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없는 재난 -- 미국 서부 연안이 죽어가고 있어요
2017.06.06 01:00
2012년 경 부터 시작된 일입니다만.. 간단하게 들여다 보면..
불가사리가 이상한 바이러스 때문에 모든 종이 떼죽음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바이러스 자체는 원래 대양에 매우 흔한 종류라는데 왜 갑자기 불가사리를 몰살 시키는 원인이 되었는지 연구중이라고 합니다) 불가사리가 떼죽음을 하니까, 불가사리가 천적인 성게랑 홍합이 엄청나게 불어나기 시작했고요. 성게가 먹어치는 미역 (Kelp)이 아작이 나고, 미역이 아작이 나니까, 미역 덕에 살고 있던 전복을 비롯한 동물은 물론, 거의 모든 연안 물고기가 멸종 상태..
그래서 이제 먹을게 없어서 성게도 다시 죽어가는 상황. 성게가 전멸하면 다시 미역이 살아나 주리라 기대하고는 있지만, 엘니뇨 때문에 수온이 올라서 미역이 잘 자라지 않는다고 합니다. 거기다 엘니뇨때문에 더 거세진 파도로 그나마 있는 미역이 뿌리째 뽑히고 있기도 합니다.
모든 상황이 이상적으로 돌아간다고 가정할때, 올 겨울은 와야 (수온이 좀 떨어져서) 미역이 자라기 시작할 것이고, 아무 동물도 멸종되지 않았다는 매우 희망적인 가정을 할때.. 5-10년은 기다려야 다시 태평양 연안에서 제대로 자란 전복을 (직경 30cm ㄷㄷㄷ) 볼 수 있을 거라고 합니다. 연안에서 잡히는 dungeness crab이 영향을 받는다면 당분간 게맛 보기도 힘들어 질 듯 합니다.
월요일 아침에, 문득 느끼는 점들:
1. 먹이 사슬이란게 참 무섭다.
2. 자연계의 균형은 매우 미묘한데 깨지면 회복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
3. 모아나 다시 봐야 겠다.
코멘트 13
-
모기도 역할이 있습니다.<br />동물들 사이를 돌아다니며 나쁜 균을 옮기지만, 이게 면역력을 강화시켜 준다고 합니다. 의미 없는 게 없어요. 우리가 아직 그 의미를 모를 뿐이죠.
-
사드사랑
06.10 06:07
여기에, DNA같은 유전물질을 옮겨서 실제로 진화에 영향을 준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ㄷㄷㄷ
-
행복주식회사
06.06 06:26
조류의 전멸은 해양 사막화라고 하며 이는 육지 사막화보다 자연 복원되는데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압니다. 문제는 미역은 김과 비슷해 보이지만 부동편모조문에 속하기 때문에 자연 복원이 더 안 됩니다. 거기다가 최근 유전학 및 분자생물학의 발전으로 미역을 분석해보니 식물로 분류되던 과거와 달리 진화과정에서 다르다고 알려져 새로운 분류체계 도입에 대해 논의 중에 있습니다. 어쩌면 한국의 미역국은 채식이 아니고 사골과 비슷한 음식이었을지도 몰라요. ㅋㅋㅋ
-
사드사랑
06.06 06:57
여러가지로 사골국이랑 느낌이 비슷합니다! 캘리포냐 연안은 아니지만 알라스카랑 캐나다의 태평양 연안은 조류가 매우 많아서 지구 산소 생산량의 상당부분을 차지한다고 들었는데 어쩌면 지구 온난화 까지 영향을 미칠지도 모릅니다. ㅠㅜ 물이 따뜻해지면 미역이 더 느리게 자란답니다. ㄷㄷㄷ
-
행복주식회사
06.06 08:23
산소가 증가하면 생물의 거대화가 이루어져 진화 속도가 폭발적으로 일어나고 산소가 줄어들면 진화속도가 더뎌진다고 하는데....그러면 우리 오징어인들은 세대교번 효과도 없고 온난화에서 멸종할지 몰라요. ㅋㅋㅋ
-
오징어인이시라니... 설마!?
-
최강산왕
06.07 08:16
30cm ;; 크고 아름답네요.
-
사드사랑
06.07 09:08
호주에서 흔히 잡히는 전복도 대략 이 정도 크기로 알고 있습니다. Adelaide 연안에서는 교민들도 잡으러 다니는데.. 미쿡과 큰 차이는 미쿡은 잠수해서 따오는 반면 호주는 전복 잡으러 사다리를 가지고 가더군요. ㄷㄷㄷ
-
산나물
06.07 11:19
외국애들 전복먹나요? 외모때문에 혐오음식일 것 같다는
-
사드사랑
06.07 12:22
먹습니다. 고급 음식입니다. 사실 서양음식 중에 혐오음식 될만한게 더 많죠.
구글에서 abalone recipes 하고 검색해보세요.
-
SON
06.07 23:28
음 무시무시한 이야기군요.
불가사리가 이런 역할이 있는 줄도 처음 알았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
사드사랑
06.08 00:01
자연계의 모든 존재는 나름 의미가 있습니다. 지금 인간은 존재의 의미가 없다고 얘기하지만 없어지면 무슨 문제가 생겨도 생기리라 봅니다. 미국 중부에 사는 박쥐한테 이상한 바이러스가 돌아서 몰살하고 있다는데 그것도 경제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고 합니다. 자연은 아름답지만 균형이 깨어질땐 무섭습니다.
나름 훌륭한(?) 역할이 있었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