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P 관련해서 보면 좋은 싸이트좀 알려주세요.
2010.11.19 08:47
안녕하세요.
제가 이직을 하면서 갑자기 GMP를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이분야는 처음이라서. 막막하네요. (원래는 KS담당을 했습니다)
여기 상황은 전임자가 한번 심사를 받았는데. 재심사 명령이 떨어진 상태이고. 지금은 퇴사를 했습니다.
서류준비는 얼추 다 해놨고는 하는데. 어떤서류부터 검토해야 하는지...
어떤부분을 중점적으로 심사하는지.....막막하네요.
GMP관련해서 도움주실분이나, 관련 싸이트좀 알려주세요...
코멘트 6
-
윤신영
11.19 10:53
-
hongjin
11.19 14:01
박사과정을 Regualtory Science(GMP및 인허가)를 했습니다. 일단 의약품 GMP 인가요? 아니면 의료기기 GMP 인가요? sureGMP 하는 site도 있고요. 말씀 하신 것처럼 여러 사이트가 있습니다만.... 공부한다고 금방 알 수 있는건 아닙니다만... 고생이 많으시겠어요...
-
이아랑
11.19 16:03
의료기기쪽 GMP입니다..
어떻게 시작해야 하나 고민중에만 있습니다.
-
hongjin
11.19 16:58
아 의료기기 쪽이시군요...... 의약품 보다는 간단할겁니다만..... 저는 주로 의약품 쪽이라서... 제 후배가 예전에 이쪽에서 일하기는 했는데요. 한번 알아 보지요.
-
윤신영
11.20 00:05
의료 기기 GMP가 예전에는 상당히 부실했던 모양인데 이제는 의약품 규정을 많이 따라가는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의약품보다야 간단하겠지만 기본 틀이나 논리는 비슷할테니 개괄적인 면에서는 같다고 보셔야 할 겁니다.
아무튼 고생이 많으시겠어요.
이건 다른 이야깁니다만... hongjin님 배경이 그러하셨군요. ^^ 왠지 반갑습니다.
-
hongjin
11.20 12:32
네 윤신영님 말씀하신대로 예전에 의료기기 GMP는 정말 부실했고, 의무사항도 아니었습니다만, 몇년전인가 의무 사항이 되면서 GMP 규정도 많이 발전했습니다. 아직 의약품 같지는 않지만 비슷하게 가고 있지요. 그리고 GMP 하는게 의료기기라도 종류에 따라 그 적용범위가 다를 수 도 있습니다. 제가 몇년전 의료기기 업체와 식약청을 상대로 GMP 의무화 되기전 교육에서 몇가지 토픽을 담당했었는데요, 아시다시피 GMP라는게 각 부분별로 다 알기는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윤신영님은 시험법 벨리데이션 등등을 잘 아시는 것 같네요. 그리고 제가 생각하는 GMP는 어쩐 규정, 그리고 어떤 정해진 틀이라기 보다는, pre-determined procedure, justification, change record, validation, verification, 등등 합리적인 수준에서 우리가 안전하고, 효력있는 의약품, 의료기기를 생산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모든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내가 보기에 의심스럽고 궁금한 것을 다 증명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네요. 의료기기 전반적인 GMP는 일단 개략적으로 ISO13485를 보시고, ISO14971도 보시면 될 것이고요, 식약청 홈페이지 가시면 의료기기과에 관련된 양식 및 자료가 있습니다.
GMP가 워낙 방대하니 한두마디로 말씀드리기 어렵군요.
(저는 GMP 하에서 분석을 하는 사람입니다. ^^)
일단 식약청 사이트 들락거리셔야 할 거구요, 참고로 ICH나 미국 FDA 등도 보시면 좋죠.
ICH에서 나오는 Q series Guideline들은 다 보셔야 할 겁니다.
심사를 한 번 받은 상황이라면 일단 사내에서 만들어 놓은 SOP들이 많이 있을 겁니다.
GMP에서 말하는 일반론을 어떻게 지금 계신 회사에서 구체적으로 적용할 것인지 문서로 만들어 놓은 것이니
일단, 그거 다 숙지하셔야 하구요.... 실제로 SOP에 따라서 일이 제대로 돌아가는지도 파악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