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쇼트 현상
2017.01.26 12:16
미국서 생활했기에 110볼트를 사용해야 할 가전이 많습니다. 그중 두개가 복합기 프린터와 컬러 프린터인데 둘다 각각 최고 약 600와트 정도 사용합니다. 이것들은 전 아파트에서 변압기에 물려 아무일 없이 잘 사용했습니다. 변압기는 지마켓에서 구매했구요. 변압기는 2000와트용입니다
새 아파트로 이사오면서 계속 전기가 다운됩니다. 특히 사람이 없을때 90% 이상 다운이 됩니다. 서재방에서 사용하는 전기는 컴터, 모니터 2개, 프린터 2대, 라우터, 그리고 외장 하드, 시계와인더 2개, 정도입니다. 변압기에 물려있는것은 프린터 2대, 외장 하드, 라우터, 시계와인더 입니다. 첫 전기차단은 바로 생기지 않고 이사와서 세네달 후에 발생했습니다.
테스해본 결과 변압기가 문제인데... 새로운 변압기로 바꾸면 잘 돌아 갑니다. 그러다가 사람이 없으면 전기가 내려가 있습니다. 이것때문에 아파트 관리실에서 이방만 circuit breaker를 설치해서 온 아파트가 전원차단을 격는 경우는 배제했습니다.
1. 모든 물건은 전에 있던 아파트에서 동일한 세팅으로 잘 가동되었습니다. 한번의 전원차단도 없었고 멀쩡했습니다.
2. 새로운 아파트에 와서 하나하나 점검한 결과 변압기로 생각하여 변압기를 바꾸니 한동안 괜찮아졌는데 이제는 2번째 변압기도 맛이 이상한지 계속 차단되어 3번째 변압기로 바꿨습니다. 첫번째 변압기는 60인치 티비를 잘 돌리고 있습니다. 왜 변압기 문제라고 생각하냐면 전선, 소켓등의 문제를 배제하기 위해 아예 두꺼비집에서 전원을 끌어서 변압기에 물렸는데 그때 차단이 여러번 됬거든요. 이쯤 보면 문제가 변압기에 있다는 거죠.
3. 와이프가 직장을 다니지 않기때문에 집에 있는 시간이 ... 75%정도 이상인데도 차단은 90이상이 집에 아무도 없을때 됩니다.
이상태에서 제가 취할 수 있는 것은 뭘까요?
1. 변압기를 좋은걸로 구매한다? 변압기 추천부탁드립니다
2. 새로운 아파트로 이사? 이건 좀 생각해 봐야 합니다 ㅎㅎㅎ
3. ???
장문을 읽어 주셔서 고맙습니다~~
코멘트 12
-
mr
01.26 12:53
-
mr
01.26 12:58
전기 쇼트 현상이라는 제목을 보고 생각났는데...
트랜스가 과열되면서 트랜스 코일의 코팅이 녹아 쇼트 나는 경우는 있습니다.
이런 경우라면 트랜스 용량을 키워 주셔야 할 것 같습니다.
-
hyperaesthetic
01.26 16:07
그러니까 서제의 상황으로 인해 제 아파트 전체에 전기차단되는걸 막기 위해 서제에만 따로 차단기를 설치했습니다. 이렇게 해서 부억의 냉장고나 이런것들은 영향을 안받게요.
그런데 그렇게 차단을 일으키는 변압기는 60인치짜리 티비를 잘 돌리고 있거든요... 결함이 있어서 코일의 상태가 물리적으로 변해서 피복이 벗겨졌다면 계속 차단을 일으켜야 하는데....
-
mr
01.26 13:00
그리고 다운트랜스 한개로 사용하지 마시고,
여러개로 각각 물리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전체 용량이 커지면 벽에 매립된 전선에서도 문제가 될테니까요..
-
hyperaesthetic
01.26 16:05
여러개의 변압기로 각각 물려본다... 한번 시도해볼만 하군요. 고맙습니다.
-
배선은 바로 끌어 오셨으니 원인을 어떤 기기라고 가정하고 정리해보면...
