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사양 컴퓨터 살리기: Puppy Linux (4)- 기타 설정과 총평
2011.09.15 22:31
첨부 파일의 2M 용량 제한으로 게시판을 도배하는 것 같아 죄송합니다.
이제 화면 조정하기 등 기타 사항입니다.
모니터 화면이 꽉차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컴과 모니터를 각각 1대씩 연결하는 경우에는 모니터 설정을 조절하면 되지만,
제 경우는 KVM을 쓰고 있기 때문에
모니터 설정을 바꾸면 다른 컴에서 또 문제가 됩니다.
퍼피 리눅스의 경우, 이럴 때 Xorg video wizard를 통해
설정을 바꿀 수 있습니다.
(1) 먼저 setup 에서 Xorg Video Wizard로 들어갑니다.
(2) 중간에 보이는 xvidtune 을 선택합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항목의 조절이 가능합니다.
(3) 아래와 같은 설정창이 뜹니다
좌,우 이동, 넓거나 좁게 만들기 모두 가능합니다.
Storage 용량 변경
퍼피 리눅스는 HDD에 install 하기보다는
Live CD or USB로 구동하는 portable OS 성격이 강합니다.
일반적인 storage 공간은 고작 512M 가 default 값입니다.
맥시멈 2G 까지 늘릴 수 있다고 하니
한번 늘려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바탕화면의 가장 왼쪽 구석의 강아지를 누르면
마치 윈도우처럼 메뉴가 뜹니다.
유틸리티에서 resize personal storage file로 들어갑니다.
(2) 경로를 다르게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유틸리티 - general utilities - PupControl Panel로 들어가도 됩니다.
아무래도 윈도우 처럼 체계적인 메뉴 세팅이 되지 않은 탓입니다.
(3) 경로가 어떻든 Resize puppy file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4) 이제 file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최대 512M 씩 늘려갈 수 있습니다.
Puppy Linux 총평
퍼피 리눅스는
저사양 PC임에도 불구하고 적당한 속도를 기대할 수 있었습니다.
다양한 유틸리티가 미리 깔려 있으므로
명령어로 고민하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 역시 충분합니다.
다만 제가 퍼피 리눅스에서
다른 리눅스를 시도해보고 싶은 생각을 하게된것은
1) HDD에 install 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2) Torrent를 돌려보고 싶었습니다.
3) 마지막으로 통계 패키지인 PSPP나 R을 사용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인 용도에서는 충분히 유용한 리눅스이고,
또 매뉴얼에 나와 있듯이
PC방이나 공용 컴퓨터에서
바이러스 걱정 없이 사용하고 싶을때 매우 유용할 듯 합니다.
코멘트 12
-
박
09.19 10:58
-
닥터랜
09.19 13:24
http://182.164.209.64/puppy/wary/languages/
위 링크로 들어가보시기 바랍니다.
용량은 77.5M 이며
실행시키시면 pet 파일이 다운로드 되게 됩니다.
-
박
09.20 00:29
아 감사합니다 -
저사양 컴퓨터에서 인터넷 웹서핑과 간단한 문서 작업이 가능해 지는 건가요?
어느 정도 저사양까지 무리없이 사용 가능한가요?
구형 eeepc 놋북이 있는데 저걸로 한 번 써 볼까 하는데...
-
2g surf모델 말이죠.. 이거 XP깔수 있습니다. 거기다가 메모리 관리 프로그램 깔고 MS office 2003깔면 아마 2기가 하드에 500메가정도 용량 남기면서 나머지 프로그램을 외장 SD로 돌리면 쉽게 사용하실수 있습니다.
-
그게요, xp는 깔아봤습니다. 스누피 마이크로 xp로 해 봤는데요,
남는 공간이 너무 적으니 페이징이 안되서 그런지 속도 저하도 심하고
뭐 참고 쓰면 쓰긴 하겠는데 또 그렇게 인내심 테스트해가며 쓸 위인들이 주변엔 없고
나름 거기다 사진 넣고 간이 액자로 써 봤는데, 그러기도 좀 아깝고
안드로이드로 뭐 해볼까 싶어서 pc용 안드로이드 깔아 봤는데
불안정하고 뭐 할 수 있는 것이 딱히 없더라구요. 그리고 안드로이드는 역시 손으로 긁어야 제 맛.
크롬 os 생각을 해 봤는데 usb로 부팅해야만 하는 것에서 일단 시작부터 감점
한동안 freenas로 재미 좀 봤는데
usb 외장하드를 붙여놓으니까 속도가 느리고, 한달씩 켜 놓으니까 외장하드들이 힘들어해서
'아, freenas는 데탑에다 하드 많이 붙여다 써야겠다' 하면서 접었죠
지금은 장롱속에 고이 모셔두고 있습니다.
-
스누피로 해야 되는게 아니라 일반 XP로도 가능합니다. 다만 설정하고 윈도우 내에서 페이징 관련 부분을 전부 SD카드로 옮긴다음 메모리 오버시키고 쓰셔야 합니다. 다만 EEE surf 2G 기종의 경우 eeectl이나 hybrid engine이 먹지 않기 때문에 CPU배수락을 풀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
닥터랜
09.22 11:50
아마 eeepc라면 가능하지 않을까요?
대부분의 저사양 리눅스들은 넷북을 주 타겟으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드라이버도 이미 다 깔려있는 것 같더라구요.
속도면으로 보자면 puppy linux보다 bodhi linux가 조금 더 빠른 것 같구요.
제가 돌렸던 사양은 P4-1.7A, 845보드, 768M 램이었습니다.
-
eeepc 2g surf 모델은 제가 기억하기로 펜티엄 M, 클럭 속도가 500 mhz 언저리였던걸로 기억합니다.
아 이렇게 리눅스에 손대게 되는 건가요~ ㅎㅎㅎ
-
혹시 하드에 설치하고 시으시면 우분투는 어떨까요? 일년에 두번씩 꼬박꼬박 엡데이트 해주고 사용자가 많아서 도움이 많이 될텐데요.
저도 윈도XP 처음 나왔을 때 구동되던 놋북에 우분투를 몇번 깔아봤는데요. 생각보다 괜찮았습니다.
-
왕초보
09.27 09:09
우분투 저사양 기종 드라이버 지원이 그리 좋지 않습니다. 최신 기종엔 그냥 깔면 대략 다 잡아주는데.. 옛날 머신에는 옛날 버전을 깔면 잘 되지만 업데이트 하다가 뻗고.. 최신 버전을 깔면 드라이버를 못 잡아주더군요. OTL 뭐 물론 할줄 몰라서 그런 것이겠지만.. 잘 난 사람일수록 그러면 안되죠. ( ..)
-
영진
09.28 11:30
우분투가 좋아요. 저도 이제 메인을 우분투 쓸 정도로 윈도우보다 낫다고 생각합니다. (윈도우의 쓸모없는 서비스들이란...) 사용자들이 많아서 조언을 얻기도 좋고요.
그런데 퍼피리눅스는 gcc컴파일이 안된다거나 데비안패키지를 안쓴드지 해서 말았는데... 우분투 사용자중 넷북에 깔려면 xubuntu도 대안이 될수 있고요. 저라면 그냥 우분투깔아버립니다만.
요즘 케퍽에서 리눅스바람이 부는데 리눅스 소모임 어떨까요?
저 질문이 있습니다.
님 사용기를 보고 용기를 내서 퍼피 리눅스를 깔아봤거든요.
용케 잘 따라했는데 한글화에서 cjk가 다운이 안받아지네요.
개인서버라서 그런 걸까요? 한글화를 못시켜서 지그 한글 다 깨져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