 의문이네요.
미국도 벌써부터 쉽고 단순한 반복적인 것들은 모두 자동화되어가는 마당인데 말이죠. ㅎㅎㅎ
그리고, 직업 상담은 학교나 학원에 있는 사람이 아니고 그 분야에서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분들에게 해야 합니다.
진로 상담사나 학원 강사, 교수 들은 사실 그 분야에 어떻게 먹고 살아야 되는지는 잘 몰라요. 그저 공부에 입문할 수 있는 방법을 알 뿐이죠.
문제는 학생의 부모들이 우리 조차 그걸 벌써 알고 있음에도, 아주 손쉽게 비전문가인 초보자들에게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맡기려고 한다는 점입니다. 그렇게 하는 까닭은 뭐... 먹고 살기도 바쁘다는 핑계일 뿐입니다.
내가 모르는 것을 아이들이 하려고 한다면, 그 분야에서 일가를 이루고 있는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되는데 .... 이걸 안 하더라고요..
다행인지... 제 아이는 제가 걸어온 길을 가겠다고 하네요. 그래서 제가 좀 말은 해주고 있는데... ㅎㅎ.. 쉽지는 않더군요. 그래도 선생님보다는 제가 더 잘 아니까, 걱정은 덜 됩니다. 다만,... 앞 날을 헤쳐나가는 건, 아이 스스로 해야하는 거라서, 어쩔 수 없지만요.
-
해색주
07.24 07:03
저는 전산전공자가 아니어서 자세히는 모릅니다만, 제가 아는 코더는 예전 웹 에이전시에서 개발한 코드를 가지런히 정리하고 가독성을 높이는 담당자였습니다. 보통은 모든 로직을 구현해 주면 그거을 단순히 코드로 변환해주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건데, 제 파트너가 화냈던 부분은 그것이 프로그래머를 단순 변환기로 생각하는 것이기 때문이라는 거죠.
그리고 그분은 예전 애니악 시절에 프로그래머들이 코딩하고 실제 각 애니악의 코드를 뽑고 끼는 사람을 코더라고 단순 설명 하시더군요. 그런데 실제 코더는 그냥 그렇게 코드를 뽑고 끼우는 단순직이 아니라 사람의 말을 또는 사람의 논리를 기계가 알 수 있도록 변환(encode)하는 사람이었습니다. 우리는 2016년을 살고 있는데 저분은 1946년을 살고 계신건가,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어제 입시컨설팅을 잠깐 들었는데, 학원에서 거의 모든 것을 해줄 수 있겠더군요. 단 하나,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 공부를 하고 나서 무엇을 해야 할지가 없더군요. 저렇게 공부의 신이 되서 정작 사교육 사업에 뛰어들 수 밖에 없게 되겠구나 생각이 들더군요. 그 부분이 가장 어렵더군요.
회사에서도 단순히 출세하고 승진하는데만 몰두한 사람들은 정작 그 자리에 올라서면 자기가 왜 그 자리에 올랐는지 모르는 사람들이 많으시더군요.
-
별날다
07.24 11:09
굳이 전산이 아니더라도, 다른 쪽도 마찬가지라고 봅니다.
공부 잘 하고, 시험 잘 치른다고 해서, 반드시 일 잘하는 것은 아니잖아요?
이놈의 사회가 틀에 맞춘 길을 가지 않으면, 너무나 헤쳐나가야 하는 게 많아서 답답합니다.
그래서, 제 아이에게 이 나라 안에서만 길을 찾지 말고, 밖으로 나가라고 말해주고 있네요.
뭐... 제가 능력이 모자라서 뒷바라지는 못해준다는 말을 앞뒤로 달긴 합니다... 쩝!
어쩌겠습니까... 흙수저 물고 태어난 게 숙명이라 어쩔 수 없지만, 스스로 지 부모보다 더 잘 살기 바랄 뿐이네요.. ㅠ.ㅠ
-
맑은하늘
07.25 11:37
조영남씨....논란? 이 떠올랐으며...코더?라는 말에 왜 화가 났는지는 이해를 못했으며...
지가 한일은 없이....모든것을 통합해서....나는 지휘자?라는 이야기...위에 지가 다했다라는 인간 부류...
x 나오려 하네요 !!
저는 오히려...석공이...코딩을 하는 이들이...더 능력이 뛰어나다 생각합니다.
아이디어? 자체...한 두마디하고...모든것을 다 했다하는이들이....불이익 받는 세상을 보고 싶네요.
그냥...웃어봅니다.
새누리 인간들은 ....보고 싶지 않은 ..듣고 싶지 않은 하루입니다. -
맑은하늘
07.25 11:41
댓글을 읽으니..."코더"라는 명칭에 왜 화났는지 이해가 되네요.
능력만 있다면..멋진 앱...만들어서...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싶다는 생각이 스치네요 -
사드사랑
07.28 09:26
제 생각에 그 화낸 사람은 '코더' 였을 것 같습니다. 아키텍트라면 코더라는 말에 그리 화를 내지 않을 것 같거든요. 코딩도 예술이다 라고 얘기하면서 말이죠.
인터넷에서.. 트롤이 초딩인지 알아보려면.. '물어본다' 라는 얘기가 있었습니다. 불같이 화를 내면.. 초딩 맞고.. 젊게 봐줘서 감사.. 하면 노땅입니다.
-_-
다웃기는건 초급 나부랭이도 못 되는 제가 한질문에 우무 주물 하시는분더 봤고 그 우줄 주물하눈 소리중에 두어개 캐내서 다시 여쭤보니 알렁 뚱땅 넘어가시 길래 그러려니 했습니다 고개 돌려 보니 다들 피식 하는 표정으로 보고 있더군요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