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개최는 순번제가 아닌가요 ?
2010.11.11 00:27
G20 개최는 순번제가 아닌가요 ?
조금전 sbs를 보니, 우리가 강력하게 개최를 주장하여, 일본 및
다른 나라를 따돌리고, 개최하였다고 하는군요.
엄청 띄우는 G20
제가 이해하는것은 순번제라고 알고 있는데...
검색하다보니,
1) 지난 정부는 apec
2) 현정부는 G20
수주(?)에 성공한건지요 !
국민부터 편안해졌으면 하는 소박한 마음입니다. ㅜ.ㅜ
코멘트 9
-
맑은하늘
11.11 10:26
뭐 하는일들이 곱게 보이지는 않지만, 시작했으니, 잘 진행되기 바랍니다. 뭐 삼성역 접근차단망.. 대단해 보이지도 않던데
남은 시간만이라도, 미숙한 진행이 없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블투
11.11 11:39
UN 사무총장을 유럽에서 한다면.....미국이 "왜 유럽에서 짱 먹냐???" 할거고, 미국에서 한다면..... 유럽이 "왜 미국이 짱먹냐???" 할거고......... 그래서 그 외국가들이 한다라는 말이 있었죠....
저번주 100분 토론에서 김상조 교수 맞나(??)가 비슷한 말을 했든거 같은데....... 다음이 "프랑스 파리"인데, 비슷한 이유로... 한박자 쉬고 가는게 한국이라는 뜻으로 이야기 한거 들었습니다....
이미 경주에서 합의했다고 하던 "환율" 문제도.....합의 이후 바로 "미국이 6천억 달러"투입을 발표했기 때문에 G20 환율문제는 '나가리' 된것 맞죠?
G20 소속국 모두 아시는 분?.... G20이 지금까지 뭐했는지 아시는 분?....
세뇌에 의해 머리속에 박힌 건 오로지 "G20" 이라는 단어 뿐.......
-
맑은하늘
11.11 12:44
있는 그대로를 보게 해 주어야 하는데, 이건 너무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좀 듭니다.
국민은 온데간데 없고, 국격만 높이려 너무 노력하는것 같아요.. ㅜ.ㅜ
-
호용
11.11 12:58
6개월전에 캐나다에서 한 G20을 알고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되나요..
G20은 딱 그 정도의 행사입니다.
외국에서의 인식도 그정도 인데..
유독 이번만 특별하게 난리를 쳐대는 거죠..
물론 국내만입니다.
-
맑은하늘
11.11 13:28
저도 일반인보다는, 조금 더 해외쪽과 거래가 있는편인데... 어제도 거래처 싱가폴 사람과 이야기를 했는데, G20이 뭐냐
그러더군요 ㅜ.ㅜ 나름 열심이 출장 다니는 사람인데...
안하는것보다는 낫겠지만, 너무 국민을 불편하게 하면서(오버)
까지는 아니다 라는 생각이 드네요...
무슨 의미들을 그렇게 많이 부여하는지... 아시아 최초... G20 자격도 유지 못할 뻔 했는데... 개최를 했다... 등
아무튼, 안전하게 끝내기를 바랍니다. 기껏 했는데, 나라 망신시키면 안되니까요 !
** 하나 추가... G20 얼마나 돈을 들였는지 모르겠지만, 국민들, 쇠외된 국민들의 생존권에도 조금만 더 신경써주기 바랍니다. **
-
원래 G7이 있었습니다.
이 7개국이 세계 경제의 80%를 좌지 우지 했으니 다른나라 있으나 마나 였죠
그래서 지들이 세계 경제의 틀과 질서를 지들 맘대로 짜고 조물딱 조물딱 했었습니다.
그러다 IMF, 리만 브라더스 등등의 사태로 사실상 G7의 많은 나라들이 크게 한방 먹는 일이 발생하죠
미국이 주범인데다 이런 환율로 장난치는 가장 큰 조직이 IMF...
그 지분율이 가장 높은게 미국...
그러다보니 다른 차 상위급 계층인 G20에 속하는 나라들이 반발을 했죠
왜 우리는 흑자보는데도 IMF 때문에 나라가 거덜날 정도냐 특히 아시아 국가들 ...
여기서 부터 시작해서 사실상 미국의 여러 사태들과 그에 계속되는 환율싸움에
피해가 G20에서 터져나오고 그 효과가 G7의 다른나라들에도 파급되기 시작하니
어쩔 수 없이 회의국을 늘리기 시작한게 저저번 대회 입니다.
보통 G7이 돌아가면서 열었는데 더이상 사실상 대빵인 미국이 이번 세계적 경제 사태의
주범이 되다보니 발언권이 약해 진거죠
거기다 유럽 국가들이 맞 싸움을 벌이자 미국이 그럼 좋다 제 3국에서 하자 라고 해서 저번 대회가 최초로 G7이 아닌
비 유럽권 국가(미국의 압력 때문에)인 캐나다 에서 열린겁니다.
미국은 역시 마찮가지 대부분 G7가맹국인 유럽과 미국의 알력때문에 사실상 어부지리로 한국에 떨어진겁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했듯 사실상 G7과 중국이 사실상 현 국제경제시장의 80% 이상을 차지하고있고
그 뒤에서 환율과 금리등 파생상품을 사고 팔면서 자기들 배만 불리는 애들은 따로 있습니다.
하등 일반 서민의 이익이 되는 문제는 없다고 봐야죠
사실상 있는넘들과 그 뒤에서 사실상 돈가지고 장난치는 이들이 세력구도와 판짜기를 새로 하는거일 뿐입니다.
이번 키코사태를 봐도 대충 한국이 이런 환율이나 금리 파생상품에 얼마나 호구국가인지 다 알려진 판국에...
인도 보다도 못하죠...
-
맑은하늘
11.11 16:59
예전에 MBA 강의 들을때, 우리 외환위기때 참 엄청나게 당했더군요.
내실을 잘 쌓아가야하는데, 키코 사태도 그렇고, "알아야 산다"라는 생각이 다시 나네요.
공부 많이 해야겠습니다. 정신 바짝 차려야 피해 안보는데...
-
왕초보
11.14 13:33
음 G7이 G20가 된 것은 아닌듯 하고.. G7은 97년에 러시아를 영입해서 G8이 되었다고 합니다. 지난번 캐나다에서 G20를 할때는 G8도 함께 했다죠. 그러니까 G8은 자기네 따로 모이기도 하고 잔챙이들 모일때 들러리 서주는 은혜를 베풀기도 하나 봅니다.
내가 밥살께~ 아니 내가 산다니깐~~~
이라고 강력히 서로 싸워서 이긴 결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