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닝을 사려고 하는데..
2014.01.20 19:28
그동안 모아둔 돈으로 아내님 차를 하나 사주려고 합니다.
레이와 모닝 사이에서 고민하다가, 모닝이 좋다는 말에 그대로 해 주기로 했습니다(저는 아무리 봐도 레이가 좋던데요..실내공간도 넓고)
여기저기 돌아다니는거 잘 못하는 편이라, 집 근처 기아 대리점에서 그냥 살까도 생각 했습니다만 그래도 적은 돈이 아닌지라 뭘 좀 알고 사야겠다는 생각이구요.
제가 궁금한 점은,
1. 대리점별(또는 딜러별) 가격 차이가 있다고 하던데 대리점마다 다니면서 동일모델/동일사양을 물어보는게 답일지..
2. 결제수단은 무엇이 가장 조은지..(카드? 무이자 할부? 등등..)
3. 대리점/딜러별로 가격차이가 없다면 옵션 서비스(가령 네비를 해 준다던가...)로 무엇을 받아내는게 좋은지..
4. 기타 모닝 살때 꼭 하면 좋은 것은 무엇인지..(말을 듣자니 타이어 크기를 무엇으로 교체하면 좋다던가..)
사전에 공부좀 하고 가려고 하오니 고수분들의 의견 부탁 드립니다.
코멘트 10
-
iris
01.20 19:41
-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나베르즐 같은곳에 견적부터 받아봐야 겠군요? 휠 관련 조언도 감사합니다.
-
DoNotDisturb
01.20 20:08
저는 (사용이력을 계속 지켜봤던) 중고를 사서 신차 구매 요령은 잘 모르겠으나, 차는 역시 신차를 사는게 좋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 모닝에 참고할 점 정도만 적어두려 합니다.
1. 가솔린 or 바이퓨얼
LPG 값이 지속적으로 오를 예정이라, 2~3년 내로 가솔린과 LPG의 경제성이 차이가 없어질 것 같습니다.
주유 접근성이 좋고 가격이 저렴한 가솔린 모델이 나은 것 같습니다.
2. 필수옵션
- 14인치 알로이 휠.
기본 13인치 스틸 휠은 주행해 보면 좌우로 휘청임이 좀 있습니다.
14인치 알로이 휠은 가벼워서 연비도 13인치와 차이가 없고 미관상 훨씬 낫습니다.
저는 얼마 전 15인치로 바꿨는데 미관상 좋아보이는 것 외엔 장점이 없는 것 같습니다. 연비도 낮아진것 같고 노면소음 커지고;;;
14인치 알로이 휠은 주행안정성을 위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참고로 타이어폭은 13인치 155, 14인치 165, 15인치 175입니다. 13인치는 좀.. 많이 좁아서 좌우로 휘청임이 있습니다.
- VSM.
차세제어장치인데, 빙판길 등 차체가 스티어링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전자장비가 알아서 제동을 걸어 차가 돌지 않게 제어해 주는 기능입니다.
VSM을 달면 후륜 브레이크가 디스크 브레이크로 변합니다. (원래는 드럼.)
그런데 현기차의 디스크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패드의 표면적이 좁아서 조금만 제동을 가해도 금방 열변형으로 인해 패드가 말랑말랑해져서, 결과적으로 마찰력 저하 -> 제동력 감소로 이어집니다.
쉽게 말해서 현기의 디스크 브레이크는 정체구간에서 지속적으로 브레이크를 쓰면, 점점 차가 잘 안섭니다. -_-;
(이 현상을 없애려면 브레이크 패드 표면적을 넓히거나, 열특성이 우수한 소재로 브레이크 패드를 만들면 되는데.. 년식 올라갈 때 마다 브레이크 패드 표면적이 줄어드는게 바로 현기차의 원가절감입니다.. -_-... 물리적으로는 표면적이 좁아도 마찰력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어서 표면적을 줄여도 당장 티가 안납니다. 하지만 브레이크 패드가 빨리 닳고, 금방 과열되어 물러져서 제동특성이 나빠집니다. 반면 드럼 브레이크는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워낙 싸서, 싸게 만들어도 충분한 제동력이 확보되고, 더 이상 단가 절감할 건덕지도 없습니다.)
