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 쓰기 회수 제한에 관하여.
2013.08.06 11:41
SSD 가 쓰기 제한 회수가 10만번 정도 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읽기는 무제한이고.
저희 Linux (주로 Centos) 서버에 Intel SSD 를 쓰고 있는데, 쓰기 제한 회수를 넘길지 아닐지, 언제 넘길지 알 수가 없어서 걱정이네요.
혹시 확인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코멘트 15
-
SSDlife라는 유틸이 있습니다. 셰어웨어긴하지만 15일 체험기간이 있으니 상관은없을것같네요.
-
김강욱
08.06 13:30
이건 Window 용 아닌가요?
-
꼬소
08.06 13:03
read도 동일하게 적용 됩니다 무제한 아닙니다 -
김강욱
08.06 13:31
-
꼬소
08.06 13:40
플래쉬 메모리에서 read도 결국 헤더가 접근하여 전자적 변위를 가지고 읽어 가는데..
지정 된 block만 읽어 가더라도 한 부분만 계속 읽고 쓰게 되면 수명에 제한이 있어
일정 횟수 읽으면 데이터를 다른 곳으로 옮깁니다.
그러면서 read/write/erase 가 발생하게 됩니다.
회수는 빈번하지 않지만 어떻게든 저장 된 데이터는 ssd block 어딘가로 떠 돌아 다니게 되고 read만 한다고 하여서 ssd 수명이 무한으로 유지 되는건 아니게 됩니다..
줏어들은 지식이라.. 더 자세한 설명은 구글님에게.... 돌릴까 합니다..
-
김강욱
08.06 13:47
네, 그 부분은 맞는 것 같습니다.
공부해보니, 일정 회수이상 접근 하면 다른 섹터로 옮기고, 더 이상 옮길 섹터가 없으면, 비상 섹터(서버는 20% 정도 된다네요)에 옮기고 이마저 안되면 ReadOnly 가 된다고 하네요.
근데, 10 만번 Read 제한은 아직 못 봐서...
http://www.xtremesystems.org/forums/showthread.php?271063-SSD-Write-Endurance-25nm-Vs-34nm
이딴 자료가 있긴 합니다만~
-
꼬소
08.06 14:48
넹 그래서 기존 파일시스템이 SSD와 같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는 기기에는 안 맞는다고 해서 현재 다른 파일 시스템을 만들고 있습니다.
LFS 같은 종류로... 뭐 그러면 좀 더 나아 진다나 어떻다나..
뭐 그렇데요;;
-
1. 10 만번은 옛날 고릴라 건물 올라가던 시절의 이야깁니다. 100nm 이상의 공정에서나 해당하는 말이며, 이 당시 용량은 수십 메가가 고작이었죠.
공정이 점점 더 미세해지면서 셀은 더 파괴되기 쉽게 변해갔고, 현대 20nm 공정에서는 1000~1500 회 정도면 수명이 끝납니다. 대신 용량이 수십기가죠. 그래서 어찌보면 최종 쓰기 수명은 별로 안 줄었습니다. 초기 모델은 100만 시간 작동을 보장한다면 요즘의 삼성 SSD 는 20 만 시간입니다. (기업용은 60만 시간)
물론 쓰기 성능이 엄청 중요하다면 (동영상 편집한다거나) 꽤나 크리티컬합니다만, 전체 수명을 다 쓰기까지 보통 50~100 TB 는 넘게 걸리는 현 상황에서 1년 잘 쓰면 3TB 가 넘어가는게 고작이니 일반적인 용도라면 걱정말고 사시면 됩니다.
특히 삼성 SSD 요.
-
김강욱
08.06 20:04
흠, 저희가 Intel 300G 를 DB에 쓰고 있는데, 문제가 클까요?
UPDATE 나 DELETE 는 거의 없지만, Reading 은 좀 있는 구조인데 ...
-
사실상 리딩같은경우 기대수명에 영향을 주지 않기때문에 상관없다고 생각되네요.
-
사실 초기 SLC사용모델의경우 셀 자체를 별로 안넣고 컨트롤러 역시 심각한 수준이라 현재 TLC로 나오는 SSD보다 수명이 현저하게 낮답니다.
엠트론사 32GB짜리도 3년 안되서 사망헀으나 이미 엠트론사는 먹고 때려치워서 AS도 못받고 그냥 창고에 넣어두었습니다.
-
아 저도 그거 SLC 라고 좋다고 샀는데 얼마 안가 고장나더군요.
-
파랗게 엠트론 이렇게 써있는데... 당시 이걸 왜 50이나 주고 샀을까 하는생각밖에 안드네요
-
위의 사이트 내용을 정리한 표입니다.
-
김강욱
08.09 20:40
귀중한 답변 감사드려요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