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다음(Daum)에 있던 글인데 미국에서 발음때문에 대학에서 일어나는 일이라고 해서 관심이 가서 퍼 왔습니다.




교수와 제자, 말이 통하지 않는다면?



가고 싶어하던 대학에 합격했습니다. 즐거운 마음으로 들어간 첫 수업. 그런데 교수님은 외국인. 그리고 알아들을 수 없는 수준의 나쁜 한국어 발음으로 수업을 진행합니다. 교수님은 분명히 열심히 한국어로 설명을 하고 있는데, 학생들은 못알아듣겠다며 고개만 갸우뚱합니다. 여러분께 만약 이런 상황이 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미국 대학, 특히 공대에서는 수년 째 이런 상황이 흔하게 벌어지고 있습니다. 한 미국인 누리꾼의 경험담을 통해 문제를 짚어보겠습니다.


인종차별주의자처럼 보일 수도 있겠지만, 도무지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글쓴이: FadieZ

저는 기계공학을 전공하는 대학생으로, 학교에 약간 문제가 있어 이 글을 적어봅니다.

 제 전공에는 만족합니다만, 학부 교수 중 절반 정도(외국인)는 수업을 이해하기가 힘듭니다. 그들은 중국, 한국, 인도, 파키스탄 사람들입니다. 그들이 사용하는 영어는 너무나 그쪽 스타일이라서 한 문장에 기껏해야 두 세단어 정도만 겨우 들리는 정도입니다.

 작년에는 그래도 운이 좋았어요. 수업을 들어가지 않고 교재를 토대로 독학, 큰 어려움 없이 평점 3.02를 받았거든요. 제일 점수가 잘 나온 수업은 팔레스타인계 교수와 파키스탄 교수의 수업이었는데 이들 경우엔 둘 다 영어 소통에 문제가 없었고 저도 열심히 수업에 임했습니다.

 하지만, 올해 들은 수업은 혼자 듣기엔 벅찬 수업들이었습니다. 역학, 기계 설계, 전기공학의 원리 등등이었죠. 그런데 수업에서 같은 문제가 발생. 언어 때문에 수업을 진행하기가 힘들었습니다. 결국 역학은 낙제. 그리고 대부분의 다른 수업은 C에 머물렀습니다. 선생님 말을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어서 포기하고 유튜브의 MIT공대 동영상을 보며 독학한 수업이 그나마 B+를 유지했습니다.

 여름에 재수강을 할 예정입니다. 이번에 들을 수업의 교수진 6명 모두 ratemyprofessors(교수평가 웹사이트)에 계속해서 영어를 못하니 듣지 말라는 평가가 올라오는 교수들입니다. 그런데 안 들을 수가 없습니다. 우리 학교에서 이 수업을 가르치는 유일한 교수진들이기 때문입니다. 한마디 하겠습니다. 대학에서 영어를 할 수 있는 선생을 뽑아야 하는 건 대학의 기본 도리가 아니던가요? 이걸 학교 불만신고센터에 이야기 하기도 뭐해요. 하면 어떻게 될까요? (만약 이루어진다면)교직원의 절반이 짤리겠죠? 아니면 대학을 옮겨야 하는데, 우리동네에 다른 괜찮은 공대는 수업료가 터무니없이 비쌉니다.

한줄요약: 공대생인데 교수진들이 영어를 배울 생각을 안하네요? 어쩌죠?



출석도 안하는 학생이 1등하는 현실

한국에서 연세대를 졸업, 뉴욕주에 위치한 공대에서 박사과정을 다니다가 약 1년 전 오하이오로 전학한 한국인 학생 강민준 씨(가명). 전학의 이유는 교수와의 불화였습니다. 담당교수였던 중국계 교수에게 문제가 많았다고 합니다. 다른 이유도 많았지만, 영어 실력이 형편없었기에 의사 소통에도 문제가 많았습니다. 그런데, 옮긴 학교에서도 교수진의 영어 실력 문제가 또다시 불거졌다고 합니다. 교수진 중 한 중국계 교수의 경우 도저히 알아들을 수 없는 수준의 영어를 구사해 그냥 수업을 들어가지 않고 혼자 교재를 읽으며 독학을 했는데 놀랍게도 1등을 했고, 교수는 기말 1등을 한 학생의 얼굴도 모르는 헤프닝이 벌어졌었다고 합니다.



