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카메라 촬영방법을 잘 모르겠네요.
2020.05.27 15:55
질문하시기 전에 게시판 검색을 먼저 해주세요.
타블릿PC, 스마트폰에 관한 질문 또는 요청은 <포터블기기 질문답변>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오랜만에 예전에 쓰던 디지털 카메라를 꺼내봤습니다.
기종은 Canon Powershot G1입니다. 컴팩트라고 하기에도 하이엔드라고 하기에도 애매하네요. 사양은 1/1.8인치 CCD / 330만 화소 / 광학 3배줌 / 회전 틸트형 LCD 1.8" / Auto, P, Tv, Av, M 등 수동기능 / 광학 실상식 뷰파인더 정도입니다.
지난 주말에 밖에 나가면서 카메라를 들고 갔습니다. 제가 수동 기능을 제대로 사용해보지 못해서... 거의 P모드 혹은 Auto로 찍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이렇게 수동 기능 조차도 사용 못하면서 무슨 DSLR을 사겠냐 싶어서 DSLR을 한 번도 사지 않았습니다.) ISO 50 기준으로 하늘에 포커스를 맞추면 셔터 스피드가 1/500 정도 나오고 하늘이 파랗게 나오는 대신, 지상의 사물은 까맣게 나옵니다. 반대로 지상의 사물에 포커스를 맞추면 셔터 스피드는 1/100정도 나오고 지상의 사물은 색깔이 잘 맞는대신, 하늘이 하얗게 나옵니다. 결국 주말에 찍은 사진이 다 이 꼴이더군요. 필름 카메라처럼 찍어보고 싶어서 LCD를 사용하지 안고 광학실상식 뷰파인더로만 찍었습니다. 그리고 반 셔터를 눌렀을 때, 노란/주황색이 아닌 녹색이 나오면 초점이 맞았구나 싶어서 셔터를 눌렀습니다.
진짜 초보적인 질문이라 카메라 잘 찍으시는 분들은 어이없는 질문일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 어떻게 해야할까요? 아니면, 같은 장면에서 Av (조리개 우선) 모드로 설정해서 조리개 F2.0 ~ F8.0까지 각각 찍어서 비교해보고, Tv (셔터 우선) 모드로 8초 ~ 1/1000초까지 각각 찍어서 다 비교해보고, 조리개 혹은 셔터 변경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원리를 직접 체험하고 사진을 찍어야할까요?
예시 사진을 첨부합니다.
코멘트 13
-
바보준용군
05.27 16:41
-
수퍼소닉
05.28 14:57
긴 답글 고맙습니다. 잘 읽었고, 링크해주신 것부터 천천히 읽어보겠습니다.
사진을 엄청나게 잘 찍으려는 것이 아닌 저렇게 안 맞는 것을 맞춰보려는 정도였는데...
60~70만원까지 돈을 들일 생각은 아닙니다. 그럴 여유도 없구요. 있는 카메라나 조금이라도 활용해보려구요.
-
바보준용군
05.28 15:53
아마 제가 알기로는 좀많은 기정을 보유중으로 알고 있는데
가진 거의 모든기기가 들고 있는 손전화기 비해 성능이 좋지 않을겁니다 좋게 말하면 레트로한 성능이겠죠
디지털 카메라 같은경우 기계적으로는 10년정도 전쯤 해서 성능에 한계가 왔습니다
결국 프로세싱과 센서 기술인데 이조차 최근 들어 한계에 다다랐죠
활동에 만족을 모든행위를 취미라고 정의 한다면 결국 취미는 자기 만족에 다다른 행동이며 결국 만족에 따른 자원 소비라고 생각해요
증상에 대한 궁금증이 해결된다고 해도 저카메라로 2020년인데 기계에대한 추억보정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의미가 없을것 같아요! -
수퍼소닉
05.29 10:05
20년 전 기기로 현재의 상황에서는 어쩔 수 없다는 건 알겠습니다.
