랩탑 구매시 피해야 할 사양
2015.03.06 10:52
안녕하세요?
장인어른 생일선물로 랩탑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예산은 60만원? 원래는 데스크탑을 교체해 드리려 했으나 랩탑을 원하셔서 방향전환이 있는데요.... 60만원정도면 보통 워드하시고 인터넷 검색, 온라인 쇼핑, 동영상 시청하시는데 괜찮은 사양을 찾고 있습니다.
여기서 질문이 있는데요....
1. 60만원은 위의 작업을 하기에 적당한 예산인가?
2. 특별히 피해야 할 부품이라면? 보니까 pentium, celeron, atom, i3 등 다양한 씨퓨가 있는데 펜티움이나 셀러롼이나 예전의 구닥다리 제품이 아닌 멀티코어에 나름 가성비가 만족스러운 씨퓨라 하는데 정말 그런지 궁금합니다....
3. 추천하는 제조사?
4. 메모리는 8기가로 늘리는게 필수이겠죠? 저는 집에 있는 랩탑의 메모리를 8기가로 올려서 쓰고 있는데 만족합니다.
감사합니다.
코멘트 15
-
온더락스
03.06 11:18
-
다이버몰
03.06 11:52
다른건 몰라도
장인어르신이 사용하신다면
엘지나 삼성쪽으로 하시는게 A/S가 편합니다...
-
바보준용군
03.06 12:57
어르신용 pc는 무조건 삼성 엘지 그중에 삼성이 선순위 (as센터 크고 많음)입니다 -
개인적으로 경험해 본 바로는 삼성 랩탑은 무조건 피하시는 게 좋습니다. 표기된 성능에 속지 마십시오. 포맷해도 빨라지지 않습니다. 와이파이 잡는게 왠지 동급 타 기기(가격 빼고 성능)보다 어렵습니다. As가 아무리 좋아도 뭔가 극한의 단가절감이 느껴집니다. 삼성 랩탑은 완전 비추입니다. 경험자로서 하는 조언입니다.
-
유태신
03.06 18:10
글쎄요... 삼성 노트북이 최고는 아니지만... 말씀처럼 완전비추라고 할 수는 없지 않나요?^^
그리고 위에 삼성제품 추천하신 분들.. 모두 삼성제품 경험자들이시고, 저도 여러 대의 삼성 랩탑과 노트북을 써봤지만, Recluse님 말씀처럼 단정적으로 말할 정도로 쓰레기 제품은 아니라고 봅니다.^^)
삼성빠로 오해하실까봐 말씀드리지만, 참고로 전 지금 맥 에어 쓰고 있습니다.
-
유태신
03.06 18:14
혹, Recluse님이 안 좋은 경험이 있었다면, 그건 어디까지나 해당 제품에 대한 문제일 확률이 높습니다.
저도 써본 다른 회사의 유명 제품을 써 본 것 중에서 좋다고 평이 났지만, 재수가 없게 불량품이 걸렸던 적이 있거든요.^^
-
음.. 제가 경험했던 다른 기종 세 대가 모두 그런 경험을 하다보니 날카로워 졌을 수도 있겠군요. 확률이라고 하니까 전...으엠..어...아..
거기다가 제가 이쪽 it분야 전공이다보니 민간할 수도 있겠군요.. -
1. 60만원은 위의 작업을 하기에 적당한 예산인가?
>충분하다못해 위의 용도로는 넘치는 예산입니다
2. 특별히 피해야 할 부품이라면? 보니까 pentium, celeron, atom, i3 등 다양한 씨퓨가 있는데 펜티움이나 셀러롼이나 예전의 구닥다리 제품이 아닌 멀티코어에 나름 가성비가 만족스러운 씨퓨라 하는데 정말 그런지 궁금합니다....
>atoem 만 피하면 됩니다. 데스크탑에서 메인으로 쓸만한 성능으로는 아직까지 부족한것 같습니다.
요즘에는 샐러론이 샐러론이 아닙니다. 2세대 이전의 샐러론인 G1630만 해도 과거 울프데일 E8200 정도의 성능을 냅니다.
장인어른의 연세를 생각해서 모니터크기와 해상도, 무게를 고려해서 선택하면 될것 같습니다
3. 추천하는 제조사?
>장인분을 자주 뵙고 문제발생시 직접 도움을 드릴수 있다면 ACER나 ASUS 정도를 추천합니다
4. 메모리는 8기가로 늘리는게 필수이겠죠? 저는 집에 있는 랩탑의 메모리를 8기가로 올려서 쓰고 있는데 만족합니다.
