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비에서 4k 영상을 볼때, HDMI 단자가 영향을 미치나요?
2021.02.12 17:05
누가 준 4K 영상을
노트북에 연결하여 HDMI 단자로 연결하여 보았습니다.
초기 몇분은 괜찮었습니다만,
이후 블랙화면이 나오네요.
DP 단자가 TV에 없습니다.
혹시 어떻게 연결해야 문제가 없이 볼수 있나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코멘트 11
-
노트북 화면에서는 끓김현상이 없습니다. ㅠㅠ
-
아고, 그럼 혹 TV의 HDMI포트 버젼이 낮아서 그런건 아닐까요? 예전에 지인에게 크롬캐스트 나왔을 때 선물을 했는데, 집 TV에 연결하니 소리만 나오고 영상이 안나온다고 해서 불량품인가 했습니다. 다시 받아서 반품하려다가 집에 있는 TV에 꽂아봤더니 잘 나오더라구요. 나중에 보니, 그 TV가 연식이 좀 있는 모델이어서 HDMI 버젼이 요상했었습니다. 펌웨어 업데이트 하면 된다는데, 복잡해서 그거까지는 당시에 못 했었네요. 혹, TV 모델을 한번 살펴보심이.... 도움이 되어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ㅠ.ㅠ
-
나도조국
02.13 14:15
낙하산님 말씀대로 처음 몇분이 괜찮았다면 호환성 문제보다는 동영상 파일 문제일 가능성이 커보입니다. 문제가 있는 경우에, 그 뒤가 다 잘려버린 경우도 있고, 그 문제있는 부분만 넘어가면 괜찮은 경우도 있습니다.
4k영상일 경우, premium 인증이 있는 케이블이나, Ultra High Speed 인증이 있는 케이블이면 케이블일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습니다. (물론 가운뎃나라에서 저 인증씰까지 위조하기때문에 마냥 믿을 수는 없습니다) 그런데 컴퓨터의 HDMI출력이 이상하게 동작하는 경우가 의외로 많습니다. -_-;; 굳이 a사와 n사의 그래픽이라고 콕 찍어 말씀드릴 수는 없지만, 나름 이상한 문제들이 많기는 합니다. 가장 이상한 것은 호환성이 문제가 될 경우 모니터와 랩탑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몇번 꽂았다 뺐다를 반복하면 되는 경우가 있다는! 겁니다.. 물론 이번 경우에는 이런 종류는 아닌듯 합니다.
그런데 답을 쓰다보니 차칸앙마님이네요. PC라면 고수실텐데.
-
음 케이블이 문제같이 보이네요.
HDMI 케이블을 비싼것을 사긴 했는데...
자세히 인증을 보지 않았습니다.
음 이문제는 너무 막막해서 무조건 글을 질문글을 올렸습니다.
머리속에 해결에 대한 방법이 전혀 떠오르지 않았습니다.
집사람+아가들은 안된다고 하고, 먼가 설정을 바꾸어도 똑같고,
DP단자는 TV에 없고, HDMI 케이블을 바꾸어도 똑같았습니다.
그런데 노트북으로 먼저 감상했던거라 안심했는데...
어렵네요..
IT기기는 언제가 함정이 도사리고 있는것 같습니다.
-
이게 좀 골치아픈 건데요.
4K 는 FHD 에 비해 대역폭이 갑자기 많이 올라가서 초기부터 이상현상을 많이 일으켰습니다. 그리고 이걸 제대로 인증하고 안정적으로 관리감독하는 기관도 부재해서 디바이스간 궁합 문제가 수도없이 발생했었죠. 특히 삼성 4K TV 쪽이 유명했죠. 이건 최근에도 잘 해결이 안되고 있는데요. 답은 시간이 지나서 DB 가 쌓였으니 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제품을 구입한다든기 (LG OLED TV;; 같은거) 비싼 케이블 등을 사고 옛날 케이블은 다 잘라서 버리는 겁니다.
-
나도조국
02.17 14:03
당시에 일어난 일들이 참 많은데.. 아직 그 업을 하는 관계로 얘기를 풀어놓지를 못하네요. 표준도 그렇고 삼성도 LG도 수많은 문제가 발생했고 그 영향을 아직도 받고 있는 겁니다. 일본회사들은 훨씬 더 황당한 일들이 많았죠.
케이블에 관한한 "비싸다고 좋은 케이블은 아니다"라는 격언은 아직도 유효합니다. Ultra High Speed Cable인증이 되어있다면 믿을 수 있지만 그것 마저도 가짜 인증이 돌아다닙니다. Premium Cable인증은 음..
-
감사합니다.
matsal님 글을 보니,
TV 쪽 검색을 해봐야 겠습니다.
답변주신 분들의 글을 읽고
1. TV 검색 후, 4K 문제여부 확인.
2. 케이블 인증 확인후, 다시 구매
3. 같은 동영상을 TV와 같은 회사 노트북으로 연결 후, 테스트
이렇게 계획을 세웠습니다.
-
나도조국
02.19 09:54
우선은 동영상 파일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시는게 제일 급합니다. TV연결없이 랩탑 화면에서 재생이 제대로 되는지 확인하세요. 그게 되면 그다음이 TV입니다. 왜냐면 우선 처음에 화면이 나왔다는 것은 우선 TV와 랩탑의 호환성 그리고 케이블의 성능문제 이 두가지가 어느 정도는 된다는 얘기거든요. 그래서 지금 검토하시려는 세가지는 일단 가장 가능성이 높은 원인은 아닙니다.
물론 HDMI 개발 중에 디버깅할땐 온갖 이상한 현상들을 다 봅니다만, 출시되는 제품에서 그런 현상들을 보기는 쉽지 않습니다.
-
가장 최근 문제는 삼성 4K TV 120 hz 와 소니 PS5 죠 ㅠㅠ
이것도 니탓이다 네탓이다 옥신각신하다가 TV 펌업으로 해결된다고 하더군요.
-
나도조국
03.02 23:34
ㅎㅎ 입이 있어도 말 못하는. 이런 문제가 뒤지면 참 많습니다. TV가 고쳤다고 딱히 TV문제라고 할 수 만도 없는. ( '') 물론 반대로 PS5가 고쳐서 해결된다고 PS5 문제라고 할 수도 없지요. 완벽한 칩이라 없다 싶기는 한데 좀 심한 경우도 있어서. 그나마 이 문제는 그 모드로 돌리면 늘 생기는 문제라 디버깅이 간단한 경우입니다. ㅎㅎ
아무래도 펌업이 상대적으로 쉬운 쪽이 (보통 인터넷에 연결된 쪽) 고치게 되죠.
혹, 받으신 영상을 노트북 자체에서 볼 때는 어떻게 나오나요? 정상적으로 플레이가 된다면 케이블이나 HDMI 버젼 호환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문제가 발생한다면 영상 자체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4K 급 영상들은 압축 알고리듬에 영향 많이 받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른 PC에서 테스트가 가능하시다면, 영상의 어느 시점에서 문제가 발생되는지 확인해보세요. 동일한 시간에서 영상이 블랙으로 바뀐다면 영상화일일 문제가 가장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