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진샤(Kohjinsha) SA5 리눅스 설치기
2016.09.24 16:13
Kohjinsha SA5 리눅스 설치 
작성 이력
2016-09-24 처음 작성
2016-10-22 한글 설정 추가
1. 준비
- 대상 장비
    Model Name : Kohjinsha SA5
    Model No. : SA5SX08AKR
    
나눔해주신 대머리아지씨님께 이 자리를 빌어 감사드립니다
- 설치 배포판
    Debian 7 (Wheezy)
      - 최초 Release 버전 7.0  (2013-05-04)
      - 현재 Release 버전 7.11 (2016-06-04)
      - ref. https://www.debian.org/releases/wheezy/
- 설치 준비
고진샤 SA5는 CD-ROM이 없기 때문에 USB CD-ROM 드라이브를 사용
    Debian 7 설치 CD 1번을 구워서 준비
        참고로 USB에서 설치할 수 있는 Debain 이미지도 있는데, USB 부팅이 인식되지 않았음
    USB에 고진샤 SA5의 무선랜카드 드라이버를 준비해 둔다
        ref. https://packages.debian.org/wheezy/firmware-ralink
2. 설치 
    CD-ROM으로 부팅을 하면 Debian Install 화면에 나온다
    Install 화면에서 boot 옵션을 지정했다.
        >boot: expert acpi=off video=lxfb:1024x600-32@60
    설명
        expert
          - 전문가 모드로 설치 옵션 지정해서 설치 단계마다 확인할 수 있게 하고
          - linux image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486 이미지를 선택해야 한다
            (고진샤 SA5의 ARM Geode LX800 CPU는 486 명령어 호환칩이기 때문) 
        acpi=off
          - acpi 관련 기능 체크할때 멈추는 현상이 있어서 off 시킨다
            정확한 원인은 모르나 고진샤 SA5의 acpi 기능에 오류가 있는 듯함
        video=lxfb:1024x600-32@60
          - 설치과정에서 사용할 video 모드 설정을 지정한다
          - Geode LX800의 FrameBuffer 모드 지정(해상도, 색상수, 주사율Hz?)
    아래 2개 사항만 별도 지정이 필요하고 나머지는 일반적인 Debian 설치과정가 동일하다
        - Network Driver 설치할 때 미리 준비해둔 무선랜 드라이버 파일을 USB에 담아서 로딩해준다
        - Install the base system 단계에서 linux image는 꼭 486을 선택해야 한다
            참고로 아래 site에서 debian 7.1 설치 스크린샷을 볼 수 있다
            http://dev-random.net/debian-linux-server-wheezy-7-1-installation/
3. 설치 후 재부팅
    설치가 끝나고, 재부팅될 때 grub 부팅 옵션을 수정해야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었다
    grub 화면에서 'e'를 눌러서 부팅 옵션 에디트 화면으로 들어가면
    설치할때 입력해서 'acpi=off video=lxfb:1024x600-32@60' 옵션이
    추가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데, 그대로 하면 부팅이 안된다. 이유는? 모름
    'video=lxfb:1024x600-32@60' 대신 'vga=786'을 지정해야 부팅된다
        참고: 'vga=786' 옵션은 640x400 해상도
    
    부팅 메세지(dmesg로 볼수 있다)에서 apic나 pnpbios 관련 에러가 보여서
    grub 부팅 옵션에서 추가로 off 지정했다
    최종 grub 부팅 옵션 :  acpi=off noapic nolapic pnpbios=off vga=786
4. 부팅 후 설정
    WiFi 설정을 위해서 wpasupplicant 패키지를 설치하고, 설정해준다
5. 콘솔 환경의 한글 설정
5.1 Install packages
  한글 글꼴         : ttf-nanum, ttf-nanum-coding
  프레임버퍼 터미널 : fbterm
  콘솔 한글 입력기  : uim
  # apk-get install ttf-nanum ttf-nanum-coding fbterm uim-byeoru uim-fep
5.2 Config the packages
  5.2.1 config uim
           (참고 : 아래 설정변경은 시스템의 uim 설정을 모두 바꾸는 global 설정임)
    - 한글전환키 변경 : Ctrl-Spacebar
      /usr/share/uim/byeoru-key-custom.scm 파일의
      'byeoru-on-key' 와 'byeoru-latin-key' 의 '<Shift >' 를 '<Control >' 로 변경
    - 한글 자판을 세벌식 최종으로 변경 (참고: byeoru 기본 자판은 두벌식임)
      /usr/share/uim/byeoru-custom.scm 파일의 다음 부분을 수정한다
       변경 전: 'byeoru-layout 'byeoru-layout-hangul2 
       변경 후: 'byeoru-layout 'byeoru-layout-strict3final 
  5.2.2 config fbterm
    ~/.fbtermrc 파일을 열어 다음 부분을 추가/수정한다
    font-names=mono,nanum
    text-encodings=UTF-8,UTF-16,EUC-KR,MSCP949
    input-method=uim-fep
5.3 한글 fbterm 실행
      (참고 : fbterm 환경에서만 한글 로케일 지정하는 방식임)
  $ LANG=ko_KR.UTF-8 /usr/bin/fbterm -- /usr/bin/uim-fep -u byeoru
*. 마지막
    고진샤 SA5의 성능이나 화면 크기를 고려해서 GUI 설정은 하지 않았음
* 한글 설정 References
[1] http://github.com/uim/uim/
[2] http://www.comsvc.kr/xe/comsvc_tip02/21394
[3] http://ders45.blogspot.kr/2015/09/blog-post.html
코멘트 18
- 
			대머리아자씨09.25 06:16 
- 
			마몽드09.26 13:02 제가 감사드려야죠 ^^ 우선은 서버 접속 터미널 대용으로 사용할꺼라 GUI 구성 안했는데, GUI가 없으니까 심심하기는 합니다 ^^;;; 
- 
			
