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톡 서버 다운 같네요
2010.12.17 12:16
좀 잦은것 같아요 -_-!
사람 많아졌으면 신경좀 많이 써주지 쩝.
코멘트 9
-
cloudn1ne
12.17 12:35
-
얼렁뚱땅
12.17 12:58
이제 다른 걸로 넘어갈 찬스인건가요?
-
cloudn1ne
12.17 13:07
카카오톡 트위터에 가 보니 이런 글이 있네요.
kakaoteam
카카오톡 실행 시 다른기기에서 인증되었다는 안내 후 초기 전화번호 인증 화면으로 돌아가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현재 원인 파악 및 정상화 작업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신속히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죄송합니다.
그나저나 카카오톡이 사실상 대한민국의 모든 휴대전화번호를 가지고 있는데
만약 일련의 서버장애가 해킹시도 때문이었고
또 며칠전 포털사이트의 2900만개의 계정 해킹사건을 고려해본다면
카카오톡의 해킹이 성공했을 가능성도 높을 것 같습니다.
즉 전 국민의 전화번호가 털릴 가능성도 매우 높다고 점쳐볼 수 있겠고요.
주변 사람들에게 카카오톡을 가급적 쓰지 마라고 얘기하는데 이런 우려 때문이었습니다.
대부분이 해킹의 우려에 대해서는 공감하지만 카카오톡을 사용하는 사람이 너무 많아서 쓸 수 밖에 없다고 했는데
가급적 빨리 카카오톡이 대세에서 사라졌으면 좋겠습니다.
인스턴트 메시징은 대기업 주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세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보안은 곧 자금력이니까요.
2900만건의 포털사이트 계정이 털리긴 했지만 카카오톡보다는 훨씬 나을겁니다..
비록 카카오톡이 가지고 있는 개인정보가 현재로서는 1. 본인전화번호, 2. 전화번호부의 모든 전화번호(친구자동추가기능활성화시; 그런데 이걸 활성화 안하고 쓸 수가 없죠..) 정도인데, 주민등록번호가 없어서 그나마 안전한 편이나, 전화번호부의 모든 전화번호가 카카오톡 서버에 저장된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개인정보 유출 리스크가 정말 큽니다.
카카오톡은 지난 9월에 이미 가입자수 100만명을 넘었고
1인당 전화번호부가 100개~300개정도는 기본으로 들어있고 그보다 많은 사람이 훨씬 많으니
사실상 카카오톡의 서버에는 대한민국의 모든 전화번호가 다 들어있습니다.
-
카카오톡이 개인핸드폰 주소록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지만 그것을 유출해내어서 자기네들 서버에 저장하고 있는 형식은 아니지 않나요?
아이폰 자체에서도 주소록 정보를 이용할 수는 있어도 털어갈수(?)는 없다고 제한이 되었다는 이야기도 들었는데요..
음 너무 근거 없군요 좀 찾아봐야할듯
-
cloudn1ne
12.17 13:21
카카오톡은 카카오톡서버에 사용자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모든 전화번호를 저장합니다.
카카오톡 블로그에 올라왔던 내용이고 기사화도 되었습니다.
http://www.eprivacy.or.kr/bbs/bbsView.php?id=54&page=1&code=pds_etc
위 기사의 본문에서 발췌
내가 아는 사람이 카카오톡을 설치한 상황에서 나도 설치를 하면, 자동으로 친구리스트에 등록해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휴대폰 번호에 기반하며, 카카오톡은 이를 위해 스마트폰에 저장된 전화번호부를 자신들의 서버에 저장하게 된다.
다음은 카카오톡 블로그의 관련 내용입니다.
http://blog.kakao.com/193
블로그 본문중 발췌
연락처에 있는 지인의 전화번호만 수집하고 있으며, 지인의 이름이나 이메일등의 개인 식별이 가능한 다른 정보는 일체 수집하지 않습니다.
수집은 곧 서버저장을 의미합니다.
-
헐.. 카카오톡 사용에 대해서 고민좀 해봐야겠군요.
제 느낌엔 조만간 개인정보들 대박 털릴듯 합니다. 이보다 맛깔스러운 먹이가 또 있을까요?
방금 읽은 약관에 [보안을 위해 항상 최선을 다하고 있다] 라고 써있긴 한데..
세상일이 최선만 가지고 되면 걱정도 안하지;;
-
cloudn1ne
12.17 13:37
예전에 제 블로그에 글을 올린 적이 있습니다.
개인 블로그고 아무도 안 들어오는 곳이라 글이 격하게 쓰여지긴 했는데
이 댓글에서 다루지 못한 부분도 있습니다. 즉 '카카오톡은 필요없는데도 서버에 전화번호부를 저장한다'는 내용입니다.
http://s1ngular.net/22
초기 인스턴트메시징의 대표격인 What's App은 친구추가를 위해 전화번호부의 전화번호를 읽기만 하고 서버에 저장하지 않습니다.(약관에 명시돼 있음) 기술적으로도 현실적으로도 왓츠앱처럼 구현하는 것이 여러모로 좋습니다.
1. 개인정보를 저장하지 않음으로써 서버 보안의 잠재 취약성을 낮춤
2. 서버측 db구현과 클라이언트 구축등의 복잡한 구현과정이 필요 없음
3. 개인정보 약관 변경으로 욕 먹을 필요 없음(마켓쉐어 하락 가능성)
하지만 카카오톡은 크게 보더라도 3가지의 큰 리스크를 떠 앉으면서도 꿋꿋히 개인정보를 자사 서버에 저장하고 있습니다.
무얼 의미할까요? 답은 카카오톡만이 알겁니다.
-
scotch
12.17 19:51
블로그에 있는 카카오톡 기사 뿐 아니라, 휴대폰 통신사 요금제 비교 글도 잘 봤습니다. ^^
-
맑은하늘
12.17 14:35
** 트윗 **kakaoteam 카카오서비스 장애 및 재인증 오류에 대해 사과드립니다. [자세히보기]http://blog.kakao.com/230
사용하는 분들이 최근 몇주간 계속 불안정하다고 하시더라구요.
이대로 가다간 대세가 넘어갈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