미국 누리꾼들의 반응은?

글 초반부에 소개된 영어가 서툰 아시아계 교수들에 대한 이야기는 미국의 많은 공대에서 흔한 풍경이 되어버렸습니다. 심지어 학생들 사이에서는 '아시아계가 없으면 인텔社(intel)가 돌아가지 않는다.' 라는 농담까지 생겨날 정도로 미국에서 아시아계는 이공계를 꽉 주릅잡고 있습니다. 하지만, 영어 구사능력 부족에 대한 이야기가 계속 도마위에 오르고 있는데요, 이에 대한 미국 누리꾼들의 댓글을 일부 소개해 드립니다.

Hussard
이쪽 계통에선 비일비재한 일이야. 해결할 방법은 다른 학생들과 스터디 그룹을 짜는 거야. 그것도 안되면 조교랑 친해져서 시험 족보를 구하던가 해.

Zergling_Supermodel
맞아맞아. 정말 심각한 문제야. 뉴욕타임즈에서도 이 문제를 몇년 전에 심각하게 다룬 적 있어. 그 글에 따르면, 학교측에서 노력해서 외국계 교수진의 영어를 개선하고자 하기도 한대. (후략)

MDKrouzer
알아둬야 할 사실이 있는데, 학교가 그 교수진을 고용한 이유는 연구(성과)때문이야. 교육은 두번째라구.

cuntcorp
(교수진 영어를 이해하기 힘든 것)그것도 문제지만, 니가 만약 경영쪽으로 가게 된다면 저 아시아계 사람들의 말을 잘 알아들을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고민해야 할거야. 내가 제안을 하나 하자면, 미국식 영어와는 다르게 엉뚱한 발음을 삽입한다던가 잘못된 말을 하는 부분이 있는데 그걸 잘 분석해내야 할거야. 의외로 규칙성이 있어.

snackdrag
웃기는 소리다. 중요한건 (영어라는)언어를 잘하는 능력이지, 언어를 잘 해독하는 능력이 아닌데. 만약 필수사항이라 할 수 있는 영어를 잘 못한다면 차라리 그만둬야지. 소통이란 건 기본으로 필요한 기술인데, 능력이 좋다해서 다른사람들한테 (영어실력때문에) 피해가 가서는 안된다고 봐. 이건 accent(국가마다 고유한 영어 스타일)문제가 아니고 영어를 근본적으로 말하고 이해하는 수준의 문제야.

steve-d
미적분 선생님이 일본인이었는데, 대학원 연구생이었어.
사람은 진짜 좋았는데, 영어에 일본식 발음이(thick accent) 강했었지. 내 생각에는 그 선생님은 우리가 말을 하면 50% 정도만 이해했던 것 같아. 그는 칠판에 가르칠 내용들을 한가득 적고(역자 주: 동아시아식 교육방법, 미국인들에게 매우 생경한 모습) 우리가 알아서 이해하길 기다리곤 했어. 그리고 누군가 질문이라도 던지면 우리를 한 10~15초간 어색한 표정으로 쳐다보다가 다시 판서를 계속하곤 했었지 왜냐면 우리 말을 못알아들었으니까. 완전 웃겼는데, 좀 실망스럽기도 했어.

Yoter
서툰 영어를 쓰는 교수들 문제는 심각한 일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만약에 공학 계통에 계속 몸담을 거라면 계속 너를 괴롭힐 문제이기도 하다. 니가 대화하는 엔지니어가 영어권이 아닌 사람일 수도 있을텐데, 그냥 (지금처럼) 영어가 서투르던 말던 (그쪽 사람들이 여기로) 이민을 와서 어설픈 영어라도 하는게 낫다. 그렇지 않으면 (네가 이민을 가야할 테고)너한테 '저놈은 왜 한국말도 못해?' 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는거잖아. 훈련하면 나아진다. 받아들여라!  




