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중형 신차 구입하려는데 크루즈와 sm3 가운데서 고민 중입니다.
2016.05.18 23:51
안녕하세요. 신차 구입하려는데 크루즈와 sm3 가운데서 고민 중입니다. 경남인데 주로 주말에 남해안 놀러 다닐 때 탈 겁니다. 직장이 코 앞이라서 출근용은 아니고요. 진주인데 이 지역이 익숙하지 않은지라 네비 중요합니다. 연비는 sm3, 힘은 크루즈인 걸로 알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주행성능 좋은 차를 선호하고 그래서 힘좋은 크루즈 쪽으로 쏠렸었는데, 요즘 들으니 크루즈가 코너링이나 변속기는 별로라는 말이 있어서 다시 고민 중이네요. 조언 바랍니다.
미리 감사드립니다 (- -) (_ _)
코멘트 10
-
별날다
05.19 16:02
-
김군
05.24 04:57
일단 달리면 중장거리이긴 할텐데, 출퇴근 용이 아니라서 연비가 얼마나 중요할지 모르겠어요. 또 주로 고속도로나 국도를 달릴 것 같은데, 이 속도대에서 연비는 대부분의 차들이 꽤 좋은 편이라고 들었습니다.
하지만 이 근방에 산길이 많이 없는 건 맞습니다. 조언 감사드립니다. -
풀맨
05.22 23:02
차를 나들이용으로만 쓰다보니 연비는 솔직히 무의미 하더군요. 매 주 차 끌고 어디 놀러갈 수도 없는 노릇이니까요. 운행이 적다보니 기름값이 그렇게 많이 들어가진 않습니다. 어쩌다 한번 놀러가는 거라면 연비보다는 안전을 생각하시는게 좋습니다. 어쩌다가 놀러가는게 주로 장거리가 되는 경우가 많은데 장거리 운행하다보면 과속도 할 가능성도 높고 졸음운전 할 확률도 높으니까요. 물론 내가 안 하더라도 남이 박는 경우도 있으니깐 되도록이면 안전장치가 더 잘 된 차를 고르시기 바랍니다.
-
김군
05.24 04:58
네 크루즈가 고장력 강판도 많이 들어갔고 안전하다고 들었습니다. 다만 차가 무거워서 그런지 브레이크 밟은 후 정지거리는 길더군요. 조언감사드립니다.
-
지니~★
05.23 10:29
크루즈가 많이 비싸지 않나요? 일단 기본형 가격부터 차이가 큰 것 같은데... 1561만원 vs 1715만원... 게다가 1600cc 이하인 SM3와 1800cc인 크루즈... 세금 때문에 1.4 터보로 하신다면 일단 2000만원 넘어가구요.아니면 연비 때문에 디젤로 하신다면, (일반적으로 연 2만km 이하면 디젤은 추천 안한다고 합니다.) 1944만원 vs 2205만원으로 250만원 정도 차이가 나네요.
차라리 주행성능 좋은 쪽을 따진다면, SM3 빼고 크루즈 1.4 터보나 아반떼 AD 스포츠 1.6 터보가 낫지 않을까요. 사실 그 가격 가면... K5 2세대나 쏘나타 LF가... 거기에 조금 더 쓰면 쏘나타 1.6 터보, K5 1.6 터보도 눈에 들어오구요. 주말에만 쓰면서 저렴하게 아예 아반떼 AD 기본형 1531만원 짜리도 나쁘지 않을 듯 합니다. 그리고 손재주 좀 있으시면, 모비스 튠이라고 하는 순정 부품 하나씩 DIY 하는 재미도 느끼실 수 있구요.
-
김군
05.24 05:03
자세한 댓글 감사드립니다. 주로 모르는 길을 다닐 것 같아서 내비가 내장된 트림을 사야되지 않나 막연히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트림이 올라가면 가격이 천정부지로 뛰더군요.
아반떼는 코너링이나 힘(토크)은 괜찮은데 결정적으로 정확한 직진이 잘 안 된다고 하던데, 맞나요? 그래서 크루즈 or sm3로 잡고 고민하고 있습니다만...
