쿼드코어에서 단순 작업시 하이퍼스레딩을 끌때 효율...?
2012.11.28 12:07
웹 써핑하다보니 하이퍼스레딩을 사용하지 않는게 단순작업에 효율이 좋다 ?
라는 글을 잠시 본거 같은데요.. 다시 찾으려니 잘 안보이네요.
저는 인텔 쿼드코어 CPU를 사용중입니다. 작업은 오토캐드(2D) 작업및 ORCAD 도면... 정도에 웹서핑 조금 합니다.
이런경우 하이퍼스레딩 기능을 끄고 사용하는게 좀더 효율이 나을까요 ??
코멘트 7
-
PointP
11.28 14:19
저도 궁금해서 찾아봤는데...
우선 오토캐드의 경우에는 싱글 쓰레드 사용이라고 합니다. 아마 끄고 하면 아주 약간 숫자 차이를 느끼실수도 있을거 같은데... 이게 얼마나 효과를 보실지는 미지수네요.
대부분 말하기를 전력을 아낀다고 끈다는데...
이거는 저번에 이야기 나왔던 한글이 전력을 더 많이 잡아 먹는다 이후로 별로 의미 없는 것 같습니다. 저도 midday님과 동일하게 그냥 켜고 사용을 권장합니다.
-
카이사르
11.28 20:46
감사합니다.
쿼드코어 클럭속도 낮은거보다 , 예전 듀얼 코어에 클럭 속도 빠른게 체감 하기에 더 나은거 같습니다. ㅜㅜ
-
클럭속도 빠른게 더 나은거 맞습니다. 주작업이 1core에 배정되기 때문에, 클럭속도에 따라가는거죠. 하지만 HT를 끈다고 클럭속도가 올라가진 않기 때문에, 끈다고 나아질건 별로 없어요.
그런데, 오토캐드에서도 일부 기능, 특히 2D쪽에서는 멀티쓰레드를 사용해서 개발되어있습니다.
http://www.cadforum.cz/cadforum_en/qaID.asp?tip=4905
-
수원사랑
11.29 00:21
프로그램 자체가 멀티쓰레드로 돌지 않으면 HT는 의미가 없습니다. HT가 오버헤드겠지만... 요즘 프로그램중에 단일로만 도는 건 그다지 없습니다. 그리고 이미 컴퓨터가 가동해서 OS가 올라가면 캐드 프로그램 아니더라도 여러 서비스등으로 인해서 많은수의 쓰레드들이 돌고 있기에 HT가 효과가 있습니다. 그리고 요즘 CPU들보시면 바보 아닙니다. 부하가 큰 코어가 있으면 클럭을 그리로 모아주기도 합니다. 쉽게 생각하면 전력 관리를 통해 오버클럭킹을 스스로 한다로 이해할 수도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클럭(성능)을 올리는데 문제는 발열이니 전력관리를 통해 일부 코어에 전력을 낮추고 옆코어에 전력을 좀 더 배정하는... 느끼긴 어렵지만 그런것도 한다고 하네요. 그냥 쓰시는게 낫다고 봅니다.
그리고 멀티코어를 보면 특정 코어에 부하가 full로 걸리면이란 가정(주로 I/O없는 연산류)하면 HT면 불리할순 있겠지만 그런 경우가 흔치능 않은것 같습니다. 요즘 그렇게 프로그램 짜는 경우는 없으니까요.
HT ON/OFF가 필요한 사례를 보면..
제 PC가 6core에 HT하면 12core로 잡히는데 개중에 프로그램 잘못짜놓으면 6core로는 도는데 12core로는 안돌고, 어떤건 6core로는 문제가 없는데 12core로는 서버용으로 구매하라고 하기도 합니다.
-
카이사르
11.29 10:02
정보 감사합니다. ^^ 컴퓨터는 어찌 돌아가는지 속을 들여다보기 힘들어서 좀 답답합니다.
왜 버벅이는지.. 쿼드코어에 SSD 하드 달구도 왜 ?? 캐드가 무겁긴 한가봅니다.;
-
그건 오토데스크사의 Q&A를 보시면 아실수 있습니다.
"오토캐드는 멀티쓰레드를 특정용도에만 써~ 멀티코어를 많이 활용하고 싶다고? 그럼 우리꺼 다른 캐드 또 사면 돼"
그지같은 것들~
그냥 켜고 쓰세요. 하이퍼스레딩을 사용하지 않는게 더 좋은 경우는 꽤나 예전 이야기이고 드문 경우입니다. 게다가 요즘은 OS 자체적을 수행하는 기능이 많기도 하고 중요하기도 하기 때문에, 일부러 하이퍼스레딩을 쓰지 않아야 빠르게 별도로 코드를 짜지 않는 이상 하이퍼쓰레딩때문에 속도문제가 생길 가능성은 별로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