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bos 랜섬웨어에 걸렸어요.
2019.07.25 23:12
집에서 쓰는 컴퓨터에 phobos 랜섬웨어가 걸려 버렸네요. 그래서... 하드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타들이 못 쓰게 되었네요. 수많은 음악파일이나 애들 보여주려 했던 영상들은 어찌 다시 구한다고 하여도... 시작노트를 비롯한 문서 파일들... 다인이가 태어날 때부터 지금까지 촬영했던 동영상과 사진들... 그리고 각종 행사 사진들... 약 4~5테라 정도 되는 파일들이 모두 열어 볼 수가 없게 되었네요. ( Ĭ ^ Ĭ )
그나마 다행이라고 할 수 있는 건 핸드폰에 남아 있는 사진들은 무사하다는 정도... 얼마전에 핸드폰을 바꿀까 싶어서 데이타를 모두 PC에 백업 한 후 핸드폰 파일을 지우려다가 핸드폰을 바꾸지 않게 되어서 그대로 두었거든요. 백업된 파일은 날아 갔지만... 핸드폰에 파일은 살아 있으니 다행이네요. 삭제했더라면 정말 남은 것이 없었을 듯 싶네요.
그나마 다행이라고 할 수 있는 건 핸드폰에 남아 있는 사진들은 무사하다는 정도... 얼마전에 핸드폰을 바꿀까 싶어서 데이타를 모두 PC에 백업 한 후 핸드폰 파일을 지우려다가 핸드폰을 바꾸지 않게 되어서 그대로 두었거든요. 백업된 파일은 날아 갔지만... 핸드폰에 파일은 살아 있으니 다행이네요. 삭제했더라면 정말 남은 것이 없었을 듯 싶네요.
코멘트 9
-
왕초보
07.26 01:19
-
맑은샛별
07.26 21:31
아직은 복구툴이 없나 보더라구요. 좀 더 기다리면 복구하는 방법이 나올지도...
-
건설노무자
07.26 06:54
가족사진 및 문서들이면 값어치를 매길 수 없는 소중한 자료들인데 큰일이네요개인 컴퓨터 사용자에게 랜섬웨어가 정말 가장 현실적인 위협인것 같아요대처방법은 약간의 비용과 수고를 감수하고라도 무조건 백업밖에 없는것 같습니다저희집 식구들 인터넷 사용 패턴보면... '당하는건 시간문제다'라고 설정하고 대비해야 할 것 같아요어떻게든 자료들 성공적으로 복구하시길 바랍니다 -
맑은샛별
07.26 21:34
하드 용량이 부족해서 백업을 하지 못했더니 이런일이 생기네요.
외장하드를 연결해 놓고 썻다면 같이 감염이 되었겠지만요.
나름 랜섬웨어에 대처한다고 앱체크 같은 프로그램도 설치하고...
윈도우 디팬서도 자주 업데이트 하고 했는데... 백신도 물론 돌리고요.
그런데도 원격으로 무력화 시키고 감염을 시키는 건 어쩔 수 없네요.
사실 얼마전 누군가 원격접속을 한 흔적이 있었는데... 그냥 무시했었거든요.
핸드폰으로 원격접속을 간혹 했었기에 별 생각이 없었죠. -_-
-
건설노무자
07.29 06:55
외장하드만 연결해서 백업하는건 말씀하신대로 동반감염(?)의 위험이 있으니 여기에 별도의 장치를 더해서 자동으로 백업 수행하고 스스로 전원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구성해야 합니다말이 쉽지 사실 간단치 않고 여건에 따라 별도의 컴퓨터가 필요하기도 하는등 시간/노력/비용이 들지만 그래도 보호할 자료의 가치를 생각하면 충분히 의미있다고 생각합니다.아니면 요즘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클라우드 방식인데... 그건 제 성격과는 안 맞아서 저는 고려하지 않고 있지만 나름 꽤 실용적인 대안일 수도 있겠습니다. -
하드는 일단 그냥 두시고 복호화 프로그램 기다려보세요.
1-2년 기다리면 풀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도 자료 몇번 날린 후
NAS에 2중 백업해서 보관하고 카스퍼스키 매년 결제하고 있습니다.
이후 바이러스나 랜섬때문에 스트레스 받는일은 없네요..
-
맑은샛별
07.26 21:38
하드를 빼 놓고 새 하드를 구입해서 사용할 생각인데요.
예전에 구형 하드에 데이타를 백업하고 오랫동안 방치를 해 두었던 적이 있거든요.
몇 년 지나서 연결해보니 인식이 안 되더라구요.
하드 5개에 백업을 했었는데... 인식되는 넘이 하나도 없더군요. ㅜ_ㅜ
-
실리카겔이랑 지퍼백에 넣어서 보관하면
2-3년 끄떡없던데요~
5-10개 그렇게 했는데 다 문제없었어요 -
별날다
07.29 20:01
아이고!! 부디 잘 해겼되길 바랍니다.
에궁 어쩌시다가.. ㄷㄷㄷ (이 글 클리앙에서 볼때 별 생각 안했었는데) 복구할 수 있는 방법이 생길 수도 있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