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ENXINGZHE] PD10.#3.Display
2012.04.21 16:45
안녕하세요.
Lock3rz 입니다.
많은 분들께서 PD10의 Display가 어느정도 되는지 궁금해 하셨죠.
Display 리뷰입니다.
<리뷰목록>
[SHENXINGZHE]PD10.#2.Appearance
[SHENXINGZHE]PD10.#3.Display
///////////////////////////////////////////
*먼저 리뷰기기를 대여해주신 성야무인님께 감사드립니다.*
*본 리뷰는, Galaxy S2의 카메라로 찍었으며, 찍는 각도, 찍는 거리, 집광량, 읽으시는 분의 모니터링 해상도, 모니터링 색감 등등의 변수가 매우 많습니다*
*필자는 전문가가 아니므로, 이러한 변수를 모두 통제하지 못했습니다.*
*이 점, 양해 부탁드리며, 리뷰를 시작하겠습니다*
//////////////////////////////////////////
LCD는 Liquid Crystal Display의 약자로서, 현제 대부분의 기기의 Display 파트가 LCD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액정은 LCD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액정의 "액"은 액=Liquid 입니다. 수용"액"할때 "액"자 이지요.
AM OLED=능동 유기발광다이오드 입니다.
많은분들이 "AM OLED 액정"이라고 말씀 하시더군요.
"AM OLED 디스플레이" 혹은 "AM OLED 화면"이라고 불러야 제대로된 호칭입니다.]
정확하지 않은 정보로 리뷰를 했던점,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정확하지 않은 정보로 썼던 부분은 Strike[스트라이크]처리 해두었습니다.
클라우드 나인님의 댓글입니다
"
펜타일 아닙니다. ^^;
AMOLED의 RBGBR을 LCD에서 적용하기엔 무리가 있고
LCD에서 사용하는 펜타일은 사실상 RGBW 정도가 전부입니다. PD10은 RGBW은 아니죠.
PD10은 기울어진 방식으로 픽셀을 배열하는 서브픽셀 렌더링을 사용합니다.
온전히 RGB Stripe을 모두 갖춘 방식입니다.
그리고 PenTile은 비싸서 이런 저가형 기기에 못써요. ^^;
AMOLED는 PenTile RBGBR을 쓰는게 RGB Stripe보다 싸서 쓰는거고,
모토로라 Atrix는 Backlit을 높이는 비용보다 PenTile RGBW을 쓰는게 싸서 쓰는것입니다..
직접 보진 않아서 모르겠지만 P85도 아마 펜타일이 아니겠죠. RGBW이 아닌 이상, LCD라면 펜타일은 아닙니다
"
최근 AM OLED가 차세대 Display 파트로써 각광받고 있지만, 과장된 색감, 번인현상, 화이트화면에서의 과도한 소비전력 등등 아직 고칠 부분이 많습니다.
널리 보급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LCD 초기 때도 그랬듯이, 수율문제와 가격 이 가장 문제겠지요.
위와 같은 문제점이 아직 많기 때문에, LCD는 아직 주력 Display 파트로 채택되고 있습니다.
물론, LCD도 발전하지 않고 그대로 머문것이 아니라 LCD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한 여러 기술들이 발전되어 왔습니다.
SLCD,TFT,TN,LED백라이트,IPS,PLS등등 많은 기술들이 발전해 왔지요.
저가형 태블릿들은 가격을 맞춰야 하기 때문에, 대부분 TN+Pentile기술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를 사용합니다.
<1개의 픽셀을 구성하는 방식들 - RGB Stripe 방식과 Visual(PenTile)방식의 비교>
AM OLED가 처음 사용되었을때에는, 펜타일로 구성되어있어 거칠거칠해보여 많은 비난을 샀었습니다.
하지만, 비단 AM OLED 뿐만이 아니라, 해당 기술이 "차세대"라고 불리울 때에는 대부분의 디스플레이 기술들이
PenTile로 구현되었습니다.
왜 PenTile로 구현 하였을까요?
