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인 리눅스 백업에 대해서...
2013.07.17 20:30
일반적으로 리눅스에서 백업 스케줄러를 만드는데 crond을 사용해서 만들면 문제가 없을까요?
인터넷으로 예제를 보았는데 대부분 저 명령어로 하더라고요...
네트워크 기능을 끄던데 사실 짧은 시간동안 파일이 누락되거나 추가되는건 상관없어서 네트워크 기능을 끄지 않고 웹관련 파일 폴더만 압축시켜 일정한 곳이 ftp에 올릴것 입니다.
리눅스 os는 풀 백업은 시스템 자체에 큰 변화가 있을때만 백업할것 이고요..
뭔가 팁이 있을까요?
코멘트 8
-
김강욱
07.17 21:16
rsync 로 cron 걸어놓는 건~ -
rsync도 찾아봐야 겠네용
-
배포본 설치로 커버가 되는 부분은 백업하지 마세요.
직접 설정을 변경하신 부분이랑 데이터만 cron으로 백업하시고, 여건이 되면 로컬에 백업라신 내요을 rsync나 scp로 원격지에도 백업하세요. -
넵, 알겠습니다. ^_^
-
증발
07.18 00:45
전 하드파일 그대로 묶어서 임시하드로 직송합니다
-
가상서버를 원격으로 하는거라 좀 힘드네요 ㅠㅠ
-
꼬소
07.18 03:23
그 정도가 적당합니다.
전문적인 백업툴을 사용할게 아니라면 rsync에 crontab정도가 적당합니다.
그래도 DB 백업이 필요하시다고 하시다면, DB백업 스크립트를 이용해서 dump 파일을 만들고 그걸 rsync로 백업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 입니다.
크리티컬한 자료가 아니라면 굳이 실시간 백업을 이용 할 필욘 없습니다.
-
넵, 조언 감사합니다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