>말씀하신 용도로는 4기가만으로도 충분합니다만 램은 아시다시피 다다익램이니 올리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
해색주
03.07 06:56
Asus는 메인보드 문제로 한 번 데인적이 있어서 비츄드립니다.
-
14인치 i3-4400M 기반의 레노보의 E440은 어떠신지요? 14인치급이며 hyperaesthetic님께서 SSD및 램을 직접 교환하시고 OS 까시면 충분히 가능하며 그렇지 않다하더라도 기본적인 램이 4기가에 500GB의 하드를 가지고 있어서 쓰시기엔 부담이 없으면서 레노보도 아무리 중국제품이라 하더라도 서비스망이 구축되 있으니 나쁘진 않으리라 봅니다.
-
별셋의 펜티엄급 15.6인치 1366*768 해상도를 가진 제품에 SSD 장착을 필히 추천해 드립니다.
노인분들은 노안이라 고해상도 필요없습니다. 고해상도 구입해서 해상도 낮춰 쓰면 글씨가 뭉개져서
화면이 선명하지 않다고 하시더군요. 그냥 큰 화면에 낮은 해상도가 최선입니다. 광시야각도 고려해 봐야겠지만..
낮은 사양에서 광시야각 지원되는 제품은 없더군요.
그리고, SSD는 필수 입니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CPU가 고성능이더라도 윈도우창의 반은(실행)속도가
빨라야지 PC가 빠르다고 느끼더군요. SSD가 부팅이라던지 윈도우 창 뜨는 속도가 빠르니 필히 장착해 주세요.
그리고 별셋의 경우 제공되는 S/W로 복구라던지 설정을 쉽게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원격지원으로
PC문제 해결이 보다 쉬워서 주위에 컴맹분들이 PC 구입한다고 하면 무조건 별셋 추천.. 문제 생겨도 저에게
귀찮은 전화 안 오더군요.
-
hyperaesthetic
03.07 10:25
유용한 답글들 감사드립니다.
제 경험상 대상가격대에서는 레노보, Asus, Acer 를 선호하는데 삼성도 고려해 봐야 겠네요. 전 SSD까지 직접바꾸는 수고는 ... 보증수리도 그렇고 하고 싶지 않은데... 생각해 봐야 겠네요.
결과를 보고하겠습니다. =)
-
푸른들이
03.07 11:11
구매시 SSD 옵션이 있는지 확인해 보시고 SSD 장착이 가능하다면 해 달라고 하세요(당연 추가금이 들어갑니다만) 직접 장착하지 마시고...
이런 경우 보증수리 가능합니다.
-
hyperaesthetic
03.07 11:27
SSD 추가 장착시 추천 모델은 있는지요. 용량은 126기가가 최소용량으로 생각합니다....
-
바보준용군
03.10 00:45
삼성에서 ssd 장착 요구하면 당연 삼성거 매달아 줍니다;;;(가격도 좀 있습니다;;)
어자피 구매자가 본인이셔도 사용자가 타인인경우 전용-_- helpdesk 가 되셔야 함은 각오 하셨을거라 사료 되오며
굳이 가격대 성능비가 뒤쳐지기는 하나 삼성제품을 추천 하는 이유는 as 매장 분포도나 인지도 as 만족도 as 편의성이 압도적으로 편리 하기 때문입니다.
즉 귀찬고 머리아픈일에 비용과 자원이 절감 되는것이겠죠.
스스로가 구매해서 본인이쓰는데 브랜드가 무슨상관이고 선호 브렌드 구매하면 되는것이고 pc 기본지식만있어도 웹서핑 한두번이면 트러블 슈팅 가능하겠지만 본인 아닌 타 사용자 수준에 맞게 사용하실거면 어림반푼 어치도 없는 이야기입니다.
이미 비용이 60만원 한도라면 구매할수있는 폭이 상당히 크겠습니다
요즘 i3 계열 pc만 해도 넘치는 성능을 가지고있습니다. 물론 아톰같은 반쪽짜리 절름발이는 권장 하지 않습니다.
최소한의 퍼포먼스는 보여줘야 하겠지요
굳이 ssd 같은 고성능 스토리지도 필요없어 보이고요.(추후 워런티 기간이 지나고 장착하셔도 무방할거라 사료됩니다-추후 관리 편의성을 위해 디스크를 이미지로 떠서 복구영역까지 삽입하면 되겠죠)
1. 괜찮습니다.
2. 아톰도 괜찮은데요. 요즘은 베이트레일 아톰이 셀러론이나 펜티움이름을 달고 있어요. 그냥 쓸만합니다.
3. hp가 제일 괜찮고, AS나 기타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삼성이나 엘지 제품도 있습니다.
4. 메모리보다는 SSD가 더 효과를 발휘할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