1. 다운트랜스
- 이건 간접 원인같습니다 : 과부하가 걸린다 - 그부하가 절연을 파괴한다 - 트랜스가 쇼트(상태)가 된다 - 차단기가 내려간다
참고로 다운트랜스 제조사표기 2000w는 최대 순간 피크치일 확률이 높습니다 부하테스트를 해보면 훨씬 저용량일껍니다
2. 110v를 공급받는 기기는 무죄다?
- 그냥 자기 할일을 하는데...그 합계전력이 트랜스능력이상이거나 피크치에 해당한다
이경우 각각의 전자제품에 소비전력계를 붙여서 W값을 알아보면 됩니다 (마켓에서 저렴하게 팝니다)
3. 사용전자기기중 대기시 오작동을 일으키는 경우
- 한개씩 전원코드를 뽑고 외출해보면 될듯합니다
그러나 특정 한기기가 대기 전력이 2000W 를 돌파한다는건 전원부가 연소되어 범인이 벌써 잡혔을꺼라 추측해봅니다
4. 의미 없지만 공급되는 교류전력의 Hz가 50/60나 220V가 이조건에 뭔가 안맞을수도 있다는 생각이들었습니다만 그런다고 브레이커가 작동하지는 안을꺼 같은데...암튼 어디선가 아파트 변압기가 이상해서 over volt가 나와서 항의 했다는 글을 본적이 있습니다
제생각도 정말 미궁의 사건 같습니다 잘해결 되시길 바랍니다
-
hyperaesthetic
01.26 16:17
저도 개인적인 감은 변압기외에 뭔가가 있는것 같습니다. 그런데 증거들은 다 변압기를 가리키고 있네요....
-
사드사랑
01.27 00:17
뭔가 바뀌어서 생기는 문제인데 뭐가 바뀐지 모르는게 문제군요.
프린터가 혹시 레이저프린터 인가요 ? 그럼 가끔 아이들링 중에 드럼의 온도를 유지하려고 전력소모가 확 오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레이저프린터 두대를 물려놓았다면 혹시 이 두 프린터가 저짓을 동시에 하게 되면 트랜스가 과부하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이게 문제면, 날씨가 추워지면서 문제가 발생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혹시 새 아파트에서 프린터 놓인 방이 다른 방보다 또는 그전 아파트보다 더 추운가요 ?
만약 전원차단이 자주 발생한다면 프린터 두개는 빼고 며칠있어보세요.
-
hyperaesthetic
01.31 09:51
변압기를 빼면 차단현상은 없어지고요... 그런데 프린터 두대가 동시에 드럼의 온도를 유지하려 작동한다면 과부하가 걸릴수도 있겠네요....
프린터를 따듯한 거실로 옮겨놓고 시도해야 하나... ㅋ
답글 고맙습니다!
-
시나브로
01.28 14:15
전 아파트에서 잘되던것이라면 여기서도 문제가 없어야 되는데여기 와서 문제가 생겼다.
위의 상황은 보통 트랜스가 구워졋다고 표현을 하는데요 한번 구원진건 다를곳에서도 사용을 못합니다.
이론상으로야 그럴리가 없겠지만 일단 어떤놈이 그런가를 찾야야 지요 그럴려면 하나씩 빼면서 테스트를 하던가 다뻬고 하나씩 꼽아가며 테스트를하던가 해서 문제되는 기계부터 찾아야 돨것 하고 찾고 나면 그기계의 플러그를 뒤집어 꼽아보는것도 한 방법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
hyperaesthetic
01.31 09:51
전 접지에 문제가 있나 싶던데... 모르겠네요.
-
산나물
02.03 10:38
경험상 변압기에 습기차면 쇼트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더라구요. 혹 변압기가 링코아방식인가요 아니면 일반용인가요? 링코아면 일반으로 교체해 보세요..
다운변압기는 트랜스+퓨즈외에 별게 없어서 크게 고장날 일이 없을텐데 이상하네요.
그리고 서킷브레이크를 달아 온 아파트의 전원차단을 막았다는 말씀은
아파트 전체 전기에 영향을 준 적도 있다는 말씀인가요?
각 호에 각각 누전차단기가 달려 있을텐데요? 별도로 설치할 이유가 없을 텐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