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진오일.. 순정이 좋을까요 유진.. 이 나을까요?
2010.10.12 17:46
RV쪽으로 차를 바꾸고 나니 엔진오일 가는게 부담스러워졌습니다.
아무 생각없이 집더하기 내에 있는 정비소에 맡겼다가 바가지를 쓴적이 있어
이번엔 인터넷을 뒤졌더니 의견이 반반 정도 되는듯 합니다.
1) 무조건 순정.. 해당차량 정비 (본인의 경우 기아 오토큐) 방문하여 순정으로 갈면 바가지 피한다.
2) 유X.. 지X스 이런데서 오일 사고 지정정비점에가서 갈면 싸고 좋다..
헷갈리네요. 순정은 광유라고 하고 유x이런데서는 합성유 (그렇다고 외제 이런거 아니고 제가보는건 kixx PAO이런겁니다만..)라는데
가격은 오히려 2)가 조금 싼듯 해요.
1)은 6만4천 2)는 5만7천..
경험 있으신 분 계신지요??
어떤 선택이 좋을까요??
코멘트 5
-
김태준
10.12 17:52
-
Big
10.12 17:58
현대 직영사업소가 아닌 현대 이름 붙인 카센타들..... 새 오일통을 개봉해서 주입하는게 아닌.... 주유기처럼 "총"으로 쏘더군요. 즉, 무슨 오일인지 알 수 없습니다. 직영사업소에는 그런 총들이 안보이는데.... 이상하게 현대 이름 붙인 카센타들은 모두 총을 소유하고 있더군요.
-
iris
10.12 19:40
유진상사도 광유를 취급합니다. 이 동네는 '연료가 아닌 자동차용 윤활유 계통'은 웬만하면 다 취급합니다.
그리고 그 '총'의 정체는... 사실 '순정 엔진오일'입니다. 보통 중규모 이상의 정비사업장용으로는 드럼 단위로 엔진오일이 나옵니다. 저도 그러한 드럼을 정비소에서 여러번 보았지만 순정으로 부르지 못할 이상한 저품질 오일은 하나도 없었습니다. 이것을 총으로 주유합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차마다 엔진오일이 들어가는 양이 미묘하게 다르기 때문입니다. 불필요하게 엔진오일이 남아 환경오염을 일으키고 운전자에게 넣지도 못한 엔진오일 값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한 것입니다. 이런 시설을 갖춘 경우 엔진오일을 넣은 양만큼만 계산을 합니다.(물론 공임은 따로 나옵니다.)
추신: 저는 광유를 자주 갈아주는 주의입니다. 보통 3,000km에 한 번 바꿉니다.(대충 한달 반 주기가 됩니다.) 기름을 먹는 차라서 합성유라도 버틸 재간이 없으며, 합성유를 안바꾸고 버티는 것보다 광유를 자주 가는 것이 더 저렴하고 더 효과적임을 느꼈기 때문입니다.
-
kixx PAO나 지크XQ 같은 제품으로 매 5000~7000 정도에 갈아주시면 좋을 듯 합니다.
100% 합성유는 아니지만 가격대비 성능이 우수한 제품들 입니다.
개개인의 취향이 다르므로
참조만 하시라고 링크해봅니다.. http://blog.naver.com/jkidd77/120093643345
-
빠빠이야
10.13 09:22
답변에 감사합니다.. 꾸벅!
유진협력점 가면 유명한거는 이미 다있습니다. 굳이 유진에서 사서 찾아가실 필요없습니다.
저도 차산후로 항상 그렇게 갈고 있습니다. 정말 싸게 해주는데서 순정으로 갈거 아니면 비용차이가 별로 없더라구요
협력점들도 소문 장사가 꽤되서 그런지 제가 가본 3군데 모두 친절하고 잘 챙겨줬습니다.