						오랫만에 듣는 브랜드네요
- 
			마몽드09.26 13:04 저는 처음 만져보는 기기라서 마냥 신기해하고 있습니다 ㅎ 
- 
			늘푸른나무09.26 08:02 혹시 ASUS 넷북도 이 파일 깔 수 있나요? 너무 느린 거 같아 OS를 바꿔 볼 까 하는데 마땅치 않네요~~ ^^: 
- 
			마몽드09.26 12:57 ASUS 넷북이면 인텔 계열 CPU(아톰?)일 것 같은데요, 그러면 고진샤 제품(AMD Geode LX800 CPU)보다는 리눅스 배포판 선택의 폭이 넓어서 Debian 뿐 아니라 우분투 계열도 설치될 것 같습니다. 성능이 떨어진다면 설치할 때 Desktop 환경을 가벼운 것으로 하는게 더 중요할 것 같고, 제 경우에는 ThinkPad R51e 에 LXDE를 잠깐 사용했던 적이 있는데, 나름 괜찮았었습니다. 조금 더 바꾼다면 윈도우 매니저도 가벼운 것들로 바꿔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제가 써봤던 가벼운 윈도우 매니저 중 극강은 ratposion 이라고 GUI 환경인데 터미널처럼 동작하는 것도 있습니다 ^^ 
- 
			늘푸른나무09.27 09:10 만약 시도하다 실패하면.... 벽돌(?)이 될 수 있나요? (벽돌은 휴대폰 탈옥이나 롬 개선할 때 실패해서 아무것도 못하는 상태를 말하는 것이긴한대....) 많은 두려움이... T.T 
- 
			piloteer09.27 09:37 넷북같은 IBM PC 호환기종에 리눅스를 설치시에는 보통 펌웨어 핵심(BIOS)를 건드리지 않기 때문에 실패해도 복구는 가능합니다. 물론 운영체제 재설치같은 귀찮은 단계를 거쳐야 하기는 합니다. 
- 
			늘푸른나무09.27 10:07 아~~ 그럼 안심하고 해도 되겠군요... 죄송하시만 우분투는 어디에서 파일을 좀 받을 수 있을까요? 이게 제가 어떻게 바꾸자니 좀 어렵고.... 놔두자니 아깝고... 팔자니 돈도 안되고.. 나눔 하자니 골동품이고... 정말 계륵이네요... T.T 
- 
			piloteer09.27 20:37 http://ubuntutym2.u-toyama.ac.jp/xubuntu/16.04.1/release/xubuntu-16.04.1-desktop-i386.iso 요걸 받으셔서 http://www.linuxliveusb.com/downloads/?stable 요걸로 usb메모리를 가지고 부팅 usb를 만드시면 됩니다. (*usb메모리의 다른 파일들이 삭제되므로 주의 바랍니다) 그 다음에 부팅중에 BIOS혹은 부팅 장치 선택메뉴에 진입하셔서 usb로 부팅을 진행하시면 설치메뉴로 넘어갑니다. 경우에 따라선 라이브모드로 설치전에 운영체제를 실행해볼 수 있을 수 있으니 (메모리가 부족하면 잘 안 될수도 있긴 합니다만..) 정상동작여부를 그걸로 테스트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혹시 8기가 미만의 저용량 저장장치 모델이면 (초기 7인치 eeePC..) 용량부족으로 좀 힘들 수 있습니다. 엄청 가벼운 배포판이 있기는 합니다만.. 또한, 일부 셀러론 M 모델은 PAE플래그가 없어서 우분투가 오동작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forcepae옵션을 주셔야 하거나 (구글링해보시면 나옵니다.) 아니면 이 글의 작성자분의 경우처럼 아예 486커널 데비안을 대신 설치하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아톰버전은 해당 없습니다. (한국에 팔린 물량 대부분은 8기가 이상에 아톰버전일겁니다만.. 예외도 있으므로 고려바랍니다.) 참고로 링크의 배포판은 xubuntu로 ubuntu보다 조금 더 저사양에 적합한 GUI 환경 (xfce)을 사용합니다. 마음만 먹으면 더 밑으로도 갈 수 있습니다만 그러면 조금 컴퓨터 실력이 필요해지기 시작합니다. 
- 
			늘푸른나무09.27 21:45 자세한 설명과 자료... 너무 너무 감사 드립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중간 정도에 말씀하신 부분들은 다 만족합니다. T.T 8기가 미만의 저장장치(1.5G정도?), 7인치, eeePC입니다. CPU도 아톰 모델이 아닙니다. 도전이 더 무모하겠죠? 
- 
