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수중비접촉 폭발이라고 하네요.
2010.04.25 17:06
수중 비접촉폭발이라고 함은.. 즉 버블제트인데...
그러면 물기둥이 있어야 하잖아요?
TOD영상이나 관측자들은 물기둥을 못봤다고 하고...
물기둥없는 버블제트가 있나보죠? ^^;;
진실은 안드로메다에...
코멘트 15
-
ㅎㅎ 대박입니다.....ㅋㅋ
-
명상로
04.25 17:41
사부님이 가셔서 관련자들 좀 따찌 해주고 오세요.
" 내가 손바닥으로 얼굴을 가리면 국민들은 하늘이 안보여!!!"
-
돌마루™
04.25 18:46
하하... 제가 뭔힘이 있겠습니까? ^^;;
다가오는 선거나 꼭 해야겠습니다. ^^
-
수중 비접촉(버블제트)면 꼭 거대물기둥이 관찰되어야 하나요?
폭발 수중의 심도나 폭발력에 따라 달라 질 수 도 있지 않은가요?
수심 1, 2m에서의 부유기뢰나 직접타격 어뢰라면 당연 물기둥이 관측되어야 정상이겠지만 아주 소형 어뢰라든지 폭발력이 작은 기뢰가 수심 20~30m에서 음향이나 자력등의 감지로 터진 경우라면 물기둥이 관측되지 않았거나 관측되어도 조그만하게 될 수 도 있을 것 같은데....
-
돌마루™
04.25 20:44
배가 두동강 났는데, 아주 작은 소형으로 될까요? ^^;;
-
다음 가설이 궁금해 집니다. 별게 다 나오네요~
-
우산한박스
04.25 19:37
이 것이 바로 '서해용왕 좌빨 논란' 이군요.
추천:6 댓글의 댓글
-
505초보
04.25 20:57
ㅎㅎㅎㅎ.....
정답입니다.~~~
댓글에는 추천을 못다나요? 추천 드리고 싶은데.....
추천:1 댓글의 댓글
-
대머리아자씨
04.25 21:37
이 댓글을
을 누르시면 추천이 보입니다. ^^
추천드렸어요. ^^
추천:1 댓글의 댓글
-
505초보
04.26 06:31
앗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아울러 추천 드립니다.
-
아빠곰
04.26 09:49
아, 정말 웃겼습니다. 사무실에서 혼자 숨죽여서 쿡쿡거렸어요.
-
kimisa
04.25 19:50
워낙에 이런 저런 말들이 많아 어느게 진실인지 정말 판단이 잘 안됩니다..
무조건 정부를 믿자니 그도안 해온 뒤끝이 영 그렇고 이런 저런 가설을 믿자니 바보되는거 같고....
아마도 이시대 대한민국에서 사는 사람들의 어느정도는 저와 비슷하지 않을까 합니다..
부디 진실이 밝혀지길..
-
사통
04.26 04:58
북한은 해군에 투자를 별로 안 하는 편입니다.
바다가 동해와 서해로 나뉘어져있다보니 한 쪽 해안에서 만든 군함이 반대편으로 가기가 어렵고, 그러다보니 전력 운용이 까다롭습니다.
그래서, 그나마 잠수함에 투자를 많이 한 편입니다.
실제 군에서 북한 무기 체계와 관련된 정보들을 봤을 때는 저런 고도의 무기를 전혀 없었습니다. (거의 10 년전이지만) 대강의 분위기는 50 ~ 60 년대 소련 무기로 없는 살림 살아간다는 분위기이며... 만일 이런 신무기가 있다면 이미 진작에 언론에서 다뤄졌겠죠. 국방부 예산 증가를 위한 좋은 스토리인데요... 마치 북한이 미그23 도입할 때 언론에서 많이 다룬 것처럼요.
그래서 잘 모르다보니 뭔가 대단한 걸 가졌을 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기 쉬운 걸 이용한게 아닐까 봅니다. 영화에서나 나올 것같은 갑자기 등장한 신무기로 반전을 이룬다는 스토리는 정말 영화에 주로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
폭뢰, 어뢰, 기뢰 나온지 수 십년된 해군 무기이기요. 그 중에 접촉식도 있지만 비접촉식(압력차이, 자기장의 변화, 음향에 따라 폭발방식)도 나온지 수 십년된 기술입니다.
고도의 신무기가 아니고요.
그래서 해군 소해함(정)들은 목선이거나 특수 강화플라스틱으로 만드는 것이구요(아주 예전부터).
북한이 핵무기는 물론이고 자체 미사일 개발능력(노동1,2호, 대포동)이 있는 무기 설계에 나름 능력이 있는 분야도 있습니다.
누군가가 서울시만 하늘에 바쳐서
용왕님이 노하셨나요...;;;;
고인들의 명복을 빕니다 ..
오늘도 안드로메다로 가는 대한민국. 슬프네요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