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6일
2011.03.15 06:30
지난 밀레니엄, 70년대에 소련은 핵에너지의 평화적 사용을 개발하였다. 전국적으로 거대규모의 핵에너지센터의 건설에 이른다.
이 당시의 가장 큰 규모중 하나인 프로젝트가 키예프에서 100킬로 떨어진 작은 마을 체르노빌에서였다. 70년대 중반에 첫번째 원자력발전소가 지어지며 우크라이나에서 수만의 노동자들의 일자리들이 생겨나서 새로운 도시들이 만들어지게 된다.
여기에 5만명의 사람들이 살게되고 대부분은 에너지센터와 관련된 사람들이 거주하게 되었다. 이 곳은 쁘랴뺘찌로 불려졌다.
소련에서 쁘랴뺘찌는 마치 '미래도시'로 이상적인 모습으로 여겨졌다. 도시 역시 현대적인 건축물로 지어졌다. "세계에 평화를!" (건물구호)
하지만 이 공산주의자들의 천국은 1986년 4월의 어느 봄날 끝나게 된다.
챠에스(원전)의 4번째 원자로가 폭발한 것이다. 이후 이 일은 역사상 가장 큰 대재앙으로 불려지게 된다.
사고 당시에 방사능물질이 원전주변으로 흩뿌려지고 있는 동안에도 주민들은 평상시와 같은 삶을 계속하고 있었다.
여자들은 아이들과 함께 산책했고, 결혼식이 올려졌으며
남자들은 일과를 마친 후 강가에 고기잡으러 나갔다.
정권은 하루 이상을 쁘리뺘찌의 주민들에게 사고소식을 알리지 않았으며 소련의 전부가 이를 몰랐다, 전 세계 역시 그랬다.
나중에 그들이 말한 것은 주민들이 공황상태에서 막기 위한 것이었다는 설명이었다.
....
4월 26일의 비디오 기록
(원전폭발 4월 25일)
통제된 언론, 독재권력의 극단적인 폐해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