			piloteer09.28 02:02 701 초기형이군요.. 그 정도면 글쓰신분의 경우같은 데비안 최저사양 (gui 없이) 설치나 아니면 저사양 최적화 리눅스 배포판 (퍼피리눅스 같은?) 사용은 가능할 듯 합니다.. 하지만 gui가 안 되거나 (용도에 따라선 안하느니만 못할 수도..)설치시 손이 많이 갈 가능성이 있어 보이네요..<br />오래되어 기억이 안 나는데 그게 sdhc카드가 되던가요? 거기에 설치가능할 수는 있습니다.
- 
			늘푸른나무09.28 07:50 sdhc카드면 좌측이나 우측 슬롯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USB포트와 유선 LAN 같은 거 말고는 다른 카드 삽입 포트는 안 보입니다. T.T 퍼피리눅스? 한번 검색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근데 제가 잘 깔아서 쓰기에 적합하게 만들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 
			piloteer09.28 10:12 sdhc는 sd카드 슬롯 이야기였습니다. 2GB 초과 카드를 사용하려면 SDHC를 지원해야 하는데.. 아마 있었던걸로 기억하는데 오래되어서 제 착각일 수도 있겠네요... 내장 스토리지보다 속도는 좀 느리지만 용량이 확보되니 SD카드에다 데비안 xfce를 설치하는 편이 좀 더 다루기 쉬울 수 있습니다. 퍼피리눅스같은 저사양용 리눅스도 괜찮은데 쓸만하게 만들려면 좀 더 손이 많이 가고요.. (SD카드에도 운영체제는 설치 가능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grub을 sd가 아닌 내장 ssd에 잡아주셔야 할 수도 있습니다만.. 그래도 보통 되기는 합니다.) *SD카드가 남는 게 있으시거나 구하실 수 있으시다는 전제 하입니다.. *속도는 내장 저장장치 설치대비 좀 더 느립니다. 타협안으로 일부분만 내장 저장장치에 설치한다는 방법도 있습니다. 
- 
			늘푸른나무09.29 08:22 아~~ SD카드도 있고... 슬롯도 있습니다. 그럼 SD카드를 삽입하고 XFCE(?)를 검색해서 찾으면 되는 거군요... 바쁘시겠지만 제꺼 한번 봐 주실 수 있으신가요? 주말 즈은에 사양이랑 옆모습 찍어서 올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놈을 놀리지 않고 잘 활용했으면 좋겠습니다. OS도 XP라 너무 느리고... 익스플로러도 7~8인지 깔려 있어서 거의 모든 사이트에 못 들어갑니다... T.T) 혹시 제가 올리게 되면 바쁘신일 다 보시고.. 시간 되실 때 어떤 조치가 가능한지 안내 해 주시면 정말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 
			piloteer09.30 00:46 데비안 xfce cd 이미지를 받으셔서 usb설치디스크를 만드신 후 설치하시면 됩니다. 도와드릴 수는 있습니다만.. 딱히 xp보다 대단히 빠르거나 할 것 같지는 않습니다. 인터넷의 경우도 익플8보단 낫겠지만 화면이 작아 딱히 요즘 스마트폰보다 나을 구석이 없는 듯 합니다. 기계 자체가 워낙 저사양이라서요. 그래서 인터넷같은 용도로는 솔직히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다른, 이 기계에 맞는 용도가 있으시다면 진행해볼만 할 것 같습니다만.. 데비안 리눅스의 장점이라면 일단 xp와는 달리 보안패치는 계속 이루어지고 있고 무료 소프트웨어를 상대적으로 구하기 쉽다는 점 정도일 것 같습니다. 설치를 진행하실 경우 참고하실 글 : https://www.linkedin.com/pulse/debian-8-jessie-old-asus-eeepc-4g-sakari-castr%C3%A9n (설치 중 루트 디렉터리 ("/" 위치) 를 내장메모리가 아닌 SD로 잡아주시고 대신 grub 설치위치를 내장메모리로 잡아주시면 SD로 부팅됩니다. 둘 다 SD에 해도 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 모델은 모르겠네요..) 
- 
			마몽드09.30 12:36 SD 카드로 용량 늘리는 것은 저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 
			사드사랑09.26 21:43 이 글은 강좌에 가야할지도. 


 
				
				 
				
축하, 축하드립니다.
이렇게 잘 사용해주시면 감사할 따름입니다.
수고하셨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