그래도 저 디지털 카메라를 비롯한 여러 카메라가 있는데... 다들 추억이 있는 기기에
대부분 정상작동하는 기기라서 버리기도 아깝네요. 그냥... 몇 년이라도 더 써보려구요.
-
박영민
05.27 22:29
노출 문제입니다. 눈하고 비슷하게 찍고 싶으시면 hdr를 이해 하시는것이 좋을거 같습니다.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0051871&memberNo=34130352
-
수퍼소닉
05.28 14:38
네 고맙습니다. 바로 읽어보겠습니다.
-
나도조국
05.29 01:19
HDR은 많은 경우 요즘에야 제품에 적용되기 시작한 computational photography에 속하는 영역이 되어버렸습니다. 다시 말하면 저런 상황은 요즘 나오는 폰카가 옛날 하이엔드나 DSLR보다 더 잘 처리합니다. -_-;;
-
수퍼소닉
05.29 10:01
HDR 기능은 요즘 스마트폰 카메라에는 웬만하면 장착되어 있더라구요. Google Camera 앱이 대표적이구요. 그래서 Google 카메라 앱을 설치하려던 건가 봅니다.
글에는 안 쓰긴 했는데... 예전 필름 카메라 쓰시던 분들은 디지털 카메라가 아닌데도 초점, 노출 등을 잘 맞추시는 걸 보면, 디지털 카메라의 광학실상식 뷰파인더를 이용해서 그 비슷한 상황을 연출할 수 있을까 하는 궁금증에서 시작하는 것이었는데...
-
바보준용군
05.29 10:44
광학 파인더에도 종류가 다양하게 있습니다.
slr방식의 카메라 유리한건 렌즈를 통해 반사된 상을 파인더에 거울로 반사된것을 직관적으로 볼수 있다는것이죠
그나마 요즘은 전자식 파인더 화소가 상당히 올라가서 보이는대로 찍힙니다
보유하신 기종은 해당사항에 전혀 무관합니다
결론 안돼요 -
박영민
05.30 21:48
https://www.clien.net/service/board/jirum/15003489
이런것도 있습니다.
-
앞에 분들이 다 설명해주셨네요. 노출은 터득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특히나 디지탈 카메라에서는요. HDR 기능이 많은 도움이 되지만, 예전의 카메라들은 필름이든 디지탈이던 노출 맞추기가 쉽지 않습니다. 특히나 예시하신 하늘 배경도 살리면서 피사체도 밝게 찍는것을 사실 불가능합니다. 필름일때는 첫번째 사진처럼 "언더"로 찍고 인화하면서 후보정합니다. 디지탈도 언더로 찍고 후보정해야 합니다.
첫번째 사진을 근거리 피사체만 따로 후보정을 하셔야 눈으로 보신 것과 같은 사진이 될겁니다.
요약하면 잘 찍으신거고 잘 못 하신거 없습니다. ^^.
-
수퍼소닉
05.29 11:52
답글 고맙습니다. 필름 카메라 촬영하고도 역시 후보정이 있어야 하는군요. 제가 필름 카메라를 써본 적이 거의 없다보니 그 부분에 대해서 무지했었네요. 그래서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최소한 Photoshop을 익혀야 하는군요. 원판 불변의 법칙은 만능이 아니었네요.
-
행복주식회사
06.29 11:27
촬영시 스팟 측광, HDR, 그리고 후보정이 답입니다.
그러나 캐논 구 모델 및 현재 출시되는 엔트리들은 스팟 측광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캐논의 급 나누기는 유명하잖아요.
그리고 구형 카메라이니 당연히 HDR 같은 것도 없구요.
그러면 결국 후보정 뿐입니다.
하늘의 푸른색이 사라지지 않을 정도...즉 하이라이트가 사라지지 않을 정도로 어두운 곳에 노출을 맞춰 찍으세요. 그런데 스팟 측광을 지원하지 않으니 m모드로 최적 노출을 찾아 찍어야 하므로 연습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후보정에서 어두운 곳(암부)을 살리는 방법 뿐.....