기존 RGB Stripe 방식으로 구현을 하려면, 그 만큼 해당 기술이 성숙한 단계에 이르러야 합니다.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을 같은 면적으로 1픽셀에 배열하는 것이 그리 쉬운일이 아닙니다.
따라서, 편법을 부려 PenTile로 구성을 하면,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이 같은면적으로 배치되지 않아도 됨으로
생산 공정에 따른 "수율[불량품이 나오는 정도]"문제에서 좀더 자유로울수 있습니다.
생산 단가도 좀더 저렴해지구요.
따라서 많은 저가형 기기들이 "펜타일"방식으로 배열된 디스플레이를 채택하였습니다.
*펜타일도 배열이 꼭 위의 참고사진같지는 않습니다. 펜타일도 White가 추가된 배열 등등 여러가지 Variation이 있습니다.*
///////
이번 리뷰에서 쓸 기기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PD10 7" WVGA[800x480]
- Galaxy Tab 7 7" WXGA[1024x600]
- P85 8" XGA [1024x768]
- iPad 2 9.7" XGA[1024x768]
<전 기기 밝기 최저>
<전 기기 밝기 최대>
- 사과 사진 테스트 -
LCD방식이 표현하는데 가장 힘들어했던 빨간색이 가득한 사과사진을 띄워봤습니다.
[초기 기술들이 정확한 빨간색을 표현하는데 힘들어 했을뿐, 지금의 LCD기술들은 문제없이 잘 소화해 냅니다.
하지만, 저가형에서는 빨간색 표현이 어떻게 될까 궁금하여 시도했습니다.]
<전기기 밝기 최대 - 사과 사진>
<PD10 - 사과>
<Galaxy Tab - 사과>
<P85 - 사과>
<iPad 2 - 사과>
<원본 사진과 Crop한 이미지들>
- 무지개 사진 테스트 -
무지개 원본 사진 입니다.
여러색이 조화롭게 배치되어 있어 선택했습니다.
<전 기기 밝기 최대 - 무지개>
<PD10 - 무지개>
<Galaxy Tab 7 - 무지개>
<P85 - 무지개>
<iPad 2 - 무지개>
<무지개Crop1 - 원본사진과 크롭한 이미지들>
<무지개Crop2 - 원본사진>
<무지개Crop2 - 크롭한 이미지들>
- Kpug 로고 -
이 테스트 만큼은 안할 수 없죠 ^^
<Kpug 로고 - 원본>
<PD10 - Kpug로고>
<Galaxy Tab 7 - Kpug로고>
<P85 - Kpug로고>
<iPad 2 - Kpug로고>
<Kpug로고 "Users" 원본 사진과 크롭한 이미지들>
- 기타 이미지들 -
<Autoblog 배너 - iPad 2 와 PD10 크롭이미지>
<PD10 - Engadget.com>
<iPad 2 - Engadget.com>
<Engadget.com Crop - iPad2와 PD10 크롭이미지>
////////////////////////////
- 픽셀 구성에 따른 가독성 -
위에서 보신것 처럼, PenTile을 사용한 PD10과 P85는 RGB를 채택한 Galaxy Tab 7, iPad2와 비교했을때,
표면이 거칠게 느껴집니다.
이는 Crop한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PenTile 배열에서 오는 불균형성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PenTile이라고 해서 볼수 없을 정도로 끔찍한 것이 아닙니다.
Crop한 이미지는 문자 그대로
"Galaxy S2의 센서에 감지된 배열들을 Crop하여 확대한 것"
입니다.
사람의 육안이 Crop이미지들처럼 저렇게 세세하게 보일 정도라면, 그 분의 시력은
"매의 눈"
입니다. ^^;
거칠게 표면이 덜 다듬어진 화면이 발생하는 이유를 보여드리기 위해 Crop이미지을 보여 드린 것입니다.
-가독성-
iPad 2=Galaxy Tab 7=>P85 >PD10
확실히 메이저 제조사들이 만든 기기들은 다릅니다.
이 부분은 가격적인 요소가 충분히 상쇄해 준다고 봅니다.
굳이 비교를 하자면,
PD10은 N12와 같은 전형적인 7" 저가 태블릿의 액정을 장착하고 있습니다.
