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프리징...멈춤..
2012.01.05 14:00
캐나다 사는 상호아빠라고 합니다.
컴을 좀 만진다고 하니..주위사람이 고장난 컴은 다 가져옵니다.
현주컴인가요?
데스크탑인데..청소도 다하고..윈 비스타(정품)도 다 깔고..
약..몇분이나 몇십분정도 사용하면 화면이 그대로 멈춰버립니다.
마우스도 작동안하고...
드라이버 문제일까요?? 아니면 시피유?? 아니면 vga(내장형 외장형 전부다 동일증상입니다..)
답변달아 주시는분께 감사드립니다..^^
코멘트 10
-
이C
01.05 15:17
아주 의외로 파워가 제대로 전원을 공급 못해줘서 일 수도 있고
하드와 메인보드간의 연결선의 문제인 경우도 있어요...
-
기둥
01.05 16:44
메모리 불량에 한 표 더합니다.
메모리의 일부가 불안정할 경우 발생합니다.
더불어 그래픽카드 쪽 쿨링팬도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
상호아빠
01.06 03:44
답변달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래픽카드 쿨러는 청소해서 잘돌아가고요
메모리...다른 메로리를 껴봐야죠...^^
-
혹 CPU가 듀얼코어인가요? 비스타라면 듀얼코어 일듯 한데, 코어중의 하나가 잘 못 되었던 경험이 있습니다. 증상도 동일했구요.
비스타에서 코어를 하나만 사용하도록 하는 옵션을 쓰면 정상 작동하고, 코어를 다 쓰도록 하면 다운되고는 했습니다.
메모리 점검후에 이상이 없다면, 코어 점검 해보세요.
추가로, 제 경우에 테스트로 XP를 깔면 멀쩡했었습니다.
-
준용군
01.06 11:54
위 댓글도 맞는말입니다만
프리징 즉 뻣는다라고 표현하.
원인은 너무나 많습니다-_-
메모리 문제일수도 혹은 쿨링이 안되어서 뻣거나 전력이 불안정하거나 그외 오만가지 오작동혹은 쓸떼없는 원인에서까지 다나옵니다
-_-
외관상 케퍼시터 터진거 있나 확인해보시고 두번째 아무리해도 못찾겠다 싶으면 보드 들어내서 후면도 확인해보세요 쇼트가 원인일수도있습니다
-
그러네요. "다운"되었다는 걸 이곳 저곳 쓰다보니..... ㅡ.ㅡ
제가 설명한 증상은 "다운"이 아니라, 프리징이 맞습니다. ^^.
-
잭슨
01.06 14:01
제 노트북이 그런 증상 비슷한데요 메모리 한게(1) 꼿을때는 정상인데 두개(2G)만 꼿으면 프리징이 생김니다.
메모리 두개를 바꿔도 동일 증상이구요.
슬롯에 서로 바꿔 끼워도 한개 일 때는 무조건 정상입니다.
위치를 바꿔도 동일하고 회로상 쇼트인것으로 판단되는데 그냥 1개만 꼿아서 동작 시키는 중입니다.
-
상호아빠
01.06 23:49
메모리 다른 것으로 교환해도 동일증상입니다.
그리고 점점 얼어 붇는 증상이 심해집니다
전에는 윈도우 xp나 비스타 까는 동안에는 멀쩡했는데..현재는 복원중에도 멈춥니다..
그러다가 갑자기 부팅불능 까만 화면만 나옵니다...
그러다 다시 부팅...역쉬..멈춤현상...
-
왕초보
01.07 04:32
시간 많고, 머리 아픈거 좋아하고, 데이타는 안 중요하고, 컴터 케이스 열면 세상 아픔이 모두 사라진다 ==> 계속 들여다 보세요.
저 네가지 조건중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으면.. ==> 버리고 새 컴터로.
컴터가 뻗는데는 너무나 많은 이유가 있습니다. 가장 잡기 힘든 것이 칩 안에서 생기는 soft error. 이건 가끔 생기기도 하고 안 생기기도 해서 똑같은 문제가 자주 생기지도 않습니다. 또 어느 칩에서나 생길 수 있는 문제라 이런거 걸리면 갑갑하죠. 특히 열이나 전원잡음 관련된 문제와 결부되면.. 완전 미궁이 됩니다.
물론 더 자주 생기는 문제들이 있긴 하죠. 기계적 동작과 관련된 문제가 보통 가장 흔합니다. 쿨링팬이나 하드드라이브 얘기죠. 갑자기 암것도 안되고 얼어붙는다.. 이때 키보드를 마구 두들겨서 삐비빅 소리가 나면.. 다른 부분은 멀쩡한데.. 컴터가 반응을 안한다고 볼 수 있어서.. 바이러스나 하드가 망가졌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하세요) 키보드 두들기는데 소리도 안난다.. 씨퓨가 이상한 곳으로 들어간 것이라.. 전원이나 메모리를 체크하는게 빠를 수 있습니다.
또 애드온 카드가 잘못 꽂혀서 저럴 수도 있습니다. 보드의 일부가 케이스랑 닿아서 생기는 문제일 수도 있고요. 만지면 만질 수록 오묘한 데스크탑.
메모리 문제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즉 메모리를 인식하는 보드에서 문제가 있거나 아니면 메모릭자체에서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