일단 조리개와 셔터속도와 감도에 대한 이해부터 해야 할것 같습니다.
아주 간단하게 증상 만 설명하자면
조리개(아파 캐논 파우샷은 전통적으로 2.8 부터 시작할겁니다)
0>1>2>3>4>5>6>7>8>9......22 순으로 밝아진다
개방 하면 밝아지고 조이면 어두워진다 2.8이 완전 개방 22가 가장 조여진 상태
즉 조리개를 조일수록 빛이 덜들어온다
셔터 속도
0>1>2>3>4>5>6>7>8>9......2000 순으로 밝아 진다
전자식이나 기계식 셔터스크린 이 있으나 무시하겠음
센서 수광부( 복잡하니 센서라고 칭함) 렌즈를 통해 들어온 이미지가 맺힘 이미지가 맺히는 시간임
즉 셔터가 겁나게 빨리 닫히면 셔터속도가 상승한것임 빛이 그만큼 센서에 맺히는 시간이 적게 되므로 어두워짐
ex
1. 조리개가 조여진 상태에서 셔터속도가 빠르다면 어두워짐
2. 빠른 피사체를 촬영하는데 충분한 셔터속도가 확보 되지 않는다면 흔들리거나 패닝현상 발생 (잔상정도로 생각하셈)
위에 예가 노출이라는 용어로 씀
감도
50<100<200<300....1600 순으로 감도가 높을수록 밝아진다
필름 감도를 뜻함 감도 올라가면 노이즈 생김 (요즘 최신 카메라는 거의 안생김-_-)
보통은 광량이 부족해 셔터속도가 확보 되지 않았을때 감도를 올림
감도올라가면 적당한 셔터속도를 구할수있음
보통은 노출값은 노출계 라는 장비를 이용하거나 (요즘 카메라는 너무 똑똑해서 내장 노출계성능이 무자게 좋습니다 )경험에 의한 노출 값을 외워서 사용합니다 뇌출계 라고도 하죠
취미는 절대적인 자기 만족입니다
결국 원하는 퀄리티 성능은 투자한 금액 대비로 나옵니다
즉 자원을 투자하는 행위없이 만족도를 올릴수 있는 방법은 전무 후무 합니다.
솔직히 요즘같이 slr 방식 카메라던 미러리스 방식 카메라던 예전에 비해 가격이 엄청나게 착하므로 하나쯤 사서 쓰는것도 나쁘지 않겠죠
사진도 공부해야 합니다
https://stublic.tistory.com/214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keehwan&logNo=220651141818&proxyReferer=http:%2F%2Fwww.google.com%2Furl%3Fsa%3Dt%26rct%3Dj%26q%3D%26esrc%3Ds%26source%3Dweb%26cd%3D%26ved%3D2ahUKEwi77LP7xtPpAhWbH3AKHcpOA2MQFjADegQIAhAB%26url%3Dhttp%253A%252F%252Fm.blog.naver.com%252Fkkeehwan%252F220651141818%26usg%3DAOvVaw1cfn_pmAEAQnw9TI1h4tAF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wimnets&logNo=220983806608&proxyReferer=http:%2F%2Fwww.google.com%2Furl%3Fsa%3Dt%26rct%3Dj%26q%3D%26esrc%3Ds%26source%3Dweb%26cd%3D%26ved%3D2ahUKEwi77LP7xtPpAhWbH3AKHcpOA2MQFjAOegQIBBAB%26url%3Dhttp%253A%252F%252Fm.blog.naver.com%252Ftwimnets%252F220983806608%26usg%3DAOvVaw0_d3tePqDzAphdEXA0zwBX
개인적으로 요즘 똥값이나 다름 없는중고 풀프레임 미러리스 소니a7 에 50.8
60-70 만원 선에서 구입 가능 할겁니다.
대충 발로 찍어도 이게 카메라 구나 싶을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