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피디아의 내용을 레퍼런스로..
2011.05.07 13:19
쓰는 학생이 접니다. ㅠㅠ
레퍼런스를 어디서 따와야 하는지 생각해 본 적도 없어서
늘상 하던데로 위키피디아(영문)를 레퍼런스로 제출해왔는데
이렇게 하면 안되는 것이었군요. (지금 학부 3학년인데 1학년때부터 계속 그랬었어요.)
하면 안될것 같다는 생각은 해 봤었지만.. 딱히 대체할게 없었는데;;
흠흠.. 그럼 레퍼런스는 어디서 따와야 하는걸까요?
Nature? 이런 곳에서 가져와야 하는건가요..ㅠㅠ
레알 논문을 뒤져서 찾아야 하는건가요? ㅠㅠ
오래간만에 눈팅하다가 악!소리 질렀습니다 ㅠㅠ
코멘트 20
-
영어 안되면 자료 구하는 방법이 참 막막하죠.
그냥 생각을 전환해보면 의외로 든든한 자료들이 있습니다.
도서관 책들이요.
가장 확실한 레퍼런스중 하나죠.
근데 맨날 집에서 컴터만 두드리고 있으면 도서관에서 책 빌리는 법도 모르고 가서 이리저리 책 뒤지는 것도 귀찮죠?
-
클라우드나인
05.07 19:10
안 귀찮은데요.
-
다행이랄지 불행이었던건지 저 학교 다닐때 막 인터넷이란게 화제가 되기 시작했었는데 그땐 지금만큼 자료를 체계적으로 찾기가 힘들었죠.
인터넷이나 도서관이나 둘다 엄청 품을 팔아야 했었던.....
결국 도서관이 더 확실했죠.
(하아~~ 쓰고 보니까 구형 인증이구나. ㅠㅠ;;;;)
-
행복주식회사
05.07 14:45
위키의 내용이 블로그나 카페의 자료보다 나은 것도 있겠지만 못한 것도 있습니다. 신뢰성에 대한 것도 작성자가 어느 정도의 전공지식을 갖고 있는지 공증된 참고문헌을 가지고 작성했는지 알 수 없습니다.
학교마다 해당 학과의 유명 학회지의 전자논문 검색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또한 도서관의 유명 장서와 소장 도서를 이용하면 됩니다.
또한 문헌 검색 및 관리 프로그램인 EndNote를 이용하면 검색과 인용문헌 관리가 편리한 측면이 있습니다. 버전에 따라 Palm 혹은 WM 등과도 호환됩니다.
-
위키를 reference로 못쓴다는 주장은 도대체 어디서 나온 것인지? 전혀 근거 없는 주장입니다. 차라리 위키는 근거없는 내용이 있을 수 있으니 출처를 명확히 하지 않는 한 쓰지말라는 지침은 내릴 수 있겠지요.
-
그런 식으로 말씀하시면 위키 인용했다가 F 맞아먹은 수많은 미국 학생들의 원혼이 웁니다.
http://edition.cnn.com/2007/TECH/11/02/perils.wikipedia/
위키는 단지 정보의 중계지일 뿐 인용할 수 있을만한 신뢰성이 없습니다.
일본의 한국 관련한 위키내용들 보시면 가관입니다. 그런 정보를 일본 학생들이 열심히 인용한다고 생각해보세요.
결국, 위키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빨리 찾아볼 수는 있지만 위키 자체는 인용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위키 자체를 연구하는 인문학 계열 학술활동이 아니라면요.
-
위키에 나와있는 ref에 대한 검증절차를 거친다면 나름 좋은 ref가 될 수도 있다는 의미에서 드린 말씀이에요. 저는 학부생에한해 미국위키에 나온 레퍼런스라도 검증을 거친다면 인정해주고 있네요.
-
그 학생이 위키에 올라와 있는 요약을 정말 검증한 것인지 몰라도, 검증까지 했더라면 기왕이면 위키보단 첨부되어 있는 인용을 직접 적었다면 더 좋은 점수를 받았을 수도 있겠네요.
-
위키에 나온 내용에 대한 검증절차를 거친다면, 위키가 reference가 되는데 아니라 그 검증절차가 reference가 되기 때문에 인정해줄수 있겠죠. 예를 들어 AAA 라는 내용이 위키에 있는데 위키에서도 B 라는 책에 나온 내용이라고 쓰여져있다면, B 라는 책이 reference가 되는거지 위키가 reference가 되는건 아니겠죠. KPUG에 올라온 글에 "빌게이츠의 주장에 따르면..." 이라고 나와있다면 그 의견은 KPUG 회원이 내놓은 의견이 아니라 빌게이츠의 의견인것처럼요. 단지 WIKIPEDIA에 나온 내용을 ref로 사용하는건, "인터넷에 의하면" 이라고 서술하는것과 다를바 없다고 봅니다.
-
좀 주제넘을지 모르겠습니다만...