좋은 조언 감사드립니다. 복받으실 거예요. -
지니~★
05.24 07:12
저도 사실 잘 아는 건 아닙니다. 정확한 직진... 보타 얘기하시는 것 같네요. 여러 차량을 다 운전해보셨거나, 외제차 운전자나 자주 운전하시는 분들 보면 그걸 잘 느끼시는 것 같은데... 처음부터 현대/기아 차 운전하시면 잘 모를 거에요. 저도 사실 잘 못 느끼구요. 저도 직진을 위한 보타는 조금씩 느끼긴 하지만, 피로가 가중될 만큼은 아니거든요. 인터넷 글이나 주변인의 말을 듣지 마시고, 직접 체험해보시는 게 확실하니, 회사 차량이나 렌트카 혹은 대리점 시승요청으로 아반떼, 크루즈 빌려서 타보시고 결정하시는 것도 나쁘지 않겠네요.
내비게이션 옵션은 기본 내장(혹은 순정이라고도 하죠.)이나 파인드라이브 매립이나, 둘 다 괜찮은 선택입니다.
1안> 차량 제조사에서 나오는 것은 GPS 연동 속도가 빠르고 (지하주차장에서 써보시면 압니다.), 트립 연동 등 편리합니다. 파인드라이브 등보다 기능적으로 떨어진다고는 하는데, 요즘 안드로이드 기반 정전식 내비게이션으로 바뀌면서 많이 따라왔습니다. (아이나비, 맵피 모두 현대 계열사거나, 주요 주주입니다.) 가장 중요한 배선 등 처리가 깔끔합니다. 전처럼 터무니없는 가격 아니구요. 대신 트림을 올려야한다는 단점이 있죠.
2안> 파인드라이브 등 매립은 배선 작업 후 보면, 겉은 깔끔하겠지만, 내부는 가관인 경우가 많습니다. 차량 화재 시 보증수리 거부합니다. (쏘나타 YF에서 그런 경우도 있었죠.) 기능 업데이트가 아무래도 현대/기아 쪽보다는 아무래도 빠르긴 할 겁니다. 파인드라이브 매립하는 가격도 생각보다 저렴하진 않습니다.
3안> 자주 운행하는 것이 아니라면, 굳이 트림을 올려서 1,2안을 선택하지 않고, 7인치인 G Pad (불법패드라고 하죠?) V410 10만원 정도 중고 사셔서 데이터 쉐어링으로 Tmap, 올레내비, 카카오내비, 맵피 중에 골라서 쓰시는 것도 나쁘진 않습니다. 단, 거치대는 급정거시 떨어지면서 내 얼굴 혹은 동승자 얼굴로 날아오면서 정면 충돌할 수 있습니다. 되도록 대시보드에는 아무것도 안 두시는 것을 추천하긴 합니다. 파인드라이브 매립 안하고 거치대 쓰는 것도 동일한 상황이 되겠죠.
-
내비게이션은 무조건 파인드라이브 추천합니다.
파인드라이브 3000 5000 7000 아무거나 골라서 사세요. 3000 도 중고 오래된 제품이지만 아주 쓸만합니다.
기계 내장은 더러워요.
-
김군
05.24 05:04
파인드라이브가 좋은가 보군요. 그런데 차체에 들어있는 순정 내비가 보기엔 깔끔하지 않나요? 기계 내장은 더럽다는 말씀 조금만 더 설명해 주시면 (이래서 나쁘다, 이런 말씀)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
김군
05.24 05:06
아 그리고 놓고 쓰는 내비가 되었건 매립해서 쓰는 내비가 되었건 순정이 아니라면 꼭 파인드라이브로 가보겠습니다. ㅎㅎ
제가 잘은 모르지만... 용도에 맞추시면 되실 듯 하네요..
주로 주말이나 휴가 때 여행용이면, 연비가 중요하지 않을까 싶네요.
뭐.. 강원도 산간 같은 곳을 많이 가는 게 아니라면, 힘보다는 연비일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