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포트에 어느 랜케이블이 연결되어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2011.04.20 22:22
그림은 대충 이런상태. 연결 2번이 2번 포트이런거 아니더군요.
랜포트가 4개고 케이블 3개가 연결되어있습니다. 그 중 하나는 안쓰지만 연결되어있으며 .안쓰는 네트웍 케이블을 모두 제거해서 정리하려고합니다. 스위치에 관리 ip설정안되어있고 시리얼 케이블과 노트북도 없습니다.
또한 케이블 중간은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 있습니다. 2대의 스위치 중에 어느거에 연결되어있는지 모름.
살짝 하나씩 빼보면 되겠지만 그럼 대형사고.
윈도는 어렵네요 ㅡ.ㅡ
코멘트 6
-
생각해보니 트래픽 모니터링 하는 방법이 가장 간단하겠군요.
근데 그 Physical 주소를 찾고 나서 어느 포트인지는 어떻게 확인할까요. 장치관리자에 순서대로가 포트번호?
-
Fatal
04.21 10:34
ipconfig /all 하면 나올거 같은데요. 물려 있는 장비는 dns랑 전부뜰겁니다.
-
위의 방법처럼 확인 하시고, 이름을 알아볼 수 있게 바꾸세요. 삶이 편해집니다.
-
전직장에서는 네트웍대역마다 케이블 색상도 나누고 port1/priv port2/pub 이런식으로 이름을 붙였는데,
여기서는 포트관리나 ip, 스위치관리 목록도 없거나 틀리고 사용안하는 케이블도 그냥 뽑지않고 제어판서 사용정지만해둔 상태라 많이 난감해요. 네트워크 구조도 문서랑은 틀린거가 대다수 ㅜㅜ
근데 ipconfig /all 하면 정지한 NIC의 맥주소는 안나오는군요.
-
인포넷
04.23 11:54
핑을 날린 후에 랜카드에 라이트가 깜박이는지 확인을 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을 해봅니다...
저 같으면 스위치에서 MAC 올라오는 거 링크 뜨겠습니다. 라고 할려다 보니 스위치에 관리IP도 없....
일단 확실히 안 쓰면 트래픽이 안 뜨겠네요. 트래픽을 일단 뜨세요. TCP Dump 류나.. 아니면 MS Network Monitor...
이를 이용하면 어떤 녀석이 트래픽이 흐르는 지 아실 수 있을 겁니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netstat 으로 원격연결3389 되어 있는 것도 확인하시고.....
netsh 명령어로 각 NIC의 윈도우상에 Physical 주소(not mac)도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그러면 tcp dump로 본 것과 일치하는 것을 찾으실 수 있으시겠지요.
저 버전의 윈도우에서 작업관리자에 네트워크 사용량도 NIC 별로 다 나타내 주던지는 기억하지 못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