P85는 XGA해상도를 8"에 넣어서 PPi가 더 높아저 오밀조밀하게 보이며,
iPad 2와 Galaxy Tab7은 각각 A급 IPS 패널, A급 TFT패널을 사용하여 솔직히 비교의 대상이 아닙니다만,
주변에서 가장 많이 접할수 있는 제품이라 비교대상에 포함시켰습니다.
- 색감 -
iPad 2 = Galaxy Tab 7 > P85 > PD10
-색 온도-
iPad 2 <= Galaxy Tab 7 < P85 << PD10
PD10>>P85>Galaxy Tab 7>=iPad 2
색 온도는 높다고 무조건 좋은것이 아닙니다.
[색 온도가 낮으면 "흰색"을 표현할때 누리끼리한 화면을 볼 수 있으며, 색 온도가 높으면 "흰색"을 표현할때, 파래진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 [거꾸로 착각하고 있었네요 west4street님, 지적 감사합니다. 수정하였습니다. 에구...^^;;;]
하지만, PD10과 P85는 좀 낮은편으로, 파란색 찬 기운이 감돌았으며,
특히 PD10은 좀 심했습니다.
Galaxy Tab 7 은 이러한 색온도를 "설정"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테스트는 기본 설정으로 진행하였습니다.]
다른 안드로이드 기기들도 색감을 조절 가능 했으면 좋겠습니다.
-디스플레이 밝기-
이는 디스플레이 파트의 단가 문제 뿐만아니라, 여러가지 요소[배터리관리, 발열 등]이 결합되는 문제여서 그런지,
저가형 태블릿인 PD10과 P85의 밝기가 좀 낮았습니다. 실내에서나 흐린 날씨에서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최대 밝기로 해도 직사광선이 내리쬐는 상태나, 맑은 날씨의 낮에는 사용이 힘든 수준입니다.
또한 배터리 소모량도 급격히 많아집니다.
Galaxy Tab 7이나 iPad 2는 밝기를 최대로 하면 거의 전천후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상, 스크롤의 압박을 이겨내시고, 읽어주신[혹은 Watching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드리며,
[SHENXINGZHE] PD10.#3.Display 편을 마치겠습니다.
PS.
정확하지 않은 정보로 리뷰를 했던 것, 죄송합니다. ^^;;;
<리뷰목록>
[SHENXINGZHE]PD10.#2.Appearance
[SHENXINGZHE]PD10.#3.Display
코멘트 36
-
푸른솔
04.21 17:09
임시저장 기능이 문제가 있어 일전에 "건의 및 제안"에 신고하였습니다만 문제 발견 이후의 조치 결과가 궁금합니다.
-
에텡
04.21 17:25
어디 추천 없나~
잘 봤습니다 -
캄사합니다~ ^^
-
푸른솔
04.21 17:29
우와~ 전문가의 포스가 듬뿍 담긴 display 리뷰 강좌 잘 보았습니다.
( 저 같은 왕초보 너무 기 죽이고 계신거 아십니까...흑흑....ㅡㅡ:: )
-
전문가가 아니라니까요 ㅠㅠ
특히나, Display 부분은 KPUG에 관련업으로 종사하고 계신
"진짜 전문가"
가 계신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욕이나 안먹으면 ㅜㅠ;;;
푸른솔 님의 리뷰는 읽기 편하고, 푸근한 느낌이 듭니다.
저처럼 하나하나 따지고 캐물고 하는 리뷰는 스크롤이 길어져, 읽기 싫어하시는 분들이 생기기도 한답니다 ㅠㅜ
-
푸른솔
04.21 17:36
전문가라는 호칭이 싫으시면 ..... SP 라고 할께요..... Semi Professional .....ㅋㅋ
그리고 위로해주셔서 감사합니다.....ㅠ,ㅠ
-
푸른솔님의 리뷰스타일, Like it~!
-
김강욱
04.21 19:12
SM 은 어떠신가...
