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시스템 백업... 어떻게 하면 되나요?
2011.09.08 17:54
최근에 에이엠디 라노 시스템을 조립하고 우분투 Natty Narwhal을 깔았습니다.
다른 건 다 괜찮거나 (또는 견딜 만한데 ^^;;;), 백업이 걱정되네요. 시스템을 쓸만하게 만드느라 (리눅스용 아래아한글 설치하느라 삽질, LyX한글 되게 만드느라 삽질 ㅠ.ㅠ) 엄청난 시간을 들였는데, 만일 하드가 날라간다거나 하면 큰 일이잖아요. 그래서 아크로니스나 노턴과 비슷한 디스크 이미징 프로그램이 있나 뒤져봤는데, 결론은 없거나 있어도 제 피씨에서는 안된다는 겁니다. 바이오스가 최신버전이라 그런지 clonezilla등을 내려받아서 비상용 씨디나 플래쉬 디스크를 만들어보면 제대로 부팅이 안 되고 도중에 뻗어버립니다. (partimage가 제일 유명한데 ext4를 지원못합니다.) 윈도우즈 피씨에서 아크로니스를 가지고 비상용 플래쉬를 만들어 부팅시키려고 해도 도중에 뻗어 버립니다. ㅠ.ㅠ
어쩔 수 없이 디스크 이미징은 포기하고, 메인하드를 통째로 tar로 압축한 후에 외장하드에 넣었습니다. 우분투 설치할 때 만든 설치용 플래쉬디스크가 있으니까 비상시에는 이걸로 부팅해서 압축을 풀면 된다...는 복안이었는데, 막상 그 플래쉬디스크로 부팅을 해보니까 외장용 하드디스크에 접근할 권한이 없다고 나옵니다.
이거 뭐 운명같은 것도 아니고... 우분투 시스템 대체 어떻게 백업하면 되나요?
코멘트 3
-
언이아빠
09.08 21:58
문제는 리눅스용 아래아한글입니다. 저는 안 쓰지만 다른 사람들이 보내오는 논문을 읽고 코멘트를 달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데, 원래는 아시아눅스용으로 나온 거라서 그쪽에서는 기본설치되는 라이브러리가 있어야만 실행됩니다. 그래서 아래아한글 설치 전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들을 설치해 주거나 우분투에 포함되어 있지만 이름이나 버전이 다른 것들을 심볼릭 링크 시켜줘야 합니다. 이것이 상당히 시간이 많이 들고 시행착오가 많은 작업이라서 시스템이 망가지면 다시 제대로 복구할 수 있을지 자신도 없고, 된다고 하더라도 시간이 많이 걸릴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러저러한 걸 떠나서 전체 시스템 백업이 없이 컴퓨터를 쓴다는 것이 제게는 상당히 불안합니다.
-
linux 답다는 게 뭘까.. 사실. 그냥 편하게 쓰면 되는 건데요. 언이아빠님 말씀하신대로..
다만 저는 그냥.. 자동설치 unattend 에 bootstrap.sh 로 해결될 거 같은데.. 그게 더 투명하니깐...
바이오스라면... EFI 호환성 문제인가 보네요.. 음... 그러고보니 EFI쪽은 많이 경험을 못 해봤네요.. 쩝..
EFI를 bios 처럼 wrapper 해주던 모드가 있었던 것도 같은데.. (잘은 모릅니다.)
다시 깔기 싫으셔서 시스템을 백업하시는 거라면 그냥 unattend 설치를 만드시는 게 낫습니다.
어짜피 패키지는 계속 업그레이드 되고 2011년 백업본을 2012년에 쓰긴 좀 뭐하니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