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롬이 사람 극대노하게 만든 기능들
2021.06.08 14:38
1. Backspace
널리 쓰이는 기능을 지멋대로 바꾼 첫번째 사례입니다. 키보드 백스페이스(엔터키 위쪽)로 뒤로가기 하는 걸 막아버리고, ALT + 방향키← 로만 뒤로가기 해버린 만행이죠. 한글자판에선 오른쪽 ALT 키를 한영전환으로 할당하는 경우가 많은데 영어 유저위주로 생각한 오만한 짓거리이기도 합니다. 되돌리라고 전세계에서 빗발쳤지만 꿈쩍도 안하고 결국 크롬 플러그인으로 유저가 힘들게 기능을 추가하는 것으로 생색만 냈습니다.
크롬 개발진이 독선적이고 귓구녕이 처박혀서 들어줄 생각 조금도 없다는 걸 확실히 깨달은 계기이고, 이후로 다른 브라우저를 생각하게 되었죠.
2. 탭 검색
얼마전에 추가된 기능입니다. 왼쪽 상단에 ▼ 조그마한 버튼이 자리를 차지하곤, 현재 열린 탭들을 검색할 수 있다는데, 대체 왜 이딴 기능이 필요한 거죠? 가뜩이나 작은 화면의 노트북이라 탭에 표시되는 글자 표시되는 공간도 좁은데, 저 쓰레기가 한자리 차지해서 더 좁아졌습니다. 게다가 실수로 누르기라도 하면 또 클릭해야 하니 짜증납니다.
이거 없애는 기능 flags 에 들어가면 있었는데, 3일 전에 업데이트로 이것마저 막아버리고 완벽히 내장화시켜버린 건 이제 알은 분들도 계실 겁니다. \^_^/
3. 크롬 내부 계정과 구글 계정 연동
이전부터 크롬 브라우저 자체에 구글 계정과 연동하는 기능이 있었는데요. 그것도 한 아이콘을 차지하는 게 거슬렸습니다만, 얼마전부터 구글에 로그인했을 경우엔 강제적으로 크롬도 구글에 로그인하는 상태로 바뀌었습니다. 예전엔 구글에 로그인해도 크롬은 Guest 로 회색 아이콘으로 남아있었죠.
이게 얼마나 엿같냐면, 구글 아이디 여러개가 있을 때 다른 아이디로 바뀌어도, 창 새로 띄우고 다시 구글(Gmail 등) 로그인하면 크롬에 로그인해둔 구글 아이디로 강제로 원래 아이디로 돌아갑니다. 덕분에 동시작업하려고 해도 계속 방해받습니다. 기껏 여러아이디 돌아가면서 쓰라고 있는 기능인데 구글 자기네에서 만든 크롬이 어이없이 한 아이디로 계속 쓰라고 강제하고 있는 겁니다. 제정신입니까?
// 이 기능은 끌 수 있는 걸로 확인되었습니다.
chrome://flags/ 여기 들어가서 "Send tab to self when signed-in" 이걸 Disable 로 해두세요. 다만 앞으로 언제 강제 활성화로 바뀔지 모릅니다.
크롬이 갈수록 개악되는게 한두가지가 아닙니다만, 그 중에서도 가장 짜증나는 거 세가지를 골라봤습니다. 이것만으로도 다른 브라우저로 탈출하고 싶네요. 파폭은 써봤지만 영 맘에 안들어서 크로미움 브라우저 뒤져보고 있는데, 아직은 잘 모르겠습니다.
코멘트 4
-
최강산왕
06.08 16:37
-
수퍼소닉
06.09 12:59
현재 Chrome 안 쓰고, Whale 쓰고 있습니다.
제가 계속 Chrome을 쓰더라도 저 정도 불편함을 느낄 정도는 아니었는데...
개발자도 아니고, Windows 10 설치할 정도 밖에 안 되는 유저라... 잘 모르던 부분이었네요.
글을 읽어보니 화가 날만한 부분이네요.
-
나도조국
06.10 02:28
저는 사이트 따라서 파폭/에지/크롬 골라씁니다. 21세기에 이뭐병 싶지만.. 어쩔 수가 없네요. 업무상 이용하는 한 사이트는 목적에 따라 크롬과 에지를 제대로 골라 써야 합니다. 걔네 IT랑 의논해 본 결과 이게 유일한 해답이네요.
-
파폭 크롬 엣지 다 씁니다. 메인은 파폭. 크롬은 구글 관련 앱 사용시에 주로 쓰구요. 엣지는 마소 오피스 쓸 때 씁니다. 파폭과 크롬쓰면서 큰 불편은 없습니다만, 마이너 기질이 강한 제 성격 탓에 파폭을 주로 쓰고 있습니다. 특정 사이트들이 속 썪일 때는 그냥 돌려가며 잘 되는 놈으로 써서 각 브라우져의 단점들은 그냥 그런가 보다합니다. 브라우져 기반 특정 플랫폼을 개발하거나 쓰시는 분들의 경지까지 오르지 못한 유저의 장점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ㅡ.ㅡ
3 번이 진짜 문제에요.
회사 에서 Gsuit 계정을 쓰는데, 이 지메일 기반 계정은 유튜브 페밀리 추가가 안되서 유튜브 감상은 개인 개정으로 해야 하는데, 이때 브라우져 사용자를 바꿔 버리죠.
덕분에, 유튜브는 엣지에서 보고 있습니다.
왜 이딴 방식을 하는지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