Semi Mae 의 눈....이상한 거 아님~
-
클라우드나인
04.21 18:50
펜타일 아닙니다. ^^;
AMOLED의 RBGBR을 LCD에서 적용하기엔 무리가 있고
LCD에서 사용하는 펜타일은 사실상 RGBW 정도가 전부입니다. PD10은 RGBW은 아니죠.
PD10은 기울어진 방식으로 픽셀을 배열하는 서브픽셀 렌더링을 사용합니다.
온전히 RGB Stripe을 모두 갖춘 방식입니다.
그리고 PenTile은 비싸서 이런 저가형 기기에 못써요. ^^;
AMOLED는 PenTile RBGBR을 쓰는게 RGB Stripe보다 싸서 쓰는거고,
모토로라 Atrix는 Backlit을 높이는 비용보다 PenTile RGBW을 쓰는게 싸서 쓰는것입니다..
직접 보진 않아서 모르겠지만 P85도 아마 펜타일이 아니겠죠. RGBW이 아닌 이상, LCD라면 펜타일은 아닙니다.
-
그렇군요
배워갑니다~
수정하였습니다 ^^PS. 다른분들이 참고 하실 수 있도록, 댓글 내용을 본문에 추가하였습니다. 허락도 받지않고, 본문에 추가하였습니다.
혹시나, 누가 된다면 바로 내리겠습니다.
-
클라우드나인
04.21 20:55
아닙니다. ^^; 열심히 쓰셨는데 제가 괜한 테클거는것 같아서 죄송하네요..
-
정정해 주시지 않았다면, 저는 아마 평생 Pentile = 저가형 이라고만 생각했을거에요.
단순하게 AM OLED에서의 수율문제만 생각하고 LCD도 그렇겠지~ 라는 이상한 생각으로 글을 썼었으니까요 ㅜㅠ[
얼빵]지적해주셔서 감사해요! ^^
-
piloteer
04.21 19:12
dslr에 렌즈 빼서 거꾸로 잡고 조리개 개방한 상태로 접사촬영하면 내부 패턴이 보입니다.
따라서 이런 게 가능한 dslr이 있으시면 어떤 액정패턴인지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굳이 안뒤집어도 배율 높은 매크로에 화소가 높은 모델이면 볼 수 있을듯 합니다.
제 노보7어드밴스드도 색감이 좀 이상해서 이렇게 촬영해봤는데, 그냥 평범한 rgb stripe였습니다.
-
아쉽게도 DSLR이 없네요...ㅜㅠ;;;
조만간 디지털 방식의 현미경 하나 갖춰야겠습니다 ㅎㅎ;;;
-
scotch
04.21 19:40
여러 기종을 갖고 있는 분만 쓸 수 있는 고품질 리뷰네요. ^^ 수고에 감사드립니다.
-
여기저기 손볼 곳 많은 리뷰, 읽어주셔서 제가 더 캄사합니다~
-
제가 처음에 주장했던게 중국식 타블렛이 저가의 펜타일 방식이다 였는데
틀렸나 보네요.
(저도 중국발 정보를 바탕으로 써놓았던거라서~)
펜타일 방식인지 아닌지 한번 현미경에다 놓고 볼까요?
일단 구분하는 방식은 이렇습니다.
본문에도 나왔지만 펜타일 방식과 일반 Stripe 방식의 차이를 보여주는 그림입니다.
그리고 글자를 확대했을때 차이점입니다.
아마도 제 이야기가 틀렸다면 제가 가진 중국타블렛이 저런식으로 보일겁니다.
-
클라우드나인
04.21 21:01
현미경이 없을 때에는 간단히 물을 이용해서 찍을 수 있습니다. 허접하긴 해두요.. ^^;;
사진은 여러장 있는데, 그 중에서 서브픽셀이 그나마 잘 보이는 사진을 올려봅니다.
PD10 디스플레이가 펜타일같이 흐릿하게 보이더라도, 펜타일은 아닙니다. 그리고 LCD에서는 반드시 Black이 존재해야 하기 때문에 위 사진에서 RGBG(실제로는 RBGBR입니다.)으로 나온 펜타일은 LCD에서 사용할 수 없고 오로지 AMOLED에서만 구현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AMOLED는 서브픽셀을 모두 끄면 Black이 되어서요. 반면 LCD는 필터투과율이 있어서 다 닫아도 빛이 새기 때문에, 별도로 Black을 두어야 합니다. (그래야 그나마 덜 샙니다.)
