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으로 아시아 지역에 서비스 하려는데, 서버를 해외에다 설치해야 하나요?
2011.02.18 11:52
웹으로 서비스하는 형태구요.
사용자는 좀 많을 예정입니다.
저희 서버가 국내에 있다면, 아시아 국가들이 각 자국내에서 서비스 받은 정도만큼 안 느리게 느껴질지~~~
코멘트 6
-
조일권
02.18 14:48
-
김강욱
02.18 15:24
CDN 이 뭔지는 알긴 하는데...국내에서만 통용되는 얘기 아닌지...?
1) 아시아로 넘어가면....
2) 유럽/북미로 넘어가면...
ISP 업체가 있어야 하는 건 아닌지...이때 마다 얘기가 달라지는 것 아닌지...
-
조일권
02.18 15:47
아닙니다.
예전에 견적서 작성했던 홈페이지를 알려드릴려고 했는데 망했네요. -_-;;
국가간에도 적용이 되는 내용이 CDN 입니다. 그런데 저게 엄청 비싸서 그때 포기했고 차라리 그 비용으로 그냥 그 나라 IDC에 서버 한대 두고 말지 했었는데.... 지금 CDN을 검색해 보니 주 타겟층이 많이 바뀌었네요.
http://korean.akamai.com/index.html
제일 글로벌 하게 서비스 하는 업체인것 같네요.
-
아카마이가 단연 제일 큽니다.
아시아권에서라면 CDNetworks 도 괜찮습니다.
미국에서는.. Windwos Update를 서비스하는 업체(갑자기 이름이..)도 괜찮기는 한데요.
--> 신세계 I&C가 리셀러던가.. 그랬던 거 같은데..
아시아 내에서라면... 뭐... CDNetworks 정도면 뭐 충분할 듯.
-
웹가속, 컨텐츠 가속에는 많은 종류와 기술이 있습니다. 자사의 컨텐츠가 Download 형태가 많을 지.
아니면 브라우저에서 해석 가능한 형태, 그리고 지원하는 http 컨텐츠들이 표준화(?) 되어 있어서 압축이 가능한 지에 따라서
금액과 성능이 확 차이날 거에요.... 아.. 옛날 이야기네. ㅎㅎ
-
김강욱
02.18 22:43
아...냠냠님 말씀이 약이 되네요.
CDNetworks 에 동영상 서비스 중인데...잘 됐네요. ㅋㅋ
캄사~ 캄사~
속도를 중시한신다면 CDN 이란 서비스를 이용하셔야 합니다.
네이버에 CDN 으로 검색하시면 대충 어떤 내용인지 아실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