전륜은 항상 디스크 브레이크라지만, 후륜은 VSM이 없으면 드럼 브레이크입니다.
뒤라도 드럼 브레이크라면 지속적인 제동시 브레이크 밀림 현상은 훨씬 적어집니다. (드럼 브레이크가 구조적으로 디스크 브레이크보다 같은 값에서 브레이킹 특성이 우수합니다.)
하지만 디스크 브레이크라도 시내주행이라면 별 상관 없습니다. 어차피 시내주행에서는 조금 더 브레이크를 꾹 누르면 될 뿐입니다.
저는 VSM이 없으나, VSM은 디스크 브레이크의 단점을 감수하고서라도 꼭 넣어야 하는 옵션이라 생각합니다.
- 운전석 무릎 에어백(터질지 안터질지는 모름).
터질지는 모릅니다만 있는게 나으니까요. -_-;
올뉴모닝은 별도의 에어백 센서가 없습니다. 운전석 하단의 센서에서 사고여부를 판단하는 것이고, 모든 유형의 사고에 대해 General한 방법으로 대응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False Positive를 줄이기 위해 에어백 전개 조건이 상당히 까다롭게 세팅되어 있습니다.
쉽게 말해서, 사고시 에어백 터진다고 장담 못합니다.
동급의 스파크는 전면에 1개의 에어백 센서가 있습니다. 즉 전면 추돌에 대해서는 스파크가 에어백 전개가 더 잘될 것이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3. 필수옵션은 아니지만 있으면 좋은 것
- 내비게이션+후방카메라
후방카메라를 달기 위해서는 내비게이션을 달아야 합니다. 후방카메라 디스플레이때문인듯 하네요.
100만원이고.. 여유가 있으면 다는게 좋은 것 같습니다.
이것 있으면 왠만해선 후진주차시 뒷범퍼 해 먹을 일이 없어서 돈값은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 외의 옵션은 굳이 필요없을 것 같습니다.
저는 VSM과 스마트키 빼고 옵션을 다 집어넣었는데, 열선 핸들이나 열선 시트나 뭐 그런것들.. 적어도 저는 필요가 없네요. 땀이 많이 차는 체질이라서요. 반면 여친님께서는 열선 시트를 매우 좋아하십니다. 혹여나 사모님께서도 좋아하실지도 모를 일입니다.
4. 모닝의 포지션
시내주행에 가장 적합합니다. 그리고 운전을 "잘"하려는 욕심이 많지 않은 여성분께 적합한것 같습니다.
핸들이 가벼워서 스티어링이 쉽습니다. 다만 고속에서는 이게 쥐약입니다.
브래이크가 초반부터 민감하게 반응해서 시내 주행시 사고날 일이 적습니다. 다만 고속에서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고, 정체구간에서는 다리가 아픕니다.
모닝은 철저히 시내주행용입니다.
5. 레이
경차에 안전을 논하는건 무리겠지만, 레이는 측면 B필러가 없고 차고가 높아서 정말 위험합니다. 그리고 연비도 꽤 낮습니다. 동호회에 가 보니 레쿠스라 부르더군요. 심하면 6km/l까지 나온다고 합니다.
레이의 충돌실험 결과를 보면 '전복'으로 인해 측정불가 항목이 더러 보입니다.
그리고 실제 레이 사고사진을 보면 대부분이 전복되어 있습니다.
동급의 모닝이나 스파크는 왠만해서는 전복되지 않습니다.
정말 말리고 싶은 차입니다. 저도 구매대상에 잠시 넣었었거든요.
6. 영맨서비스
선팅정도.
사실 영맨서비스 받기보다는 현금할인이 더 좋은 것 같습니다.
영맨표 선팅 영 엉망이고, 영맨표 언더코팅 최악입니다. 오히려 더 차 상태 나쁘게 만드는게 영맨표 언더코팅. 없는게 더 나은게 영맨표 언더코팅입니다.