즉 LCD에서 사용할 수 있는 펜타일은 RGBW인데, 이건 오히려.. 일반LCD보다 비쌉니다.
서브픽셀이 3개 -> 4개가 되는 상황이 되어버려서 DPI에 비해 오히려 디스플레이 밀도가 높아지고, 이는 수율감소를 의미하며 단가증가를 말합니다. 또한 펜타일 로열티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펜타일은 회사이름입니다. 삼성자회사죠.)
PD10의 디스플레이는 아마도 교차배열 RGB Stripe로 보입니다.
위 사진에 나온 RGB Stripe는 정칙배열로 이루어진 가장 평범한 방식, Conventional RGB Stripe입니다.
-
이야.... 라룸까지...
전문인의 포스가 좔좔~
아래 사진 섬네일을 보니, 클라우드나인님, 아참... SBZ님의 리뷰가 더더욱 기다려 집니다~
-
저도 RGBG Pentile로 구성되어서 흰색표현할때도 좀 튀나보다~ 했는데... 아니였네요.
-
그리고 정말 리뷰 열심히 잘해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
제가 더 캄사합니다 ㅠㅠ
성야무인님 덕에 정말 접하기 힘든 "물건"가지고 많은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
west4street
04.21 20:23
애 많이 쓰셨군요. 다만 색온도 부분은 좀 오류가 있는 것 같습니다.
색온도는 높을수록 파란 색이 되고 낮을 수록 붉은 색이 됩니다. 컴퓨터 모니터나 디지털 텔레비전 등 디스플레이의 경우 대부분 6500K를 표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
아... 색온도도 또 착각했군요 ㅠㅠ
[예전에도 거꾸로 생각해서, 포토샵 하다가 된통 혼난적이 있으면서 ㅡㅡ;;;]
지적 감사합니다 ^^
바로 수정하겠습니다!
-
푸른솔
04.21 21:18
클라우드나인님을 비롯한 많은 님들의 말씀으로 다시 한 번 많이 배우고 갑니다.
우리 KPUG 의 이런 모습 너무 좋습니다.....^^
-
저도 KPUG가 이래서 좋아요~ ㅎㅎ
이 댓글은 더더욱 좋아요~ Like it~!
-
유여
04.21 22:22
스트라이프나 펜타일이나 똑같은 공정으로 만들기에 수율차이는 없으리라 봅니다. 다만 lcd펜타일 방식은 화면을 더 밝게 하는게 주목적이고 AMOLED는 소자간 밝기차이를 없어려고 한게 주 이유라 서브픽셀크기가 차이난거죠. 사실 기존 일지배열 방식보다 화질이나 밝기가 좋은 배열방식들은 많이 있습니다만 보통 특허걸려 있거나 만들기 까다롭습니다. -
음... 그렇군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
에텡
04.21 22:23
물이로구나!
-
초익
04.21 22:35
괜히 "찰지구나!"가 떠오른..... 제가 요즘 이상해졌....... 크크크크 -
근데 잊어버린게 있는데요. 조금 천천히 하셔도 됩니다. 아마도 2번째 리뷰기기는 다다음주쯤 도착할겁니다. ^^;
-
그렇군요. 알겠습니다.
5월 1일까지 띄~~~~엄~띄~~~~엄 시험기간이라서... 후딱 끝내고 열공!으로 돌입하려고 했는데...ㅎㅎ;
좀더 디테일하게 써봐야겠습니다.
-
레무리안
04.25 18:54
대단들하시다는 말 밖에는.... 감사드리구요~
-
읽어주셔서 제가 더 감사합니다~
-
다카오카
09.13 23:55
제가 딱 원하던 비교샷이였습니다.
선 리플 후 제대로 읽어보겠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에궁... 임시저장 기능이 잘 작동하지 않나 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