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드밴스드 포맷 HDD <-- 주의
2011.01.30 02:28
작년부터 섹터 단위가 512B ->4K 로 변경된 HDD 가 출시되고 있습니다.
WD 웨스턴 디지탈의 xxEARS 시리즈가 최초인데요.
성능상에 큰 이득은 없습니다만 기존의 운영체제, 특히 윈도 XP 이하에서 크나큰 성능저하가 발생하고 있다고 합니다.
자세한 건 어드밴스드 포맷에 대해 검색해보면 나오므로 개략적인 문제만 설명하면 XP 의 4K 인식 오류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한 증상은 전송속도 - 특히 쓰기속도에서 수분의 일로 저하되는 치명적인 문제입니다. (거의 10MB/s 까지 내려감)
따라서, EARS 를 위시한 앞으로 나올 하드디스크는 윈도 XP 이하에서 사용할 것이라면 반드시 4K 오류를 수정해서
포맷해주는 전용 유틸리티로 처음 포맷한 후 사용하셔야만 합니다.
윈도 비스타나 7 에서 쓰면 전혀 고려할 것 없이 그냥 운영체제 포맷 기능을 써도 됩니다.
하지만 외장하드의 경우도 표준 4K 로 포맷된 (비스타/7 에서 포맷된) 어드밴스드 포맷 하드를 윈도 XP 에 붙이면
동일한 성능 저하가 나타나니, 외장하드로 고려하고 EARS 및 이후 모델을 구입하신 분들은 반드시
WD 에서 제공하는 전용 포맷툴을 이용하시는 게 좋습니다.
혹시 새로산 하드에서 알 수 없는 성능저하를 경험하고 있는 XP 유저가 있다면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저도 이번에 20EARS 하드를 영입하면서 처음 이 문제 알았네요. (비록 이미 윈도7 쓰고 있긴 하지만)
코멘트 12
-
얼핏 웬디 그린인가 그게 그렇다고 들은거 같네요^_^
-
마.
01.30 09:51
그냥.. 점퍼끼워서.. 사용중입니다. ㅎ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2TB 웨디 살려고 하는데... 이런 ... 전용포멧툴은 윈디 홈피에서 다운가능한가요?
-
점퍼 끼워서 쓸 경우에는 경고문이 있었겠지만 파티션을 나누면 안된답니다.
하드를 통짜 파티션으로 써야 하죠.
-
돌마루™
01.30 11:59
저거때문에 2T 웬디 안쓰고 히타치 쓰고 있네요. ㅎㅎ
-
꼬소
01.30 13:11
참고 : http://www.bodnara.co.kr/bbs/article.html?imode=view&D=7&cate=5&d_category=5&num=75518
-
돌마루™
01.30 14:36
xp 에서 외장하드로 쓸 경우는 위험해서 안쓰는게 낫다는... 점퍼 잘못만지면.. 데이터 한방에 날릴지 몰라..^^;;
-
맑은샛별
01.30 17:12
컴퓨터 부품이 자꾸만 복잡해지는 느낌이네요.
예전에 조립하고 세팅할 땐 이렇게 어렵지 않았던 듯 싶은데.... ^^;;
-
꼬소
01.31 02:51
더 나은 성능
더 넓은 용량을 추구하기 때문에
포맷이 바뀌는 것이고, 그에 따른 배경지식이 넓어져야 하는거겠죠 ㅎㅎ
하위 개념은 복잡해도 추후.. 포맷이 표준화 되면 또 한동안은 사용자가 신경쓰지 않아도 어느정도 쉽게
접근 할 수 있게 될 겁니다..
그리고 섹터 크기는 좀 바껴야 해요.. 워낙 대용량 데이터가 쓰이는 시대라 512B는 좀 작죠..
-
더 낫거나 한 건 아니고, 기존 포멧을 유지하면서 용량을 늘릴려는 꼼수입니다.
기존 32768 (예시) x 512 B 로 2TB 가 한계였는데 이걸 32768 x 4K 로 8배인 16TB 까지 쓰도록 만든다는 거죠.
물론 16TB 한계에 도달하면 또 다시 규격을 바꿔야 하는 삽질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
꼬소
02.01 10:50
플래터의 수는 유한합니다. 고로 섹터의 크기도 유한합니다. 그렇기때문에 advanced format이 단지 섹터 사이즈를 늘려서
사이즈의 확장만을 위한 꼼수는 아닙니다. 제가 첨부한 기사에도 나와 있듯이 sync dam과
데이터 보정 ECC를 512B 마다 만들면 그 공간이 비 효율적이라서
물리 섹터의 크기를 4K로 늘리고 하위 호환성을 위하여 logical emulation을 해 주는 겁니다. 그리고 파티션의
크기를 2TB로 제한 되는것은 cmos 때문에 그런것이지 efi로 넘어가면 자연스럽게 해결 되는 문제입니다.
하드용량에 대한것은 꼼수로 보일수도 있지만, logical emulation만 다시 조절 해 주면 문제는 없습니다. 결국 데이터를
하드디스크에 I/O하게 하는것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버 이기 때문이지요..
저도 2TB 하드 사면서 이 문제때문에 웬디를 포기하고 히타치로 갔습니다.
시게이트는 SD18 데스게이트 사건의 직접적인 피해자라 다시는 고르고 싶지 않았고,
삼성은 어딘가 미묘하게 불안해서요...[;;;]
그래서 웬디를 택했는데 4KB 블럭 문제때문에 결국 히타치를 선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