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입문서적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2012.03.01 23:06
Cube U9GT2를 만지면서 Linux 와 안드로이드에 관심이 동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첫 번째 단계로 JDK 관련 해서는 윈도우에서 쉽게 해결하였습니다 ^^;
그리고 그 다음 단계로 LInux 를 설치하려고 했습니다.
처음에는 제가 사용하는 넷북인 Lenovo S205 (AMD E-450 APU 탑재 모델)에 설치하려고 했는데,
APU와 관련된 드라이버 문제인지 EFI 바이오스가 문제인지 설치가 되지 않았습니다.
아직 AMD의 Zacate APU가 나름 최신의 모델이라서 그런지 상당히 드라이버 지원이 불안정한 것 같았습니다.
(도움을 주신 꼬소님께는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꾸벅)
그래서 결국은 제 고향의 데스크탑에 Ubuntu 11.10을 설치하게 되었습니다.
(사양은 AMD Athlon 64 X2 3800+, MB는 MSI-7309 입니다.)
각종 업데이트를 설치하고, Ubuntu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한글입력을 해결하고 나니
상당히 쓸만합니다 ^^
잡설은 이만 하고, Linux를 쓰시는 KPUGer 분들은 어떤 책으로 입문하셨는지 궁금합니다.
한 번 여유가 될 때 조금 배워보고 싶은데, 명령어도 모르고 전혀 감이 없습니다.
"웰컴 투 우분투"라는 책을 보았는데, 이것은 유니티 환경 상에서의 활용만 설명하고 있어서
제가 알고픈 것에 대한 설명은 없더라구요.
유니티 때문에 이럭저럭 쓸 순 있겠는데, 역시 Linux를 제대로 쓰려면 공부가 필요할 것 같아서
여쭈어봅니다. 질문이 조금 추상적(?)이긴 하지만 많은 도움과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코멘트 15
-
인포넷
03.01 23:40
-
낙랑이
03.01 23:52
실무에 계시는 인포넷님의 말씀을 듣고 찾아보니 저희 학교 도서관에도 있는 책이로군요.
2000쪽이 넘는 책이고 다루는 내용 또한 서버 관련된 부분이라 내공이 부족한
제가 감히 넘볼 책은 아닌 것 같지만 앞부분은 딱 제가 찾던 내용인 것 같습니다.
추천 감사드립니다 ^^
-
인포넷
03.01 23:55
제 답변이 실망을 안시켜드렸다니...
다행이네요...
-
낙랑이
03.01 23:58
아닙니다 ^^
적절한 추천 감사드립니다. 혹시 리눅스를 제가 깔짝거리다가 의문나는 점 있으면
그때도 케퍽에 질문 올릴 것 같은데, 시간이 괜찮으시면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클라우드나인
03.01 23:47
레드햇 계열이면 워낙 파편화가 심해서 책을 추천하 드리겠지만, 데비안 계열 중 가장 점유율이 높은 우분투는 책보다는 구글링이 가장 좋습니다.
우분투 공식포럼 자체가 보통의 책이 범접할 수 없는 수준으로 잘 되어있고, 각종 블로그에서도 아주 잘 정리된 자료가 많습니다.
단점으로는 대부분 영문자료입니다.
구글에서 검색어에 ubuntu만 추가해서 검색하시면 양질의 자료를 얻을 수 있습니다. -
낙랑이
03.01 23:53
말씀대로 한글우분투포럼에 가니 주제별로 다룬 블로그의 글이나 게시물은 많은데
찬찬히 보면서 익힐 책은 없더군요. 제 스타일이 책을 하나 보면서 찬찬히 읽는 것을 좋아해서
한 번 클라우드나인님의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이쪽 분야를 전공하시는 클라우드나인님께서 입문하실 때 쓴 책(전공책이라도 좋습니다)은 혹시 없으신지요?
-
클라우드나인
03.02 00:03
중간에 책을 몇권 보기는 했으나, 시작할 때 부터 구글링 결과를 기초로 했습니다.
다만 필요한 프로그램들은 aptitude, yum, ports, emerge와 같은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지 않고, 모두 소스컴파일로 설치했었습니다.