선팅정도는 영맨서비스로 받는것도 나쁘지 않은 것 같은데, 영맨표 언더코팅은 차나리 안하는게 나은 것 같습니다.
언더코팅 싸게 하면, 1~2년 후 언더코팅 소재가 굳어서 크랙이 생기고, 거기에 집중적으로 녹이 납니다. 안하는게 더 낫습니다.
-
전문가급 답변 감사드립니다. 세컨드카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알려주신 용도에 맞는 것 같아요. vsm, 휠 조언 감사드리고요, 네비와 후방은 첨부터 할 생각이었어요. 그런데 선팅은 어디서 하는게 좋은가요?
-
DoNotDisturb
01.21 19:53
선팅은 존슨 마라톤이 좋습니다. 그런데 좀 비쌉니다.
전면은 불법이고 안전에도 문제가 있어서 가급적 안 하는게 좋은데, 만약 전면을 한다면 존슨 마라톤이 좋구요.
(예전에 타던 차가 전면 선팅되어 있었는데, 없는게 나은것 같아서 지금 타는 차엔 전면 선팅은 안했습니다.)
그 외의 부분은 존슨 레이가드로도 충분합니다.
다만 리어미러를 ECM으로 한다면, 후면 선팅도 마라톤이 들어가야 합니다.
저는 리어미러가 ECM이고 후면 선팅이 레이가드인데.. 밤에 잘 안보입니다. ECM 자체가 편광필름때문에 기본적으로 어두워서요..
(올뉴모닝 기준으로 하이패스 자동징수 옵션을 선택하면 ECM 룸미러가 들어갑니다.)
루마도 괜찮은데 짭퉁이 많으니 조심하세요.
3M 선팅필름은 그냥저냥인것 같습니다. 아버지 차가 3M이고 직접 시공하셨더군요;;
-
완전 감사감사합니다. 많이 배우고 갑니다 ^__^ 혹시 모르는게 더 있으면 가르쳐 주세요~
-
DoNotDisturb
01.22 00:27
제가 아는건 거의 다 말씀드린것 같구요,
약간 주변얘기를 더 넣자면... 인터넷에서 알려진 것 보다 차 완성도는 훨씬 높습니다. 잘 나가고 잘 섭니다. 미션 완성도도 꽤나 좋고요. 저는 미션 완성도때문에 올뉴모닝을 골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나중에 에어백때문에 후회하긴 했지만요.)
순정 내비는 후방카메라때문에 아마도 설치하실것 같은데, 진짜 길찾는 내비는 따로 다시는게 편하실것 같습니다. 저는 티맵 전용 핸드폰을 하나 만들어서 씁니다. 순정 내비는 인테리어와 과속카메라 크로스체크용으로만 쓰고 있습니다.
후방카메라는 밤에도 사물이 또렷히 잘 보입니다. 약간 적외선 느낌도 나고, 아무튼 후방카메라 기가막히게 잘 만들어져 있습니다.
동승석 사이드미러는 곡면미러라서 사각이 적은데, 운전석 사이드미러는 평면미러라서 사각이 있습니다. 운 나쁘면 중형차 한대정도 사각에 들어옵니다. 운전석은 원형 사각 보조미러를 설치하는게 좋은 것 같습니다. 저는 운전석 미러 자체를 곡면미러로 바꿨습니다.
그 외엔.. 아, USB 단자는 자동 전원차단이 안되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올뉴모닝은 배터리 세이버가 있어서 라이트를 켜고 내리거나, 실내조명을 켜고 내리거나, 온열시트를 켜고 내리거나, 모두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됩니다. 시거잭도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됩니다. 왠만해서는 배터리 방전될 일이 없는데, USB 단자는 배터리 세이버에서 예외입니다. USB 에 지속적으로 전기먹는 녀석을 꽂아두면 배터리가 방전될 수 있으니 조심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그래서 자동 전원 차단을 위해 시거잭 USB 충전기를 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아마도.. 차를 인수하시면 풍절음에 놀라실것 같습니다. ^^
소음차단이 거의 안됩니다 ㅠㅠ
아스팔트는 참을만한데, 고속도로 시멘트바닥에서는 대화불가능...
