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토로라 레이저 휴대폰 배터리를 재구매 하면서 알게된 점.......
2011.02.16 18:37
지구상에 엄청나게 팔리면서 한때 모토로라의 부활을 꿈꾸게 만든 레이저 휴대폰.....
배터리만 구입해서 더 쓰고 싶었습니다..... 서비스센터에 가니......
배터리는 단종되었고....호환 배터리가 새로 나왔다. 대신 충전은 거치대를 통해서만 해야 되는데....라면서 배터리 외에 데이터 케이블과 USB 어댑터를 줍니다. 그러나, 가격은 배터리 가격만 받는다고..... 기존의 충전기로는 충전이 안되고 오늘 받은 것으로만 충전 된다고 재차 강조합니다...
엄청나게 팔린 모델의 배터리가 1년동안 단종되었다가 재출시 되었다는게 도무지 이해 되지 않더군요. 다른 나라들도 폰을 오래쓰지 않는것일까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그런데, 검색을 하다보니 이런글이 있더라구요....
Tip : BR-50 은 외국의 모든 Razr 휴대폰 용 배터리 모델이고
국내 유통 정품인 BR-54는 한국의 충전기 규격에 맞게 변형된 것으로
한국에서만 통용되는 배터리 모델 입니다.
한국은 충전기 규격을 통일한 유일한 국가 입니다.
BR-50K/ BR-50KR 은 BR-50을 한국 충전기 규격에
맞도록 변경한 것 입니다.
한국은 갈라파고스...... 모든 폰들의 배터리가 한국용으로만 따로 있어야 했었더라면......충전기 규격 통일 이면에는 외산폰 한국 진출 방지 기능이 있었던 것이네요.....
결국, 서비스 센터에서 구매한 배터리는 외국의 모든 레이저 휴대폰용 배터리라는 BR50 이었습니다.
코멘트 9
-
마쿠
02.16 20:53
-
열린눈
02.16 21:02
전 요즘 V9m의 배터리 수명이 준 것 같아서 고민했는데, 그것도 마찬가지겠네요? 배터리 구입 가격이 얼마인지요?
-
Holic
02.16 21:44
29,700원 이었습니다.
-
맑은샛별
02.17 00:11
역시 한국에서만 규격이 다른 거 였군요. -_-
요즘 나오는 24핀에서 벗어난 규격들은 국제 규격에 맞춘걸까요?
아니면 표준이 없이 아무렇게나 제품마다 다르게 나오는 것인지... -_-;;
-
이 경우는 갈라파고스 얘기를 하기가 좀 곤란합니다.
충전기 규격통일이라는 건 다른 나라에서는 아예 없던 개념이었습니다.
심지어 같은 회사의 전화기라도 제품 라인에 따라 충전기 모양이 달라서 호환은 전혀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이걸 규격화한 게 우리나라이고 한동안 잘 썼습니다. (표준 24핀)
심지어 삼성전자 디카 중에는 충전단자로 이 규격을 택하기도 했습니다.
나중에 핸드폰들이 작고 얇아지면서 이 규격에 안 맞는 것들이 나오기 시작했는데 이 경우에도 24핀에 쓸 수 있는 젠더를 제공했지요.
그후에 통합 20핀이라는 규격으로 또 통일했고 요즘은 통합 20핀에 맞춘 충전기도 시중에 나옵니다.
이 통합 20핀은 나름 막강한데 충전속도도 빠르고 헤드셋도 통합 지원됩니다.
외국산 중에 usb a,b 형으로 충전단자를 단 것들이 나오고 요즘 나오는 스마트폰들도 usb 단자 달린 것들이 많지만
기능으로 보면 통합 20핀보다는 못합니다. 충전속도도 늦고 헤드셋 단자도 별도로 필요합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갈라파고가 되어가긴 합니다만,
외국에서도 삼성, LG 전화기가 많이 팔리면서 이 단자를 좋아하는 사람들도 있긴 합니다.
-
건매니아
02.17 13:22
거기다가 공식적으로 TTA 20핀도 엄연한 국제 표준중 하나죠.
-
해색주
02.17 11:26
제 생각에도 갈라파고스가 아니라 규격통일화를 위한 것입니다. 실제 사용자들이 예전부터 다른 규격으로 인해 문제가 많았던 것이고 거기서 모토롤라가 빠져 있었던 것이지요. 일본의 경우 문자메시지가 회사마다 달라서 결국에는 무선인터넷메일 발달하는 경우가 생기더군요.
오히려 지금처럼 되는 것은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이래나 저러나 나라마다 다 틀리면 피곤하거든요.
-
Holic
02.17 12:06
기술자는 아닙니다만.....
배터리 충전은 핀수나 단자의 모양이 중요한게 아니라...배터리 충전은 오직 어댑터의 출력 전압과 전류만 맞는다면 충전 된다고 믿습니다. 충전기와 단자의 모양을 통일한다고 해도.... (그 당시 상황이 어찌했는지는 모르겠지만) 대세에 동떨어진 전압과 전류를 채택한것에는 문제가 있지 않는가 하는것이 제 생각입니다.
이로인해서.... 만약 통큰 모토로라가 USB어댑터와 데이터 케이블을 무상으로 주지 않았다면 추가적인 지출이 생길수도 있는 문제죠. 사실, 데이터 케이블은 폰 구매시 기본 구성품 이었는데 또 주더군요.
-
물류 개념으로 접근해서 파레트 규격을 생각해보면 어느정도 답이 나오죠...
그런게 있었군요 ㄷㄷ
저도 얼마 전 갤탭 실사용 하는 분을 보고 레이저 + 탭/패드 조합을 생각해 본 적이 있네요..
레이저 블랙 상태 좋은 것 구해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