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SE 10 리눅스 윈도우즈 7에서 Virtual Machine으로 사용하기
2012.02.22 16:37
제목 그대로 윈도우즈에서 버추얼머신을 이용해서 아래 프로그램을 사용해 불려고 하는데, 어떤식으로 설치하면 좋을지 여쭤봅니다.
지금 생각은 그냥 VirtualBox 다운 받아서 해볼까 싶은데, Linux Kernel 2.6 과 Qt 3.x graphics library를 가진 SUSE 10 을 설치하는 방법을 잘 모르겠습니다. 예전에 맥에서 윈도우즈 설치할때는 그냥 CD로 설치했는데...어찌하면 좋을 지 컴 잘하시는 분들 의견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This guide describes the simple steps to install and run a GrooveNet simulation.
GrooveNet requires Linux kernel 2.6.* and Qt 3.x graphics library. SUSE 10 is the
preferred Linux distribution
미리 감사드립니다! 꾸벅~
코멘트 22
-
콩우유
02.22 17:06
-
답변 감사드립니다. 그럼 VirtualBox에 맞는 우분투 이미지 받아서 그냥 설치하면 되는 것이겠지요?
-
낙랑이
02.22 17:40
그냥 마운트 시키신 다음에 윈도우 깔듯이 하면 됩니다.
요즘은 다 잘 되어 있으니까요 ^^
-
그렇군요! 한번 시도해보겠습니다! 감사감사!!
-
꼬소
02.22 17:52
virtual box 설치 하시고 배포판 이미지만 있으시면 virtual box에서 리눅스 바로 설치 가능합니다.
-
감사드립니다~
-
지금 제가 Virtual Box에서 Ubuntu 설치해서 쓰고 있습니다. :)
-
우분투로 설치해서 사용해봐야 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Virtual Box보다 vmplayer가 더 안정적이고 성능도 좋지 않을까요?
-
그런가요? 그러고보니 예전에 vmplayer 사용했던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
언이아빠
02.23 02:10
저는 거꾸로 페도라에 버추얼 머신으로 윈도우즈를 깔아 쓰고 있네요.
-
그러시군요!!
-
잭슨
02.23 03:56
우비(wubi)도 있어요 ~ -
wubi도 리눅스의 일종인가요? 찾아보니 우분투 인스톨러라고 나오네요!
-
잭슨
02.23 09:03
우분투나 쿠분투 설치 방식중에 하나인데요 기존 윈도우 파티션에 다가 멀티 부팅 방식으로 설치 하는 것입니다.
클릭 몇번으로 리눅스 머신 간단히 설치 됩니다.
설치 하면 디렉토리 하나 생기고요 디렉토리 삭제하면 리눅스 삭제 가능합니다.
단점은 vmware 처럼 윈도우랑 리눅스 같이 못쓴다는 것
-
듀얼부팅이 아니라면 그냥 쓸 만 할 것 같네요. 답변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지금 우분투는 아예 Windows에서 설치를 실행하면 그렇게 설치가 되요. 심지어 프로그램 추가/삭제에 "Ubuntu"가 등록된답니다. :) 거기서 삭제하면 걍 OS가 삭제되고 원래대로 돌아와요.
-
이스크라
02.23 08:47
Vmplayer 설치하시고 첨부된화일 토렌트로 다운받아서 그냥 사용하시면 됩니다. 따로 우분투 설치안하셔도 됩니다. 한글 우분투입니다.
-
감사합니다...꾸벅!!
-
콩우유
02.23 23:15
버추얼박스나 vmware로 설치하시면 쉽게 설치하실수 있습니다.. 가상머신보다는 그냥 직접 설치하시는게 나을듯 한데 멀티부팅도 좋고 리눅스만 설치해보시는것도 좋고... 예전 생각 새롭새롭 나네.... 커널 컴파일부터해서 이것저것 만져본 기억이... 요즘 젠투 리눅스가 있나 모르겠네... 설치하는데 몇시간씩 걸리거나 반나절 하루정도 걸린 기억이 있어서... 스테이지별로 설치해서 설치하다가 완전 날려먹은 기억도 있고... 설치자체가 스트레스였으니... 리눅스 이것저것 만져보시면 재미 있을겁니다... 그리고 솔라리스도 설치해보시고 공부해보세요.. 요것도 재미있습니다...
-
지금 VMPlayer로 설치할려고 시도하고 있습니다. 근데, VMPlayer 다운 받기도 쉽지 않네요!! 감사합니다!
-
VirtualBox에서 우분투 최신버전을 사용하시면, 공유폴더에서 약간 버그가 있습니다. 우분투가 작년부터 기본 GUI로 Unity를 선택하면서, Unity와 생기는 문제라고 하더군요. VMPlayer는 문제가 없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수세보다는 페도라나 우분트가 나은거 같은데 요즘은 어떤지 모르겠네.. 수세는 사용하는 사람이 그렇게 많지가 않음... 전세계적으로는 레드햇계열을 많이 사용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데비안 계열인 우분트 추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