무덤덤하게 받아들이는 학생도 있어

"영어가 서툰 교수들이요? 공대만의 문제가 아니고 미국 대학 전체의 문제에요."
뉴저지 Rutgers 대학에서 의학을 전공했던 Lisa(가명)양의 이야기입니다. 수많은 외국인 교수들 중 유독 그녀는 한 한국계 교수의 발음 과 영어 구사 능력의 문제로 수업을 전혀 알아듣지 못해 엄청난 스트레스를 겪었던 일을 기억하고 있었습니다. 처음엔 학과장을 찾아가 항의도 해 보았지만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결국 포기. 독학으로 그 수업을 마무리지을 수 있었습니다. 교수의 영어 의사소통 문제를 가지고 학교의 카운셀러와 상담하던 중 '학교에서 대학 교수를 임용하는 과정이 교수의 능력이나 업적이 가르치는 능력보다 우선시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부분'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현실에 순응하기로 마음을 바꾸었다고 합니다. 현재는 오히려 '말이 안통하는 외국인 교수진 덕에 혼자서 어려운 과제들을 분석하고 해결할 수 있었다. 솔직히 영어를 못하지만 실력이 뛰어난 교수가 영어 잘하면서 못가르치는 교수보다는 훨씬 나은 것 아니냐'며 긍정적인 답변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실력은 Good, 소통은 Bad, 미국의 아시아계 교수

지역에 따라 차이가 조금씩 있지만, 미국인들은 어린 시절부터 TV, 이웃, 학교생활 등을 통해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들을 무수히 만나고 어울리게 됩니다. 언어가 서툰 사람을 만나는 것이 낯선 일이거나 웃음거리가 아닌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다양한 나라 사람들의 독특한 어투에 모두 100% 적응되어 있는 것도 아닐 뿐더러, 영어 실력이 정말 낮은 경우는 아무리 외국인을 많이 만나보았다 하더라도 이해에 어려움이 많습니다. 그러다보니 출석을 하기보단 스스로 책을 보고 공부하거나, TA(조교)나 스터디그룹등에 의지해 학점을 따는 일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고 수준의 등록금을 자랑하는 미국 대학, 그중에서도 특히 이공계에서는 지금 스승과 제자가 언어조차 잘 통하지 않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공지 [공지] KPUG 운영비 모금. 안내 드립니다. - updated 230805Sa [26] KPUG 2023.08.05 8273
공지 [안내의 글] 새로운 운영진 출범 안내드립니다. [15] 맑은하늘 2018.03.30 30897
공지 KPUG에 처음 오신 분들께 고(告)합니다 [100] iris 2011.12.14 441133
29772 험난한 재취업기[부제 : 말하는대로 된다. ] [7] 산신령 05.21 94
29771 에고 오랜만에 근황이나.. [6] 윤발이 05.18 125
29770 알뜰폰 가입했습니다. - 이제 동영상 자유롭게 볼 수 있습니다. [8] 해색주 05.16 132
29769 망할뻔 한 강아지 가방.. [9] file 아람이아빠 05.15 110
29768 소소한 지름들 [7] 해색주 05.04 223
29767 펌/ 무거운 침묵 by 추미애 [5] file 맑은하늘 05.04 156
29766 시민들이 모여있네요. 조국 장관 이후.오랜만에 서초역 왔네요 [8] 맑은하늘 05.03 147
29765 비가 오네요. [2] 해색주 05.01 134
29764 손수건 만들기.. [10] file 아람이아빠 04.28 163
29763 추천 가전제품 (비데랑 정수기) [4] file minkim 04.19 323
29762 오랜만에 등산화 신고 천마산역 가는길이네요 [9] 맑은하늘 04.13 634
29761 10년 넘어서 노트북 바꿨습니다. [16] file matsal 04.12 652
29760 전 이 시국에 미싱.. 갤럭시탭 케이스 리폼.. [4] file 아람이아빠 04.11 595
29759 이 시국에 팜 =) [7] 왕초보 04.11 599
29758 윤석렬 대통령 파면 [11] 해색주 04.04 607
29757 Palm M505/M515 [7] 라이카 04.04 302
29756 현재 00시 27분 시민들과 안국역에 있네요 [10] file 맑은하늘 04.04 274
29755 희망은 있는걸까요 ? Hope... [18] 맑은하늘 04.03 307
29754 항상 집이 쵝오 라고 느끼는 이유가 [13] file 바보준용군 03.31 349
29753 털찐 강아지..새 옷 입고.. [9] file 아람이아빠 03.28 306

오늘:
1,704
어제:
2,299
전체:
16,280,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