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고3들이 공부하는 영어문제 하나 풀어보시겠습니까?
2011.04.19 19:54
안녕하세요,
시험문제 내느라 눈알빡빡하진, 토로록알밥입니다.
고3 = EBS 죠.
전 EBS에 반대; 암튼, 요즘 고3들이 보는 문제 한번 풀어보시겠습니까?
(게시판을 오염시켜서 죄송)
암튼, 저는 고3이 처음이라 이렇게 열심히 EBS문제집을 공부하는 게 처음인데,
지문이 참..
어렵기도 어려운 데, 너무 짧은 지문은 턱 떼어놓고, (단어수준도 많이 어려워졌습니다.)
아이들에게 풀라고 하니, 얼마나 많은 학생들이 한숨 쉴 지.. 에고~
암튼.. 문제 나갑니다~~
7.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We see it as natural that parents should make sacrifices to look after their children, and that children should respect their parents. This is not surprising, for such behavior is a result of the mode of action of natural selection. Natural selection operates to ensure that individuals behave in a way that maximizes their lifetime reproductive success and also that of their descendants and close relatives. The genetic constitution of those who leave more healthy offspring than others will be better represented in succeeding generations. In looking after their children, parents are ensuring the survival of individuals who behave in the same way as they do. And they are likely to pass on similar genetic material. Thus looking after one's children i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parents' pure act of sacrifice
2. a sociological rather than biological necessity
3. in keeping with the dictates of natural selection
4. evidence against the actual process of evolution
5. rewarding because children can bring meaning to parents' life.
답은 : 3
코멘트 21
-
토로록알밥
04.19 20:09
우수한 성야무인님!
-
모르면 답은 제일 긴거 ㅋㅋ;;;
-
빙고;;; 저 영어시험은 항상 그렇게 풀었습니다 ㅠㅠ
-
답은3번 아닌가요...? .toefl보다 조금 쉬운 수준인 것 같네요...수능이라면 좀 어려운 것 같고.
-
답 3번 맞습니다..
-
아 맞나보네요...아이폰이라..결국 natural selection을 다른 말로 풀이한 단순한 지문인 것 같네요.
-
별_목동
04.19 20:28
일단 지문이 길어지면 난독증이 .....
-
토로록알밥
04.19 20:31
답은 긁으면 보입니다. ^-^
-
읽고
해석하고
답은
틀리고....
OTL.......
-
해답풀이를 하자면 어른이 아이를 돌보는 것은 대한 이유를 'for such behavior is a result of the mode of action of natural selection' 이라고 표현 하고 그 다음줄에 Natural selection에 대한 설명이 나오고 유전자를 부모가 자식에게 남기는 본능적인 행위정도로 이야기가 전게 됩니다. 따라서 답 1번과 5번은 자연선택에 대한 내용이 아닌 단순히 부모가 아이를 기르는 내용에 가깝기에 답이 될수 없고 2번의 경우 socialogical과 biological이 바뀌었으면 정답에 근사한 답이 되었지만 socialogical이 앞에 왔기 때문에 답이 아닙니다. 4번의 경우도 진화과정에 반하는 증거라고 하지 않고 진화과정을 증명하는 증거정도 였다면 답에 가깝겠지만 그게 아니었기 때문에 답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3번밖에 될수 없습니다.
-
클라우드나인
04.19 21:17
3번 같습니다.
첫 두문장 We see it as natural that parents should make sacrifices to look after their children, and that children should respect their parents. This is not surprising, for such behavior is a result of the mode of action of natural selection. 만 보고도 답은 나오고요.
보기가 쉽게 나와서 어렵지 않게 맞출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 두줄만 읽었다고 가정할 때, 보기는 다음과 같이 풀이됩니다.
1번 보기는 natural selection과 무관하고요.
2번 보기는 rather than 기준으로 바뀌어야 natural selection에 부합하고요.
3번 보기는 별로 흠 잡을데 없고
4번 보기는 against가 잘못됐구..
5번 보기는 헛소리네요.
Gre보다 수능문제보니 신선합니다^^ -
그나저나 요즘 GRE 어떤가요??? 요즘도 종로3가 근처 낙원상가 뒤에서 시험봐야 되나요?? ^^; 아 그러고 보니까 요즘은 토플에 말하기까지 들어있죠. 제가 대학원 입학할때보다 휠씬 어렵게 가이드라인을 올려놓은듯 합니다. -_-!!
-
클라우드나인
04.20 00:33
아직 실전을 안 봐서 거기까진 잘 모르겠습니다.. ^^;;
요즘엔 토플에 말하기도 나옵니다..ㅠㅠ 에휴......
그래서 TEPS로 근근히 버티고 있습니다.... ^^;; 국내 대학원에선 TEPS를 더 많이 쓰기도 하구요..ㅎㅎ
TEPS까지 speaking이 생기면................. 생각하기도 싫습니다........ㅋㅋ
-
3번?
지문 참 재미없네요.
고3때 생각나요.
문제 낸 사람도 내면서, 참 재미도 없는걸, 교육도 안 되는 내용 낸다 싶었을거 같아요.
-
저는 이상하게 3, 4번으로 되어서 좀 헷깔리는데요.
진화이냐 유전이냐로 압축되어진다면
유전(pass on similar genetic material)을 지지하는 듯 하여서(진화의 반대 개념으로) 답이 4번이 더 가깝게 느껴지는 건 생물실력이 없어 그런가요??
-
그렇다기 보다는 본문의 내용이 진화론의 기본인 자연선택이라는데 촛점을 맞췄기 때문 진화의 반대개념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고 봅니다, 그리고 저걸 본문을 쓴사람이 누구인지는 모르겠지만 자연선택에 의한 유전자의 축적을 한꺼번에 설명할려고 했나 봅니다. 이럴경우 두개의 연관관계를 명확하게 밝히지 않으면 두 개념이 각기 다른 개념으로 오인될수도 있으니까요.
-
음... 자연선택(Natural Selection)이 진화론의 기본이었군요.
그럼 이 문제는 저한테는 생물문제 인데요.
진화론을 잘 몰라서리.....
잘 알겠습니다.
-
뭐 답은 둘째치고, 영어시험 되게 재미없네요 -_-ㅋㅋㅋ
-
토로록알밥
04.20 08:58
EBS지문 재미없는 게 투성이죠. ㅠ.
-
왕초보
04.21 10:53
문득 언젠가 본 독일어 시험생각이 나는군요. 아인슈타인 얘기가 나와서 독해할 필요도 없이 문제를 풀었단..
문제를 그렇게 꼬와놓은 것도 아니고 곳곳에 해답이 있는 지문이라서 고등학생들이 풀기는 그렇게 어렵게 보이지는 않습니다만 제 기준에서 그런가요??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