리눅스의 기초는 이처럼 무언가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설정하면서 쌓는 경우가 많습니다.
윈도우와 달리 설치과정 자체가 시스템과 긴밀하게 엮여있기 때문입니다.
리눅스 책은 step-by-step으로 진행되는 부분이 거의 없고, 대부분이 정보의 병렬적 나열이기 때문에
기초 부분은 책으로 익히시되 - 몸빵하는 것 보다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 그 이후 부터는 사전식으로 쓰시는것이 좋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리눅스가 워낙 빠르게 변하기 때문에, 책이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때가 많습니다.
인포넷님께서 추천하신 책은 레드햇 계열 리눅스 기준으로 작성된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따라서 저 책을 쓰시려면 CentOS를 설치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낙랑이
03.02 00:21
클라우드나인님의 말씀이 맞는 것 같습니다.
가장 기초적인 부분은 인포넷님께서 추천하신 부분과 각종 명령어사전을 찾아보며 익히고
그 다음 응용부분은 클라우드나인님께서 추천하신 방법을 이용해야 할 듯 합니다.
다시 한 번 조언에 감사드립니다 ^^
-
윤신영
03.02 00:25
저도 Linux로 컴퓨터를 입문하다시피 했는데 딱히 책을 본 것은 별로 없습니다.
검색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나가다보면 조금씩 내공이 쌓이고 익숙해지는거죠.
예전에야 책 자체가 귀하기도 했고, 책 내용이 기본적인 설치에 치중하다보니 크게 도움이 되지는 않았던 것 같습니다.
저는 O'Reilly의 책들을 추천해드립니다. Running Linux 같은거부터 시작하심이 어떨른지요?
조금 익숙해지지면 유닉스에 대한 여러 주제의 책들이 도움이 된답니다.
-
낙랑이
03.02 01:09
감사합니다 ^^
오레일리와 한빛미디어의 책을 탐독해봐야겠습니다~ ㅎㅎ
-
꼬소
03.02 03:12
그냥 책 보지 마시고 궁금한건 구글링 하세요..
명령어와 서비스 때문에 구글링 하는게 대부분 이실거고..
개발 할거 아니라면 책 추천 안합니다.
그나저나 GRUB2 해결이 안되신것 같군요... 게임이나 인터넷 뱅킹 안하실거면 그냥 우분트 쓰시면 되겠네요..
이것저것 많이 해 보세요.. 학생이면 나중에 직장 얻었을 때 도움 많이 될 겁니다.
궁금한거 있으면 클나님이 잘 아시니깐 쪽지로 물어 보시고.. 저는 하수라서.. 잘 몰라욤..
-
낙랑이
03.02 03:25
많은 도움을 주셨지만 제 상황에서 Win 7과의 듀얼 부팅은 하드웨어적인 방법 (하드디스크를 2개를 설치해서 하드 마다 따로 부트로더를 잡는 방법)이 아니면, 사실상 힘들다고 결론이 났습니다.
다른 배포판은 시도 해보지 않았지만 우분투가 가장 업데이트가 빠르니 이 녀석이 아니면
다른 녀석은 더욱 힘들지 않을까 합니다 ^^;
앞으로도 신세 많이 질 듯 합니다~ 그때 많은 부탁 드리겠습니다 ㅎㅎ
-
어느 정도 레벨을 목표로 공부하시려는 지 모르겠습니다만, 단순 Administration이 아니라면 C or C++을 공부하시면서 하셔야 합니다.
그냥 취미로 하시는 거라면.. 그냥 하지 마세요... 컴퓨터로 밥 먹고 사실 게 아니라면 굳이 필요 없습니다.
-
꼬소
03.02 18:23
에이.... C나 C++로 되겠습니까 ㅋㅋㅋㅋ 하면 할수록 부족함을 느끼게 될 텐데요 ㅎㅎㅎㅎ
-
콩우유
03.02 12:29
남남님 말이 정답이네요 더이상 말이 필요없네
전 서버관리 실무바이블이 가장 좋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