물론 시내주행이야 아무런 무리가 없고요. ^^ 시내주행이면 뭐든 기대치는 만족해 줍니다.
-
앗..더 알려달라는 말이 제가 궁금한 것은 개인적으로 쪽지로 여쭙겠다는 의미였는데..좋은 말씀 감사합니다.^_^
-
1. 대리점별(또는 딜러별) 가격 차이가 있다고 하던데 대리점마다 다니면서 동일모델/동일사양을 물어보는게 답일지..
- 딜러, 대리점(판매점)마다 다 다릅니다.
인터넷에서 사는것과 딜러가격은 좀 차이가있습니다만..
저는 근처 대리점들 돌면서 제일 가격괜찮은 곳 고르는걸 추천합니다. (추후 문제 발생시... 골치아파요 ㅠ)
2. 결제수단은 무엇이 가장 조은지..(카드? 무이자 할부? 등등..)
- 현금 한방에 결제가 제일 낫습니다. 기아의경우 현금으로 하면 약간의 페이백(돈을 돌려줌)을 더 줍니다.
3. 대리점/딜러별로 가격차이가 없다면 옵션 서비스(가령 네비를 해 준다던가...)로 무엇을 받아내는게 좋은지..
- 서비스 받는 것보다 할인 받는게 낫지만 보통 딜러들이 블박+네비를 맞기면 업자가격이라.. 요즘 제일 괜찮은 걸로
매립해도.. 100만원정도라.. 블박+네비조건이 현금보다 낫다면 그걸 받는게 낫습니다.
결국 서비스 가격(직접하는가격과비교)과 현금 둘중에 더 메리트있는걸로 고르시면됩니다.
4. 기타 모닝 살때 꼭 하면 좋은 것은 무엇인지..(말을 듣자니 타이어 크기를 무엇으로 교체하면 좋다던가..)
- 휠 (14인치)는 꼭하시고요.. 그외에는 크게 필요한지 모르겠습니다.
솔직히 순정네비가 별루라서.. 전 사제네비 추천하고요.. 블박은 꼭다세요.
저도 모닝 운전하고 있지만.. 시내주행은쓸만하지만....
고속은 정말 피곤합니다..ㅠㅠㅠ
-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알로이휠은 꼭 필요한가 보군요. 잘 참고로 하겠습니다.
이건 사람마다 대답이 꽤 다를 수 있는 이야기이기에 제가 적는 것이 정답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1. 그렇게 발품을 파는 것도 좋지만, 그냥 싸게 하려면 인터넷(나베르 즐 등)에서 견적을 문의받는 영맨들이 많습니다. 어차피 기본 정가에서 얼마나 빼주느냐의 문제인 만큼 견적은 다양하게 받아봐도 나쁘지는 않습니다.
2. 가장 좋은 것은 현금 일시불 결제입니다. 여유돈이 있다면 그것이 장기적인 부담이 가장 적습니다. 카드사 선할인이라는 것은 빚에 불과한 경우가 많고, 캐피탈을 끼는 것은 너무 비용 부담이 크기 때문입니다.
3. 가장 좋은 것은 그냥 현금으로 할인받고 나머지를 알아서 하는 것입니다. 영맨이 해주는 것 치고 비용만큼 값어치를 하는 것은 없습니다. 단돈 5만원이라도 직접 하는게 싸게 먹히고 품질도 좋습니다. 영맨에게 맡기는 것은 그 시간을 줄이는 정도의 가치만 있다고 생각하셔도 좋습니다.
4. 옵션은 안전장치 및 나중에 따로 달기 매우 어려운 것 위주로만 넣는 것을 추천합니다. 모닝이나 스파크같은 경차에 타이어 인치업을 해봐야 사실 연비만 나빠지기 때문입니다. 휠 정도만 깡통휠 대신 알로이휠을 넣는 것은 나쁘지 않습니다. 이건 나중에 갈려면 은근히 돈도 들고 당장 연비에도 미미하지만 영향은 주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