레퍼런스로 인용한다는건 단순히 부분만을 보는게 아니라
그 인용된 전반적인 내용을 자신이 읽고 이해하고 자신의 글이나 리포트에 적합한지 판단한 후에 적는것 아닌가요?
단순히 누군가 이렇게 말했다.
어떤책에 이런 이런 문구가 있다.
이런걸 자신의 입맛대로 인용하는건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만...
그렇게 본다면 단순 위키피디아를 레퍼런스로 인용한다는건 상당히 아니라고 봅니다.
정작 레포트에서 바라는 인용이나 참고는 그 내용의 정확성 만큼이나 그 인용한 글의 출처 원본의 내용을
이해하고 있느냐를 보는거라고 봅니다만...
위키피디아 글들이 모두 검증을 받은것도 아니고 지역색 국가적 이기심이나 특성으로 엉망이 된것도 있는걸로 압니다.
기왕 내용을 검증해서 쓸 거라면 오히려 절차를 하나 줄이는 방법으로 위키는 생략하는게 맞는거 같습니다만...
-
옆사람한테듣는 것 보다 위키패디아가 더 정확하기는 하지만요. 레퍼런스로 쓸 수는 없지요. 마음에 안 들면 당장이라도 자신이 내용을 바꾸어 버릴 수도 있거든요.
참고만 하고 레퍼런스는 도서관 책으로 하는게 어떨까요? 책도 책 나름이긴 합니다만.
-
꼬소
05.07 20:10
레퍼런스는 책이나 논문에서 찾으셔야죠..
위키는 단순한 정보의 소통도구로서 가치가 있지.. 정확한 정보전달로서는 많이 부족합니다.
그나마 위키가 누구에게나 수정의 권한이 있어서 잘못 된 정보가 전달 될 경우의 수가 줄기는 하지만,
위키나 네이버 지식in이나 별반 차이는 없습니다. 결국 거기서 거기죠..
-
한국 위키는 (레퍼런스 넣는데도 꽤 허점이 많더군요..) 아니지만 미국위키를 보시면 각주가 너무 잘 되어 있어서 이것만 따라가셔서 소스읽고 논문이나 레포트 작성하면 좋습니다.
그리고 제가 가르치는 코스 리포트 작성요강에 절대 위키쓰지 말라고 아예 공지를 해놓습니다. (캐나다지만) 이거 쓰면 F뜰꺼니까 조심하라고 말이죠. 근데도 쓰는 사람들이 있긴합니다.
-
그러시군요. 저의 경우는 미국 wiki는 그런대로 reference가 잘 정리된 편이라 wiki 내 ref에 대한 출처를 밝힌다면 허락하고 있습니다. 단 'quoted from wikipedia.org'라고 하면 가차없이 날려 버리고요. 제가 하고자 하는 말씀도 여기에 있고요.
-
준용군
05.07 21:51
위키가 진리고 답이라고우기는사람 무자게 많습니다-_-
-
Fatal
05.08 00:02
pubmed에서 나오는것도 레퍼런스 아니라고 공격하는 분들도 있는 판국에
위키피디아는 공격 대상입죠. 읭(?)
-
인포넷
05.08 00:10
개나 소나 쓰는 위키죠...
-
iris
05.08 19:04
요즘은 학교에서 리포트를 쓸 때 도서관에 쳐박히라고 안하는 모양인가 봅니다. 저때만 해도 안그러면 리포트를 전혀 쓸 수 없었습니다만.
(그 Reference때문에 그렇습니다.)
-
클라우드나인
05.08 21:41
갖가지 날이 선 댓글에, 이젠 비추천까지 주시는군요.
대학생이라 죄송합니다. 무슨 죄인이라도 되는 것 같네요.
참, 이미 대학교를 졸업하신 분께선 제가 죄인이어도 당연하다는 입장이신 것 같습니다만..
변명하나 하자면 입학때부터 현재까지 reference를 비롯한 report 작성법을 전혀 배우지 않았습니다.
안 배웠으니 모른다고 말하고 싶군요.
어쨌든 KPUG의 분위기는 요즘 대학생은 그냥 다 욕먹어야 하는 존재인 것 같군요.
제가 현 시대의 대학생이라 죄송합니다. 그리고 레퍼런스도 모르는 대학생이라 송구스럽군요.
reference도 못하는 대학생이니 수치스러움을 느끼면 다른 분들의 기분을 맞춰드릴 수 있을까요?
그리고 미묘하게 세대간의 갈등도 느껴집니다. 요즘 대학생은 다들 못배워 쳐먹은 것들이라는 사고.
댓글을 보니 제가 이런 반응을 하길 내심 원하셨던 모양입니다.
reference도 못쓰는 대학생이라 죄송합니다.
이제 마음 푸시고 즐거운 KPUG 생활 하시기를 바랍니다.
위키피디아는 공식적으로 이 내용이 맞는지 보증할 수 없죠;; 그냥 참고 자료로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